■ 병원(Hospital) |
1-1. 병원건축계획
|
1) 병원건축의 특성 |
(1) Hospital Design 병원건축은 다른 일반건축과는 구분되어 종종 특수건축의 하나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 특수성은 의료체계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 다양성, 복잡성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병원건축이란 이 의료체계라는 하나의 사회적 하부구조를 건축이라는 물리적 환경으로 바꾸는 프로세스이다. (2) 환자 중심의 기능해결 최근 병원은 첨단기술 및 설비를 이용하여 병원 현대화와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외래의 비좁던 대기복도를 갤러리화하여 대기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보다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려는 계획을 시도하고 있다. 병동부계획은 매스에 의한 조형미를 표현하기 위해 백색위주의 병원색채에서 벗어나 다양한 색상을 도입하고 있다. 병동부 창호도 내부기능에서 한걸음 나아가 디자인화 발전을 시도하고 있다. 최첨단 기술 및 설비는 물론이고 저층부 매스구성과 병동부 타워 형태에서부터 각 부분의 디테일에 이르기 까지 모든 디자인은 기능적 해결과 심미적 표현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다. 최근 병원은 환자진료의 소극적 기능에서 벗어나 사용자 모두의 생활 공간화되고 있으며, 병원 각자의 설립이념을 표방하기 위한 독자적인 Identity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병원건축의 디자인 역시 창의성있는 조형적 형태를 통해 이미지를 개선 내지는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병원건축은 건축설계과정과 의료계획이 상호협력하여 미와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과정이다. |
2) 병원계획의 목표 |
(1) 기능적 요소 병원설계는 우선 그 병원이 추구하는 기본이념, 가치, 장기운영계획 등을 확인하고 일차적으로 그 기능적 요구조건을 해결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배치, 형태구성에서 수평, 수직적 부서배치, 나아가 동선처리 및 각실의 평면구성에 이르기까지 원활한 의료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차적 과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공간들의 연결관계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융통성과 장래 증축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병원의 궁극적 효율성과 직결된 중요한 건축적 해결과제의 하나이다. (2) 기술적 요소 변화하는 의료체계를 가속화시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는 기술의 발전이다. 오늘날의 병원건축은 첨단의 의료기술과 건축기술의 총아이기도 하다. 새로운 장비와 치료법, 전산화 및 자동화는 새로운 공간요구조건을 발생시키고 병원설계 역시 이를 반영하기 위해 인텔리젼트 병원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3) 조형적 요소 최근의 병원건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은 우선 그 형태적 발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병동부, 중앙진료부, 외래부, 지원부 등과 같은 병원의 기본적 블록 등의 배치에 있어 기능적 해결과 조형적 완성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병원의 독특한 이미지 부여에 큰 몫을 하고 있다. 그 예로 대지조건이 허락하는 한 단조로운 수직배치형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와 더불어, 건축적으로 세련된 독창적 형태의 병동부 등 기존의 위압감을 주는 병원 분위기를 탈피하려는 디자인들이 선보이고 있다. 또한 조경 및 인테리어들도 건축과 연계된 토탈디자인화하여 이용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감을 주고 있다. (4) 인간적 요소 기능적, 기술적 해결에만 치중해오던 과거의 병원건축이 물리적 시설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로 촛점이 옮겨감에 따라 '환자중심'이라는 개념아래 다양한 디자인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더 나아가 단순히 병을 치료할 환자가 아닌 배려와 존중이 필요한 인격체라는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이처럼 개념의 전환은 환자에 대한 치료적 환경, 서비스 지향적 환경 이나 직원들에 대한 쾌적한 근무환경 등을 조성하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만족감을 줌과 동시에 병원자체의 이미지 구축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예로서 일광등의 자연적 요소의 적극적인 도입, 환자동선의 단축화, 대기와 진료시 환자 프라이버시 존중, 안락하고 쾌적한 인테리어 등을 들 수 있다. (5) 지역적 요소 건축 역시 의료체계와 마찬가지로 그 사회를 구성하는 한 부분이다. 따라서 그 사회의 고유한 문화 또는 그것이 세워지는 환경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필요로 한다. 최근의 추세는 병원이 더 이상 환자치료만을 담당하는 한정적 영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대한 배려와 더불어 지역사회 주민을 포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예로써 건강교육 및 홍보, 상업시설이나 편의시설의 포함, 외부공간의 개방화 등을 들 수 있다. |
3) Medical Planning의 목표 |
(1) 조직화 앞으로 병원은 공익기관이나 수익사업체 할 것 없이 기업화, 시장지향화, 동기유발성 등을 특징으로 의료산업적 측면이 부각될 것이기때문에 병원건축 역시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기능적 해결차원이 아닌 그 병원의 이미지 구축과 차별화를 위한 독창적 형태추구 등으로 나아갈 것이다. (2) 고품위 서비스 서비스산업으로 인식되어 오던 의료산업에 있어서 최근의 경향은 환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에 있다. 미래의 병원은 건강증진, 건강교육, Life Style 등과 같은 의료정보상품들을 이용하여 병원의 활동영역을 분산시킬 것이다. 또 하나의 경향은 경험산업으로서의 병원이다. 병원은 최고수준의 의료서비스와 최고수준의 인간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이벤트와 행사, 정보교환 등의 기능들이 부가될 것이다. (3) 융통성과 성장성 병원건축은 장기발전계획아래 수립된다. 미래의 수요와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는 병원들은 변화에 적응할 때마다 큰 손실을 감수해야한다. 병원건축에 있어서 미래의 변동요인들이 가시화되기 이전에 이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이 더욱 중요시 될 것이다. (4) Silver Care System 미래에 간과할 수 없는 추세는 전세계적인 인구의 고령화이다. 이에따라 노인학에 중점을 둔 이식이나 전자적 기술 등의 생명공학으로 대표되는 고기술적 치료법과 재활, 생활야식 등과 관련된 저기술적 치료법 등이 발달하리라는 전망이다. 병원설계 역시 이러한 의료프로그램 변화에 적응하여야 한다. 선진외국의 추세는 입원환자의 감소와 더불어 기존의 병상을 노인병동으로 개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한다. 노인들을 위한 요양소나 실버타운 등은 미래의 병원건축의 또 하나의 모습이 될 것이다. |
4) 병원의 부분별 기능 |
(1) 외래부 환자의 초진, 재진 등 매일 왕복출입하는 환자를 취급하는 곳으로서 각과 및 약국 등 외래 각과(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피부과,이비인후과,안과,치과 등) 응급실, 처치실, 소검사실, 외래대기 홀, 약국, 주사실, 외래진찰실 등이 있다. (2) 병동부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 중 의사의 진단에 의한 장기입원환자 치료하는 곳으로서 병실, Nurse Station, 간호작업실, 처치실, 오물처리실, 세탁실, 린넨실, 식당, 요리실, 욕실, 세면장, 공용화장실 등이 있다. (3) 중앙진료부 외래환자 및 입원환자의 진료행위 및 환자들의 검사기능을 하는 곳으로 수술부, 중앙소독실, 검사실, x선실 및 방사선실, 혈액은행, 물리치료부, 약제부, 응급부 등이 있다. (4) 공급부 주방, 식당(직원용, 환자용, 외래이용객용), 배선실, 세탁실, 물품반입, 폐기물처리실, 기계전기실 등이 있다. (5) 관리부 원장, 사무실, 수간호실, 접수, 응접실, 도서실, 숙직실, 용원실, 갱의실, 매점, 방재센터 등이 있다. (6) 영안실 별도의 출입구를 두며 주차장, 주방, 영안 및 영선사무실, 조문객용 공간 등이 필요하다. |
5) 병원의 기능별 구성 |
(1) 면적 - 일반종합병원의 연면적 : 12~20㎡/병상 - 병동 면적 : 20~27㎡/병상 - 병실 면적 : 10~13㎡/병상 (2) 기능별 면적비 - 병 동 부 : 30~40% - 외 래 부 : 10~14% - 중앙진료부 : 15~17% - 관 리 부 : 8~10% - 서 비 스 부 : 20~25% |
6) 병원의 Block Plan 형식 |
(1) 분관식 - 평면분산형식으로 3층이하 저층건물형식이다. - 별동형식으로 외래부, 부속진료실, 병동을 각각 복도로 연결한다. - 설비가 분산되고 보행거리가 길어진다. (2) 집중식 - 일체형식의 외래진료부, 관리부, 부속진료부, 병동부를 한동으로 구성한다. - 관리비가 싸고 설비비가 절약된다. - 대규모 종합병원에서 채택되고 있다. (3) 다익형 - 증개축이 편리하며 의료수요의 변화, 진료기술이나 설비의 진보와 변화에 따름 - 분관식의 수직증축 형태로 볼 수 있다. |
7) 병원의 동선체계 |
(1) 보행자 영역 - 이용자(환자, 방문객) : 주진입부, 부진입부 - 직원(의사, 간호사, 일반직원) : 진입부 (2) 차량 영역 - 이용자 차량 : 주차영역 및 진입로의 직원영역 분리 - 직원,서비스차량 : 대체로 건물 후면에 위치하여 이용자 차량영역과 분리 - 응급차량 : 일반이용자와 영역분리 - 영안실 : 별도의 동선 및 주차영역 확보 |
1-2. 세부계획
|
1) 병동부 |
(1) 소요공간 : 병실, NS, 직원용 코어(Elevator,계단,배선실,Dumb Waiter,린넨실), 이용자 코어(Elevator, 계단, 화장실, 오물처리실) (2) 병동부형태 - 중복도형 : 중규모, 소규모 병원, 자연환기가 됨으로 계획이 능률적임. - 이중복도형 : 코어에 인공조명, 기계환기 필요 (3) 병실계획 - 1인실 : 환자의 프라이버시 확보, 병상에서 간호처치 용이, 환자수용구분에 제약없음, 간호관찰의 눈이 잘 미치지 않음. - 2인실 : 환자의 성별에 의한 수용구분이 필요, 동실자 인간관계로 문제가 되기도 함. - 3인실 : 안쪽이 길어지므로 창에서 먼 병상의 조건이 나빠지기 쉬움, 중앙의 병상은 사이에 끼워진 형태이므로 안정성이 없음. - 4인실 : 표준적인 다인실, 프라이버시에 대한 배려가 필요 - 5인실 : 1병상 공간을 로커나 세면장 등으로 이용가능 - 6인실 : 병상당 바닥면적이 비교적 경제적임. - 총실 : 간호관찰이 유리, 프라이버시 확보에 대한 배려가 필요, 소음방지책 필요 (4) 간호원실 - 병동부 중앙부에 위치 - 소요공간 : 근무실, 갱의실, 화장실 - 면적 : 1~2Bay - 1 N.S의 병상수 40Bed(25Bed가 이상적) - 보행거리 24m이하가 바람직 - N.S의 위치는 간호작업에 가장 편리한 위치에 제공(Elevator Hall 및 계단실 등의 Core 근처에 둔다) - N.S에는 호출벨, 인터폰, 약품장, 소독 전열기, 기본보관함, 에어슈트 등을 설치함. (5) 병동부 계획방향 - 병동부의 기능적 고려와 간호, 설비능률 도모 - 간호상 환자관찰이 쉽고 환자의 프라이버시 확보 - 간호사가 간호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조리, 세탁, 조제, 수술실, 검사실, x선실, 기타 특수시설을 두지 않는다. - 외래, 중앙 진료부와 근접하여 환자의 동선을 단축시킨다. - 문병인들의 방문이 쉽도록 계획한다. - 일반병동과 정신병 및 전염병, 결핵병 등은 별동으로 격리시킨다. - 성인과 소아로 구분한다. - 내과, 외과계, 산부인과계 구분한다. - 일반공동병실과 고급병실로 구분하여 같은 단위로 집중시킨다. |
2) 외래진료부 |
(1) 계획방향 - 주출입구 가까운 곳에 위치 -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및 2층이하에 둔다 - 이용자 및 직원의 출입구 및 동선분리, 이용자 출입구도 가급적 입원환자, 외래환자, 방문객의 출입구를 분리한다. - 대기공간은 통로와 분리시켜 독립적으로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 부속진료실을 인접사용한다. - 장래확장, 용도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반영한다. - 외래진료실은 1실당 1일 최대 30~35인정도 진료하는 것으로 본다. (2) 외래각과의 기능 - 내과 : 소진료실 제공, 충분한 난방필요 - 소아과 : 보호자 대기실 확보, 전염우려 환자를 위한 격리실 필요 - 정형외과 : 경사로 설치, 가급적 동선의 부담이 적은 주출입구 근처에 둔다. - 피부비뇨기과 : 방광경실을 별도로 설치, 환자출입이 눈에 띄지 않게 주의, 피부과와 비뇨기과를 가급적 분리시킨다. - 산부인과 : 내진실 설치, 간단한 피임수술 등을 위한 회복실 설치 - 이비인후과 : 남쪽 광선을 차단하고 북쪽 채광, 청력검사용 방음실 설치 - 치과 : 진료실, 기공실, 휴게실 설치, 진료실은 북쪽이 좋다, 기공실은 별도 배기설비시설을 설치한다. - 안과 : 진료, 처치, 검사, 암실을 설치한다. 검안을 위한 5m 거리확보가 필요하다. |
3) 중앙진료부 |
(1) 중앙진료부 구성 수술부, 약국, 분만부, x선부, 물리치료부, 검사부, 혈액은행, 응급부 등이며 약국은 외래에 가깝게 배치한다. (2) 계획방향 - 15~20%의 연면적에 외래와 병동부 가운데 위치한다. - 각부 구성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나 병동부, 외래부와 유기적인 관계유지한다. - 수술부, 물리치료부, 분만부는 통과교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 설비적 측면고려, 오염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충분한 설비공간이 확보되야 한다. - 세균의 오염방지 및 방사선 방호대책을 수립한다. (3) 수술부 - 수술부는 외래와 병동부 모두 이용이 편리한 곳에 배치한다. - 통과교통이 없는 곳에 배치 : 막다른 돌출부 또는 복도 끝에 둔다 - 중앙소독실과 연계 - 출입구는 양여닫이 1.5m 전후의 폭으로 한다. - 최소규격 : 5.5x4.5m, (대수술 : 6x6m, 소수술 : 4.5x4.5m이상) - 천정고 : 일반병실보다 약간 높은 3.5m 정도 (4) 수술실 계획 - 100병상당 1.5실 필요 - 실내온도 26.6℃이상, 습도 55%이상 유지 - 공조설비시 공기를 재순환시키지 않는다. - 피의 보색 : 녹색 주조색을 사용한다. - 수술실 내부를 엿볼 수 있는 작은 유리창 제공 - 수술실을 위한 별도의 기계실 고려 (5) 방사선부 - 외래의 이용률이 80%이상이므로 외래부에 근접하게 배치한다. - 소요두께의 납판과 이와 동등한 콘크리트벽을 설치하고 유리는 납유리를 사용한다. - 요구실 |
가. 촬영투사실 : 암실로 계획, 3m 정도의 천정고 나. 암 실 : 필름현상설비 제공 다. 필름수장실 : 독영실과 인접배치 라. 독 영 실 : 스포트라이트 필요 마. 바 륨 실 : 0.5평 정도의 바륨제조 암실 바. 라듐치료실 : 라듐수장 납금고와 작업대 설치 |
(6) 물리치료부 - 전기요법실 - 수치료법실 - 기계요법실 - 작업요법실 (7) 검사부 - 일반검사실과 기초대사 및 심전도실이 있다 (8) 분만부 - 분만실(Delivery Room)과 진통실(Labor Room)이 있다. (9) 신생아부 - 정상아, 조산아의 육아실 별도 설치. 정상아는 8베드 간호단위이다. - 실내온도 27℃, 습도 50~55%, 방음 내장재 사용 - 신생아 감염방지를 위해 방문객의 접근을 금하고 유리창을 통해 본다. - 신생아실은 복도에 직접 통하는 출입구를 내지 않는다. (10) 구급부 - 일반 이용자(입원환자, 외래환자) 및 직원 출입구와는 별도의 출입구를 통하여 중앙진료부로 연결. - 입원환자의 눈에 띄지 않고 차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 - 대기홀, 응급처치실, 접수실, 의사실, 화장실 등 필요. - 수술실로 신속한 이동이 편리한 위치 |
4) 공급부 |
(1) 급식부 - 입원환자용 주방 : 배선실 및 덤웨이터 설치 - 직원 및 방문객용 식당 : 종합병원 규모에 설치 - 물품 반출입을 위한 서비스 에어리어 필요 - 식당규모 : 1.1~0.45㎡/Bed - 급식방식 : 중앙배선은 환자마다 적당 식사공급, 식사요법이 용이함. 식기회수 및 찬음식 배달의 단점이 있음. - 요구실 : 취사장, 영양사실, 냉장고, 식당, 기타실 (2) 세척실 - 입원환자 전체에 대한 린넨을 세탁하여 공급하기 위해 병원 지하실에 설치, 주로 고압증기 사용 - 오염린넨실 -> 분류 -> 세탁 -> 탈수 -> 다리미질 -> 재봉 -> 접기 -> 중앙 -> 린넨보관실 -> N.S린넨보관실 -> 병실 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짐. (3) 창고 및 기계실 제공, 작업상 땀을 많이 흘리므로 욕실, 변소설비를 제공 |
5) 관리부 계획 |
(1) 관리부 요구실 - 현관 : Lobby, 대기실, 공중전화, 공중변소, Information Desk - 통보 및 교환실 - 입.퇴원 수속실 - 사회사업실 - 직원용 제실, 숙사 - 교육시설, 의국, 강당 등 (2) 관리부 계획방향 - 종래의 본관식 관념에서 벗어나 이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능률적으로 배치한다. - 의국은 일실로 하되 흡연,휴식, 담화의 장소로 한다. |
1-3. 병원건축설계
|
1) 계획의 목표 |
(1) 기능에 따른 동선분리 계획 - 이용자(입원환자,외래환자,방문객)와 직원(의사,간호사,일반직원)간의 동선 및 영역분리 (2) 외래진료부 각과의 합리적 배치 (3) 병실의 규모별 Zoning - 병원의 기능별 단위공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각 부분별 연계성을 고려한다. (4) 거주성 및 환경제공 -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한 병동부의 남향배치를 고려하여 쾌적한 환경여건을 조성한다. (5) 합리적 모듈설정 - 병실규모, 코어계획, 지하주차 등에 따른 적정모듈을 계획한다. (6) 기능에 따른 매스의 분절로 입면변화 유도 (7) 옥외공간의 영역별 적정계획(동적, 준동적, 정적공간) |
2) 법규 검토 |
(1) 지역, 지구에 따른 건폐율, 용적률 (2) 건축물 높이제한 - 도로에 의한 사선제한(전용주거, 일반주거에만 해당) - 일조권 확보를 위한 높이제한 (3) 대지안의 공지 - 건축선으로부터 이격거리 : 1m 이상 - 인접대지 경계선으로부터의 이격거리 : 0.5m이상 (4) 대지안의 조경 - 연면적 2000㎡이상 : 대지면적의 15%이상 (5) 주차댓수 - 종합병원 : 병상수 3개당 1대 또는 연면적 120㎡당 1대 중 다수 적용 - 단과병원 : 연면적 150㎡당 1대 (6) 직통계단 - 3층이상의 층으로 그 층의 거실바닥면적 합계가 400㎡이상인 경우 -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이상인 경우 - 직통계단간 출입구 거리는 10m이상 이격 (7) 승용승강기 설치 - 6층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이상일 때 - 2대에 거실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2000㎡이내마다 1대씩 가산. - 연면적 5000㎡이상인 건축물은 승용승강기중 1대이상을 지체부자유자가 이용. (8) 방화구획 - 연면적이 1000㎡이상인 건축물 - 10층이하는 바닥면적 1000㎡마다 구획 (자동소화설비 설치시 3000㎡마다 구획) - 구획은 갑종방화문, 방화셔터설치 (9) 복도폭 : 중복도일 경우 1.5m 이상 제공 |
3) 모듈 검토 |
(1) 기준층이 될 병동부의 Mass형태와 지하주차장의 경제성 및 기능을 연계하여 모듈적용 (2) 병실의 크기 - 1인실 , 2인실 : 0.5Bay = 3.3 x 6.0m 적용 - 3인실 ~6인실 : 1.0Bay = 6.6 x 6.0 적용 (3) 보통 1Bay는 6.6 x 6.0m 이상이 이상적인 모듈 (4) 종합병원의 경우 병동부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저층부는 상층부 병동모듈과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됨. (5) (3.3(병실) x 2개) x (6.0(병실) + 3.0(복도)) = 6.6 x 9.0m 가 일반적인 병동의 모듈 구성 |
4) 배치계획 과정 |
(1) 도로조건 - 접근성 분석 : 이용자들의 주통행로 파악하여 주진입과 부진입계획 보행동선과 차량동선 분리가 원칙 - 환자의 효과적 접근성 제공 - Emergency의 신속한 처리등을 고려 (2) 향(방위) - 병동부의 향은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동서축을 하여 남향으로 유도계획함. (3) 주변환경 - 안정을 요하는 병원분위기에 저해가 되는 환경(소음원, 시각적 저해요인)여부파악 - 병동부의 향은 남향을 원하므로 에너지절약을 위해 남향으로 병동부를 집중배치 - 특히, 환자들의 정신적 휴식 및 요양을 위한 옥상정원 및 옥외휴식공간을 제공하도록 환경을 계획한다. (4) 도심축 고려 - 병원의 지역적 의료 서비스는 지역주민의 보건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역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발전의 중심축이 되어야 한다. - 상싱적인 건축조형과 매스의 방향성 즉, 병동부의 형태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랜드마크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지역주민들이 항상 건강에 대한 예방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병원의 공간적 기능과 주민들의 자발적인 모임의 장이 옥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21세기형 선진의료 시스템을 적용하여 계획한다. (5) 배치계획적용 - 대지분석에 따라 건물의 배치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병동부의 형태가 영향을 주게 된다. 각 기능별 영역적용을 할 때 이용자, 직원들의 주차장 및 서비스 차량, 옥외휴식공간, 확장계획에 따른 적용모듈을 전체 대지까지 확장시켜 계획의 조닝을 적용 발전시킨다. - 출입결정 조닝구분 적용 : 이용자용(외래환자,입원환자,방문객), 직원용, 고용인용, 서비스물품용 등 - Hospital Street개념의 설정과 배치계획 병원내부기능에 명확한 동선의 흐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방향성을 명확히하여 동선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된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축개념이 적용되어야 한다. - 동선분리 . 이용자와 차량, 서비스의 명확한 분리가 요구된다. . 응급환자를 위한 별도의 출입동선과 주차영역을 확보한다. . 병원이용자와 직원 동선을 분리적용한다. . 내부공간의 기능에 따른 수평 및 수직동선 및 Zoning분리. . 계획시 수직 Stacking : 1,2층 (외래부), 2,3층 (중앙진료부), 4층이상 (병동부), 지하1층(중앙공급부, 서비스부) (6) Main Entrance Plaza 계획 - 주출입축과 부출입축을 결정하고, 만날 때 상징물을 제공하여 이동방향성을 제공하고 적절한 환경제공을 위한 오픈 Plaza를 계획한다. - 보행자 진입로와 옥외휴식공간의 바닥패턴을 결정하여 오픈된 병원의 이미지를 고양한다. - 적절한 식재 및 조경계획을 하여 환경의 풍부한 계획을 이용자들 모두에게 제공한다. (7) 입원환자의 정신적 안정 및 건축적 계획 - 주변소음 및 유해환경을 차단하기 위한 두터운 Buffer Zone을 제공하여 녹지공간으로도 활용하도록 계획한다. 특히, 주변의 공원과 연계성이 가능할 땐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 대지내에 파고라, 소공원을 적극 제공하여 신체적인 고통을 정신적인 안정감으로 충분히 치유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8) 입원환자의 분리 - 입원로비 및 입원환자 : 장기적인 환자를 위한 동선이므로 수직동선의 명쾌한 처리가 중요하며 입원수속에 편리하도록 계획한다. - 외래로비 및 원무과 : 외래진료부의 초,재진 환자들을 위한 충분한 대기공간과 약제부의 약국대기시간을 고려한 외래약국 대기홀의 기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9) 응급환자동선 - 급박한 상황전개가 발생하게 되어 동선의 명쾌한 처리와 교차동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응급부의 내부기능에 간단히 적응할 수 있도록 동선이 짧아야 한다. - 응급, 구급차들의 신속한 이동을 위한 동선처리와 응급부 차량의 주차영역을 확보한다. |
5) 병동부 계획 |
(1) 병상계획과 모듈검토 - 요구 병상수와 병원계획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신중을 기한다. - 요구된 1인실과 다인실을 구분하여 3.3 x 6.0 그리고 6.6 x 6.0의 모듈에 병상수를 적용하여 병동부의 구성을 계획한다. (2) 병동부의 형태 - 병동부의 형태는 크게 일자형, ㄱ자형, 삼각형 그리고 중정형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건축사 시험'에서는 간단하게 그리며 기능을 적용하여야 되는데 가급적이면 적용과 변형이 쉬운 모범답안 형태의 일자형을 스터디하여 둔다. (3) 병동부 기능 - 병동부의 형태와 더불어 기능에 의해 적용분류하면 중앙복도형과 이중복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을 변형시킨 형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기능에 의한 적용요소 - 병동부의 형태결정 후에 Nurse Station위치와 간호동선의 최소화를 만족시켜주는 형태를 선택하여야 한다. 간호동선의 최소화와 NS의 위치정도를 만족시키는 타입은 크랭크타입의 평면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동선의 최소화와 또한 일반인들의 통제가 용이하다. (5) 병원 운영계획에 의한 병동부 설계 - 환자, 방문객 코어 앞 전실기능인 Reception을 두어 일반인의 통제를 가능케한다. - Nurse Corner와 Team Nursing 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6) Medical 계획 |
(1) 저층부 계획 저층부 구성 Zone(외래부, 응급부, 진단 방사선부, 수술부, 중앙소독부, 관리부, 영안실 등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계획한다.) (2) 치료환경 조성 건축적 파빌리온, 로비, Open공간, 대기공간 등의 인테리어 공간 및 옥상정원, 조경공간 등의 외부환경은 건축적 계획을 통하여 쾌적한 병원환경을 구축하여 적용한다. (3) 동선최소화 동선분리를 위해 환자, 의료진, 물품분리 및 동선의 최소화를 목표로 계획한다. (4) 수평, 수직동선 연계 각종 기능배치에 있어 수평, 수직동선을 중요시여겨 관련부서들을 연관, 배치시킨다. |
7) 외래부 계획 |
(1) 제1차 진료구획 : 외래지원부 배치(로비, 외래약국, 접수, 의무기록, 중앙주사실) (2) 제2차 진료구획 : 외래 전과 혹은 부분을 수용하며 장래 용도변경의 융통성을 도모한다. (3) 외래 각과 구성 : 클러스터 타입으로 구획하고 각과마다 전용대기 공간을 확보한다. |
8) 수술부 |
(1) 청결 Zone(청결물 공급동선)과 준청결 Zone(의료진/환자출입 및 물품반출)의 완전분리 (2) Core 근접 병동 및 응급실로 직접 연결 (3) 중앙공급실과 근접, 동일층에는 분만과 신생아실 및 중환자실을 두어 원만한 동선을 연결한다. |
1-4. 입면계획
|
1) 명쾌한 입면 Concept제공 |
(1) 지역 의료환자들의 Landmark적 요소 제공 (2) 지역주민의 장소성 제공 (3) 미래지향적인 이미지 부여 |
2) 기능에 의한 매스감 적용 3) 외관의 균형과 Landmark적 요소 적용 4) 전체적인 통일감과 수평, 수직요소의 균형적인 구성체계 5) 입면 모듈과 평면 모듈간의 연계성 계획 6) 입면기능의 구체성 표현 : 옥상정원, 파고라, 환자 옥외휴게공간 제공 |
1-5. 단면계획
|
1) 명쾌한 수직기능과 시민환자공간의 공간감 극대화 2) 자연채광 실내도입 : 환자에게 쾌적환경 제공 3) 옥상정원 및 지하 서비스공간의 환경향상을 위한 썬큰제공 : 지하영안실과 서비스부 자연채광 극대화 4) 실내 환경설계의 최적화 : 측면채광과 광천정의 조화 5) 건축구조와 실내환경 결합 : 인테리어 Concept의 휴먼화 |
1-6. 조경계획 요소
|
1) Public Concept 개념 적용 2) Open View제공 3) 녹지광장화 효과 : 공개공지의 조경녹지화 4) Plant Box의 조명화 개념 적용 5) 옥상정원 최적환경 설계 : 환자나 방문객이 쾌적한 옥상조경공간을 경험하게 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