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커뮤니티

증권경제용어

프리랜서 김 2009. 6. 26. 08:41

증권경제용어

 


[증권]  구형우선주 [ 구형우선주 ]
구형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의결권은 없지만 결산 때 배당을 더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주식이다. 상법에서는 기업들이 우선주를 발행할 때 언제쯤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기한 등의 내용을 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정관에 보통주로 전환할 수 없는 무기한 우선주와 배당이 다음해에 누적되지 않는 비누적형을 택하였으며, 이 경우 배당은 보통주보다 1%를 더 주는 조건을 달았다. 이런 우선주를 구형우선주라고 한다. 구형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을 1% 더 받긴 하지만 보통주로 전환할 수 없고 그 해 배당을 못 받으면 누적되지 않는다.
 
 
[증권]  권리락주가 [ 권리락주가 ]
권리락 주가 : 권리락이 됨에 따라 신주인수권이 없어지는 상태의 주식에 새로이 형성되는 주가를 말합니다. 시가발행의 경우 권리락 주가를 산출하는 이론적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유상증자의 경우 권리락주가 = {권리부주가 + (1주당 발행가 × 유상증자비율)} / (1 + 유상증자비율)② 무상증자의 경우 권리락주가 = 권리부주가 / (1 + 무상증자비율)③ 유· 무상 병행증자의 경우 권리부주가 = 권리부주가 ㄷ
 
 
[증권]  권리락주가 [ 권리락주가 ]
권리락 주가 : 권리락이 됨에 따라 신주인수권이 없어지는 상태의 주식에 새로이 형성되는 주가를 말합니다. 시가발행의 경우 권리락 주가를 산출하는 이론적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유상증자의 경우 권리락주가 = {권리부주가 + (1주당 발행가 × 유상증자비율)} / (1 + 유상증자비율)② 무상증자의 경우 권리락주가 = 권리부주가 / (1 + 무상증자비율)③ 유· 무상 병행증자의 경우 권리락주가 = {권리부주가 × (1주당 발행가 + 유상증자비율) / (1 + 유상증자비율 + 무상증자비율)***
 
 
[증권]  국제부흥개발은행 (International Bank of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 국제부흥개발은행 (International Bank of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
본부는 워싱턴에 있다. 당초 설립목적은 2차대전 후의 세계경제부흥과 경제개발원조에 있는데 현재는 주로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기관역할.즉, 상업베이스로 장기의 하드론(hard loan;조건이 엄격한 융자) 을 행하고 있다. 이 은행의 융자방침은 1)차입자가 외화로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며,2)융자대상이 되는 개발계획이 실행가능해야 하고, 3)정부 이외의 차입자에게는 정부보증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다.IBRD의 융자대상이 안되는 프로젝트에 대해 조건이 완화된 융자를 하는 IDA와 개발도상국의 민간기업을 융자대상으로 하는 IFC를 합하여 세계은행그룹이라고 총칭한다.
 
 
[증권]  국제금융공사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 국제금융공사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
국제금융공사가 행하는 투자는 정부보증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민간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투자는 대출 또는 자본참여의 형태를 취하고 그 투자액은 소요자금의 50%이하이며 나머지는 민간자본에 의해 투자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증권]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 BIS) [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 BIS) ]
1930년5월 스위스 바젤에서 주요국의 공동출자로 설립된 국제은행 ~당초에는 1차 대전후 독일의 배상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발족했으나 2차대전 후에는 유럽에서의 결제대리 기관으로서 EPU (유럽 지~불동맹) 나 EMA (유럽통화제도) 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매월 월례회를 개최하고 경기,금융문제 등을 토의한다.
 
 
[증권]  가수급 [ 가수급 ]
주식을 사려는 자금이나 팔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자금이나 주식을 빌려 사고 파는 이른바 공매를 말한다. 이는 신용거래를 통하여 적절히 도입되면 매매량과 환금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주가의 안정에도 크게 도움을 주지만 가수급이 과다하면 과당 투기를 유발할 부정적인 측면을 역시 가지고 있다.
 

[증권]  기업분할 (Split-up) [ 기업분할 (Split-up) ]
하나의 기업이 실질적으로나 법적으로 독립된 두 개 이상의 기업으로 나눠지는 조직 재편 방식의 하나로서, 합병의 역순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협의의 기업 분할은 하나의 기업이 그 재산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신설되는 두개 이상의 기업에게 출자하고, 신설 회사의 주식을 피분할회사의 주주가 취득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기업 분할은 이를 가리킨다. 또한 광의의 기업 분할은 사후적으로 기업 분할의 효과를 갖는 자회사 설립이나 영업 양도 등 일체의 조직 변경 행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업분할의 유형은 주식배당형(spin-off), 주식교환형(split-off), 모회사소멸형(split-up)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증권]  기대수익 극대화 기준 [ 기대수익 극대화 기준 ]
불확실성하의 투자선택에 관한 가정 단순하고 원시적인 접근방법으로서 여러 투자대안들 중에서 평균적으로 기대되는 결과인 기대수익을 유일한 선택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투자자들은 여러 대안들 중 기대수익이 가장 큰 것부터 선택하게 된다는 가설이다. 기대수익극대화에 의한 투자선택가설은 각 투자안의 수익성만 고려할뿐 위험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로는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증권]  기관투자가 [ 기관투자가 ]
유가증권 투자에서 발생되는 이익을 주수입원으로 하여 운용되는 법인 형태의 투자가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기관투자가들은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우리나라에서도 미국.일본 정도의 영향력만큼은 못되어도 주가의 결정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은행.보험회사.투자신탁회사.연기금 등이 주요 기관투자가에 속한다.
 
 
[증권]  금전신탁 [ 금전신탁 ]
광의로는 위탁자가 신탁한 재산이 금전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신탁이 종료되었을 때 수탁자가 신탁재산의 전액을 금전형태로 수익자에게 교부하는 신탁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그 중에서도 특히 신탁업무취급은행이 각각 다수의 위탁자로부터 신탁약관에 따라 운용방법이 지정된 금전을 수령하여 이것을 합동으로 운용,그 수익을 수익자에게 신탁금액 및 기간에 따라 분배하는 금전신탁을 말한다. 금전신탁에는 위탁자가 위탁재산의 운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지적하는 특정금전신탁과 위탁재산을 수탁자가 임으로 운용하는 불특정금전신탁이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불특정금전신탁만 취급하고 있다.
 
 
[증권]  금융통화위원회 [ 금융통화위원회 ]
통화신용의 운용관리에 대한 최고정책 결정기관이며 일반은행에 대한 최종적인 감독기관인 동시에 한국은행의 업무운영 및 관리에 관한 지시 감독기관을 말한다. 즉,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법 및 은행법에 규정된 범위내에서 통화신용의 운용관리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는 동시에 이를 감독하고 동위원회에 부여된 기타기능과 권한을 행사하고 한국은행의 업무운영 관리에 관하여 지시,감독하는 일종의 독립적인 행정위원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동 위원회의 구성원은 재무부장관,한국은행 총재,경제기획원장관이 추천하는 위인 1인,농림수산부장관 및 상공부장관이 추천하는 위원 각2인,금융기관이 추천하는 위원2명 등 9명의 위원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임기는 3년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7명이상의 위원 출석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증권]  금융통화운영위 [ 금융통화운영위 ]
우리나라의 통화신용정책수립기관이다.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치됐으며 한국은행의 업무운영관리를 지시감독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구성원은 재무부장관과 한은총재를 당연직으로해 경제기획원장관이 추천하는 위원 1명,금융기관이 추천하는 위원 2명,농림수산부 장관이 추천하는 위원 2명,상공부장관이 추천하는 위원 2명등 총 9명이다. 의장은 재무부장관이 맡으며 위원의 임기는 3년이다. 통화신용정책수립은 통화량이나 금리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에 물가나 경제성장등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따라서 주요경제부처의 의견을 통화정책에 반영하도록 각 경제부처에서 위원들을 추천하도록 돼있다. 금통운위는 한국은행감독기관으로 한은총재의 추천에 따라 한은직원을 임면하고 예산및 결산을 승인한다.각 은행 본점과 지점의 인가업무도 수행한다 통화운용이나 금리수준의 최정결정권도 갖는다.최근 논쟁이 빚어졌던 한은재할금리등의 공금리인하여부에 대한 최정결정도 금통운위에서 하도록 돼있다.
 
 
[증권]  금융제도개혁법 (미국) [ 금융제도개혁법 (미국) ]
1980년3월31일에 제정된 미국의 < 1980년 금융기관 규제철폐 및 통화관리법>의 통칭으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비가맹은행 및 저축금융기관에 대한 지불준비제도 확대 적용 2.예금금리규제의 단계적 철폐 3.자동대체서비스(ATS)및 양도가능인출지시서(NOW)계정의 취급승인 4.저축금융기관의 소비자 대출 등 업무범위 확대 5.주의 대출상한금리규제의 폐지 (단,주에 재규제권한 부여)
 

[증권]  금융연관비율 [ 금융연관비율 ]
일국 국민소득의 금융자산(무형자산)과 실물자산(유형자산)과의 비율. 이것은 Goldsmith, R.W.가 창출해낸 개념으로서 경제성장과 금융 구조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금융연관비율 = 국민자산 / 국부 - 1 = (국민자산 - 국부) / 국부       = (유형자산+무형자산) -유형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유형자산 = 금융자산 / 실물자산
 
 
[증권]  구매력변동위험 [ 구매력변동위험 ]
증권투자수익의 변동위험의 일종으로서 물가변동으로 인하여 투자수익의 실질가치가 변동하는 위험을 말하는데 화폐가치변동위험이라고도 한다. 실제문제로서는 물가가 하락 (구매력 증대) 하여 실질투자수익이 상승 할 경우의 확률은 무시할 정도로 적으므로 예상구매력 변동위험의 크기는 예상인플레율의 기대치주변의 분산으로 구할수 있다. 한편 각 시점의 화폐가치로 측정된 투자액 및 수익에 기초해 계산된 투자수익률을 명목수익률이라 하고 명목수익률에서 물가상승률(인플레율) 을 뺀 것을 실질수익률이라고 한다.
 
 
[증권]  교환사채 [ 교환사채 ]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주식 등 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사채를 말하며,특히 우리나라의 교환사채는 사채권자에게 사채발행 회사에 대하여 당해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과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교환사채는 일반사채에는 없는 주식과의 교환권을 부여하여 장래에 주식의 가격상승에 따른 높은 투자수익을 기대하게 하고 그 대가로 사채의 이자율을 낮게 정하여 기업자금조달 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사채발행에 의한 자금조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전환사채와 마찬가지로 투자의 안정성과 투기성을 겸비하고 있어서 유리한 투자대상이 된다. 교환사채와 전환사채는 확정이자를 받는 사채로서의 안정성과 주식의 투기성을 함게 가지고 있는 주식과 사채의 중간적 형태를 취하며,교환권이나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는 소멸한다는 점,회사의 자금 조달을 쉽게할 수 있는 특수사채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전환사채의 경우에는 전환청구로 인하여 회사가 신주를 발행 하는데,교환사채는 발행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과 교환 한다는 점에서 권리의 내용이 다르다. 또한 교환사채는 주주의 이익에 직접 영향을 주는 사채가 아니므로 발행방법에 관한 특별한 규정이 필요없다.
 
 
[증권]  괘선 [ 괘선 ]
봉챠트라고도 하는데 과거의 주가움직임을 그래프화하여 앞으로의 주가동향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증권]  긴급관세 [ 긴급관세 ]
외국에 있어서 가격의 하락이나 기타 예상치 못했던 사정의 변화로 인해 특정산품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 경쟁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거나 입힐 우려가 있는 경우에 정부의 권한으로 통상의 관세에 추가로 부과하는 관세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금액은 그 화물의 적정한 국내도매가격과 수입가격과의 차액범위내에서 결정된다. 한편 긴급관세가 가트 양허세율의 인상일 경우는 가트규정에 따라 관계국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증권]  기회비용 [ 기회비용 ]
다양한 용도를 지니고 있는 재화가 다른 용도를 단념하고 어떤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을 때 단념한 제용도의 가치희생분을 화폐가치로 측정평가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10,000원을 지출하여 제조한 반제품을 외부에 그대로 판매할 것인가 또는 더 가공하여 최종제품을 만들 것인가를 검토할 경우 반제품을 그대로 외부에 판매할 경우 16,000원으로 판매할 수 있다고 한다면 이 16,000원이 기회비용이 된다.
 
 
[증권]  관세환급 [ 관세환급 ]
우리나라 상품을 외국에 수출할경우 해당 수출물품의 원자재 수입시 납부한 관세를 되돌려 주는 제도임. 이는 국내기업의 수출지원을 목적으로 도입됨. 우리나라는 지난75년6월까지만해도 수출용원자재를 들여올 때 처음부터 관세를 매기지 않고 면세로 통관시키는 '사전면세제'를 실시해 왔으나 75년7/1일부터는 통관시 관세를 물렸다가 수출한 뒤 관세를 돌려주는 환급제로 바꿈. 사전면세제에서 환급제로 바꾼것은 원자재를 면세로 수입해서 내수용 상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등 불법유용이 있었기 때문임. 관세환급제는 원래 수입당시 부담한 관세를 정확하게 되돌려 받는 것이 원칙이나 제품을 만드는데 얼마만큼의 수입원자재가 사용됐는지 정확히 따지기란 극히 어려움. 따라서 관세환급액이 크지 않을 경우 환급액을 미리 정해놓고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고 있음. 이를 '간이정액환급제'라고 함. 관세환급규모가 클 경우는 납세에 대한 증빙서류등을 갖춰 개별적으로 환급을 받을 수 있음.
 

[증권]  금융연관비율 [ 금융연관비율 ]
일국 국민소득의 금융자산(무형자산)과 실물자산(유형자산)과의 비율. 이것은 Goldsmith, R.W.가 창출해낸 개념으로서 경제성장과 금융 구조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금융연관비율 = 국민자산 / 국부 - 1 = (국민자산 - 국부) / 국부       = (유형자산+무형자산) -유형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유형자산 = 금융자산 / 실물자산
 
 
[증권]  구매력변동위험 [ 구매력변동위험 ]
증권투자수익의 변동위험의 일종으로서 물가변동으로 인하여 투자수익의 실질가치가 변동하는 위험을 말하는데 화폐가치변동위험이라고도 한다. 실제문제로서는 물가가 하락 (구매력 증대) 하여 실질투자수익이 상승 할 경우의 확률은 무시할 정도로 적으므로 예상구매력 변동위험의 크기는 예상인플레율의 기대치주변의 분산으로 구할수 있다. 한편 각 시점의 화폐가치로 측정된 투자액 및 수익에 기초해 계산된 투자수익률을 명목수익률이라 하고 명목수익률에서 물가상승률(인플레율) 을 뺀 것을 실질수익률이라고 한다.
 
 
[증권]  교환사채 [ 교환사채 ]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주식 등 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사채를 말하며,특히 우리나라의 교환사채는 사채권자에게 사채발행 회사에 대하여 당해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과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교환사채는 일반사채에는 없는 주식과의 교환권을 부여하여 장래에 주식의 가격상승에 따른 높은 투자수익을 기대하게 하고 그 대가로 사채의 이자율을 낮게 정하여 기업자금조달 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사채발행에 의한 자금조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전환사채와 마찬가지로 투자의 안정성과 투기성을 겸비하고 있어서 유리한 투자대상이 된다. 교환사채와 전환사채는 확정이자를 받는 사채로서의 안정성과 주식의 투기성을 함게 가지고 있는 주식과 사채의 중간적 형태를 취하며,교환권이나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는 소멸한다는 점,회사의 자금 조달을 쉽게할 수 있는 특수사채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전환사채의 경우에는 전환청구로 인하여 회사가 신주를 발행 하는데,교환사채는 발행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과 교환 한다는 점에서 권리의 내용이 다르다. 또한 교환사채는 주주의 이익에 직접 영향을 주는 사채가 아니므로 발행방법에 관한 특별한 규정이 필요없다.
 
 
[증권]  괘선 [ 괘선 ]
봉챠트라고도 하는데 과거의 주가움직임을 그래프화하여 앞으로의 주가동향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증권]  긴급관세 [ 긴급관세 ]
외국에 있어서 가격의 하락이나 기타 예상치 못했던 사정의 변화로 인해 특정산품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 경쟁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거나 입힐 우려가 있는 경우에 정부의 권한으로 통상의 관세에 추가로 부과하는 관세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금액은 그 화물의 적정한 국내도매가격과 수입가격과의 차액범위내에서 결정된다. 한편 긴급관세가 가트 양허세율의 인상일 경우는 가트규정에 따라 관계국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증권]  기회비용 [ 기회비용 ]
다양한 용도를 지니고 있는 재화가 다른 용도를 단념하고 어떤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을 때 단념한 제용도의 가치희생분을 화폐가치로 측정평가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10,000원을 지출하여 제조한 반제품을 외부에 그대로 판매할 것인가 또는 더 가공하여 최종제품을 만들 것인가를 검토할 경우 반제품을 그대로 외부에 판매할 경우 16,000원으로 판매할 수 있다고 한다면 이 16,000원이 기회비용이 된다.
 
 
[증권]  관세환급 [ 관세환급 ]
우리나라 상품을 외국에 수출할경우 해당 수출물품의 원자재 수입시 납부한 관세를 되돌려 주는 제도임. 이는 국내기업의 수출지원을 목적으로 도입됨. 우리나라는 지난75년6월까지만해도 수출용원자재를 들여올 때 처음부터 관세를 매기지 않고 면세로 통관시키는 '사전면세제'를 실시해 왔으나 75년7/1일부터는 통관시 관세를 물렸다가 수출한 뒤 관세를 돌려주는 환급제로 바꿈. 사전면세제에서 환급제로 바꾼것은 원자재를 면세로 수입해서 내수용 상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등 불법유용이 있었기 때문임. 관세환급제는 원래 수입당시 부담한 관세를 정확하게 되돌려 받는 것이 원칙이나 제품을 만드는데 얼마만큼의 수입원자재가 사용됐는지 정확히 따지기란 극히 어려움. 따라서 관세환급액이 크지 않을 경우 환급액을 미리 정해놓고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고 있음. 이를 '간이정액환급제'라고 함. 관세환급규모가 클 경우는 납세에 대한 증빙서류등을 갖춰 개별적으로 환급을 받을 수 있음.
 

[증권]  관리종목 [ 관리종목 ]
관리종목은 증권거래소가 유가증권 상장 규정에 의거,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는 종목 가운데,특별히 지정한 종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부도의 발생.회사정리 절차 개시,감사의견의 부적정 또는 3년 계속 의견 거절,3년동안의 영업활동의 정지 등의 사유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투자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관리종목은 제2부종목과 마찬가지로 신용거래 대상에서 제외되며 대용증권으로도 활용할 수 없다.그리고 이것의 매매방법도 별도의 제한을 받아,전장과 후장별로 매매입회시간 범위내에서 접수된 호가를 동시호가로 취급하며,가격결정은 단일 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의 방식을 취한다.
 
 
[증권]  공황 [ 공황 ]
호경기로 투자가 지나치게 활발하면 과잉투자가 되고 이때 경기가 악화될 경우 경제는 극도의 혼란상태에 빠진다. 상품이 팔리지않아 재고가 급증하며 물가는 떨어지고 지급불능으로 도산하는 기업이 늘어난다. 기업도산에 따라 기업에 자금을 빌려준 은행들마저 도산하게 되면 이것이 전형적인 공황상태이다. 흔히 공황이라면 과잉생산으로 인한 경제위기를 가리키며 대표적인 예로 1929년 가을부터 1933년까지 계속된 세계공황을 들 수 있다.
 
 
[증권]  공헌이익 [ 공헌이익 ]
손익분기분석에서 단위당 판매가격으로부터 단위량 변동비를 차감한 것이며,총공헌이익 중에서 고정비를 차감하면 기업의 이익이 산출 된다. 즉,공헌이익=단위당 판매가격-단위당 변동비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공헌이익률이 있는데 이는 공헌이익을 단위당 판매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증권]  기업공시 [ 기업공시 ]
기업공시란 기업내용이나 투자신탁의 운용 내용을 일반투자자나 거래처.채권자.소비자 등 기업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여, 그들로 하여금 기업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투자자 보호를 위한 유가증권 거래 규제 방법으로서 공시주의를 채택하고 있는데,이는 유가증권의 발행인으로 하여금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완전히 공시시켜 투자자에게 투자판단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근본취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발행시장에서의 기업은 유가증권 신고서.유가증권 실적보고서를 일반인에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사업설명서를 작성하여 투자자에게 교부하여야 하며,유통시장에서는 거래와 관련된 투자판단 자료 (주로 사업보고서와 반기보고서임) 를 계속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공시방법에는 1)서류 등의 비치.열람 2)일간 증권시장지에 게재 3)시황방송에 의한 전달 등이 있으며,공시의 유형에는 직접공시와 간접공시,조회공시가 있다.
 
 
[증권]  기업공개촉진법 [ 기업공개촉진법 ]
기업의 공개를 촉진하여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재무구조의 개선을 도모하고 국민의 기업참여를 유도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72년12월에 제정된 법률이다. 동법은 국민경제적 차원에서 기업공개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업공개유도정책에서 반강제적으로 기업을 공개하도록 법제화 한것으로 8.3조치에 의한 조정사채,금융자본의 여신,현금차관 등의 규모가 일정액 이상인 공개적격법인을 선정하여 기업공개심의위원 회가 이들에 대하여 기업공개명령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공개를 명령받은 기업이 공개이행을 태만히 하였을 경우에는 세제 및 금융상 막대한 제한을 가하는 반면에 공개법인에 대하여는 그 혜택의 폭을 더욱 확대시켜 기업의 공개를 적극 추진한 결과 1973년부터 공개를 지정받기에 앞서 자발적으로 기업을 공개하는 등 공개가 활기를 띠게 되었다. 이 기업공개촉진법은 1987년 자본시장육성법이 전면적으로 개정되면서 이에 흡수.통합되었다.
 
 
[증권]  공정환율 [ 공정환율 ]
자유환율과 대립되는 개념이다. 자유환율(free exchange rate)은 외환의 수급에 따라서 자유로이 변동하는데 반해 공정환율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정하여 자유로이 변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공정환율은 1955년8월15일에 500환대 1달러로 단일공정환율이 설정될 때까지 일반공정환율 이외에 대충자금환율, 유엔군에 대한 환율,기타 유엔군기관에 대한 환율 등이 있었다.
 
 
[증권]  기업경기실사지수 (business survey index; BSI) [ 기업경기실사지수 (business survey index; BSI) ]
경기예측방법의 하나로서 경기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그리고 이에 대비한 계획서 등을 설문서를 통해 조사,수치화하여 전반적인 경기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를 말한다. 이 지수는 다른 경기관련지표와는 달리 기업가의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요소까지 조사가 가능하며 정부정책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기준치는 0이며 정(+)이면 경기확장국면을 부(-)이면 경기수축 국면을 나타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업경기실사지수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국산업은행과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BSI는 경기의 전환성을 예측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경기의 진폭이나 강도를 예측하는 데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증권]  기세 [ 기세 ]
증권시장에서 매매계약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의 호가를 말한다 매도호가의 경우에는 바로 전의 시세에 비하여 가장 낮은 호가가 기세가 되며 매수호가의 경우에는 바로 전의 시세에 비하여 가장 높은 호가가 기세가 된다. 기세는 매매가 형성되지 않았을 뿐 시세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주가흐름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에서는 이를 실세로 인정하고 있다 기세는 당일의 종가로 처리되므로,당해종목의 시세흐름 및 시황을 왜곡할 우려가 있어,기세의 마감시간은 입회 종료15분 전으로 정하고 있다. 그리고 전광판이나 도표에 표시할 때는 당해 종목의 시세앞에 X표를 하고 있다
 
 
[증권]  금융서비스업 [ 금융서비스업 ]
영국에서 1986년11월에 제정된 법률로 1981년경부터 발생한 잇따른 투자자문회사의 불상사에 의한 투자자보호움직임이 입법의 계기가 되었으나 법안의 심의과정에서 이미 성안이 확정된 \"빅뱅\" 으로 나타난 증권업무의 자유화에 포함되었다. 법의 구성은 투자자보호를 실현하기 위하여 인가없이는 어느 기관도 투자업무를 영위할 수 없도록 하였다. 동법의 소관은 무역산업부이면서 그 인가행위는 민간단체인 증권투자 위원회(Securities Investment Board 약칭 SIB)에 위임토록 되어 있는데 투자업무에 관련된 자가 인가를 얻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증권투자위원회가 인정한 자율규제단체(self Regulatory Organization 약칭 SRO)에 가맹하는 방법이 있다.
 
 
[증권]  금리평가이론 (interest rate parity theory ; IRPT) [ 금리평가이론 (interest rate parity theory ; IRPT) ]
국가간의 자본이동에 규제가 없는 완전한 금융시장(perfect financial market)에서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을 고려하지 않고 2개국간의 금리격차와 환율과의 균형관계를 설명한 이론으로,즉 완전한 금융 시장에서 2개국간의 금리차는 선물환프리미엄 또는 디스카운트와 동일하다는 이론이다.
 
 
[증권]  금리스왑채권 [ 금리스왑채권 ]
국제채시장에서 신인도나 지명도가 높은 일류은행이 저금리의 고정 금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신인도가 낮은 일반기업은 변동금리채권을 발행하여 각자의 금리부담을 상호간에 교환함으로써 양자가 자금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이와 같은 금리교환거래에 이용되는 채권을 금리스왑채권(interest rate swap bond)이라고 한다. 금리스왑거래에서는 신인도가 높은 일류은행이 채권시장에서 그들의 높은 지명도를 이용하여 유리한 금리조건으로 고정금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동 자금의 고정금리를 금리스왑거래 상대기업으로 하여금 지급하게 함으로써 상대기업의 입장에서는 일류은행이 신인도를 이용하여 유리한 조건의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며 일류은행의 입장에서는 변동금리부채권발행에 따른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대기업이 부담하게 됨으로써 은행이 직접 변동금리부채권을 발행하는 것보다 저렴한 금리로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증권]  금리선물옵션 [ 금리선물옵션 ]
예상하지 못한 금리변동으로 초래되는 금융자산의 가치변동위험을 방어하거나 또는 추가이익의 실현을 위해서 이용되는 선택권부 금융선물거래를 말한다. 금리선물옵션은 통화옵션에서와 마찬가지로 옵션매입자(option buyer)가 장래의 일정시점 이전에 옵션매도자(option writer)로부터 일정 선물계약을 일정행사가격(exercise price)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계약을 말한다.
 
 
[증권]  금고주 [ 금고주 ]
회사가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를 말하는데 사내주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자기주식의 소유를 금지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관계회사간의 주식보유,상호출자 등의 방법에 의해서 비합법적으로 자기주식을 소유하는 예가 많이 있다.
 
 
[증권]  공정할인율 [ 공정할인율 ]
공정할인율이란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대해 적격어음의 재할인 내지는 적격어음.유가증권 등의 담보대출에 적용하는 금리로 이들의 할인율,대출금리의 변경에 따라 시중은행의 여신업무를 억제하거나 자극하여 양적.간접적으로 금융을 조정함으로써 물가경기에 영향을 끼치도록 하는 정책을 공정할인율정책 또는 금리정책이라고 한다. 시중은행의 보유현금은 민간으로부터의 예금 또는 중앙은행으로부터의 차입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필요준비를 상회하는 자유준비 (과잉준비 )는 민간에의 대출로서 운용되는데 이 경우 자유준비가 클수록 시중은행의 신용공급능력과 그 의욕도 크다. 공정할인율의 변경은 시중은행의 중앙은행 차입을 억제 또는 촉진함으로써 대여자인 시중은행의 자유준비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서는 당해은행의 신용공여량에 영향을 주는데 이것을 유통성효과라고 한다. 또 공정할인율은 그것과 연동되어있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등 각종 시중금리에 영향을 주어 그것이 기업의 자금코스트를 변화시켜 자금 수요에 영향을 준다. 더욱이 중앙은행이 공정할인율을 변경할 경우 그것이 당국의 금융 상황 내지는 경제일반에 대한 판단의 척도로 받아들여져 각 경제 공정할인율 주체가 그에 대해 모종의 반응을 나타낼 때 그 행동의 영향은 경제전반에 미치게 되는데 이같은 것을 어나운스먼트효과라고 한다.
 

[증권]  공시최고 [ 공시최고 ]
주권,무기명증권 등에 있어서 도난,분실,멸실 등으로 인하여 권리의 행사가 방해를 받게 되었을 경우에 재판소가 이해관계인 (주권,무기명증권 등은 최종소지인) 의 신청에 따라 미지의 상대방에게 실권의 경고를 첨부하여 권리신고의 최고를 하는 것을 말한다. 권리의 신청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제권판결에 의하여 그 증권은 무효가 되며 발행회사는 그 증권을 재발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시최고는 그 증권의 발행회사 본점소재지의 간이재판소에서 행한다.
 
 
[증권]  공시지가 [ 공시지가 ]
건설부가 매년 전국에서 대표성있는 토지로 선정한 표준지 15만 필지의 가격을 조사평가하고 토지개발공사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로 구성된\"토지평가위원회\"의 심의조정을 거쳐 공시하는 지가를 말한다. 그동안 재산세 등의 지방세 과세기준이 되어온 과세시가 표준액,공공사업에 따른 토지보상기준인 건설부의 기준시가,양도세등을 낼 때 적용되는 국세청의 기준시가,융자를 받을 때 사용되는 감정원의 감정시가 등으로 세분되어 있던 지가가 1989년7월부터 공시지가로 일원화 되었다.
 
 
[증권]  공매 [ 공매 ]
신용거래제도를 이용하면 소정의 위탁보증금을 적립하는 것만으로 실물이 없더라도 주식을 팔 수 있다 이것은 증권회사 및 증권금융회사로부터 빌린 주식을 파는 것으로서 형태는 어디까지나 실물거래이지만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팔기 때문에 공매라고 한다. 판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주식을 다시 매입하여 차액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는 시세의 차액만을 목표로 하는 순수한 공매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격하락을 조금이라도 회복하기 위하여 다른 품목을 팔아서 위험 분산을 시도하는 연계매도 등이 있다
 
 
[증권]  공개시장조작 [ 공개시장조작 ]
공개시장조작이란 중앙은행이 공개시장 (증권시장) 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주로 공채 기타 정부증권을 매도.매입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화폐량 내지는 화폐적 요인에 충격을 주어 금융조정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자를 매도조작,후자를 매입조작 이라고 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매매상대방은 기관투자가를 포함한 일부 투자자 일 경우도 있으며 은행일 경우도 있다. 공개시장조작의 작용경로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첫번째는 시중 은행의 현금준비에 대한 영향을 통한 작용경로이며,두번째는 이자율에의 영향을 통한 것이다. 준비량효과를 매입조작의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앙은행이 시중 은행으로부터 국채를 매입할 경우 중앙은행의 자산계정에는 국채보유량이 증가하고 부채계정에는 당해은행의 예금잔고가 증가한다.
 
 
[증권]  공개매입제도(TOB) [ 공개매입제도(TOB) ]
경영의 지배를 목적으로 일정 기간내에,일정 가격으로,일정주식수를 매입한다는 내용을 일반에게 공개하고 주식시장 외에서 주식을 모으는 것을 말한다 주식의 공개매입제도는 영국에서는 take over bid (TOB)라 하고, 미국에서는 tender offer라고 한다 미국,영국,프랑스 등에서는 투자자를 보호한다는 입장에서 공개매입의 내용을 널리 일반투자자에게 알리도록 법률에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식매입으로 인한 기업지배는 죄악시되고 있어 실제문제로서 TOB식의 주식매집이 발생한 적이 없다
 
 
[증권]  공개매수 [ 공개매수 ]
주식의 공개매수란 회사의 지배권 획득 또는 강화를 목적으로 주식의 매수희망자가 매수기간,가격,수량 등을 공개적으로 제시하고, 유가증권시장 외에서 불특정다수의 주주로부터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이다. 공개매수 희망자는 공개매수신고서 및 첨부서류를 증권관리위원회에 제출,그 신고의 효력이 발생(10일) 하면 공개매수를 할 수 있다 공개매수신고서에는 1)공개매수자 및 대리인 (증권회사) 에 관한 사항, 2)공개매수의 요령, 3)공개매수자 및 특별관계자에 의한 증권등의 소유상황 및 거래상황, 4)공개매수하고자 하는 주권 등의 발행회사의 상황, 5)교환의 대가로 인도할 유가증권 발행회사의 상황 등이 기재되어야 하며,공개매수자는 그 신고의 효력이 발생하기 전에 당해신고서의 사본을 공개매수할 유가증권의 발행인에게 송부하여야 한다. 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하면 이를 2개 이상의 일간지에 게재하고 신고서 사본을 거래소에 제출하여야 한다. 증권관리위원회는 공개매수신고서를 그 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날로부터 1년간 예치하고 공중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증권]  고정형 투자신탁 [ 고정형 투자신탁 ]
투자신탁은 관리.운용면으로 분류했을 때의 분류방법으로서 편입된 증권을 한 번 결정하면 신탁기간 종료시까지 운용자의 자유재량으로 변경할 수 없는 투자신탁을 말한다. 따라서 고정형에 있어서 위탁자는 펀드의 설립시에 가장 이상적인 증권을 선정하여 수탁자에게 당해 증권의 편입을 지시하면 위탁자의 기능은 그것으로서 종료된다. 고정형 투자신탁은 미국에서는 대공황시에 투자신탁업계에 의해 채택 하였으며 1930년대에는 영국에서도 유행하였다. 고정형과 관리형과의 중간에 속하는 것으로서 반고정형 또는 한정 관리형이라고 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수익자의 이익이 되는 경우에는 편입증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증권]  고정재무비보상률 [ 고정재무비보상률 ]
영업이익으로부터 지급해야 할 고정재무비는 이자비용 이외에도 장기 임차계약에 의한 임차료,또는 지대가 있다. 이와 같이 지급이자, 임차료,지대 등의 고정재무비와 법인세공제전순이익의 합계액을 고정 재무비로 나눈 비율을 고정재무비보상률이라고 한다. 이 비율은 이자보상률의 보조비율로서 지급이자를 포함한 고정재무비의 부담능력과 영업성과를 비교해 준다. 고정재무비보상률 = (고정재무비+법인세공제전순이익) / 고정재무비 x 100(%)         = ((지급이자+임차료+지대) +법인세공제전순이익) / (지급이자+임차료+지대) x 100(%)
 
 
[증권]  고정장기적합률 [ 고정장기적합률 ]
장기자본 (자기자본+고정부채) 과 고정자산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비율로서 장기자본금 100에 대해서 고정자산이 몇%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비율이며 자본배분의 안정성을 측정,판단하는 보완비율로 이용된다. 고정장기적합률=고정자산 / 장기자본 x 100 = 고정자본 / (자기자본+고정부채) x 100이 비율은 장기자본의 고정화정도를 측정판단하기 위한 비율로서 기업의 업종부문,예를 들면 철도,전력,제철,통신,항공 등의 업종 부문에서는 이 투자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정비율이 100%를 초과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보완비율인 고장장기적합률이 100%이하인 경우에는 기업의 재무유동성에 압박을 가하는 일이 없으므로,기업재무상 자본배분의 안정성은 양호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증권]  고정자산회전율 [ 고정자산회전율 ]
따라서 이 비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고정자산의 운용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증권]  고정자산회전율 [ 고정자산회전율 ]
고정자산이 일정기간 중에 몇 회전하였는가 하는 고정자산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비율이다. 이 비율에 의하여 고정자산의 이용도를 측정 검토해서 기업자본의 이용도,즉 그 활동성에 대한 양호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고정자산회전율 = 순매출액 / 고정자산이 고정자산회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고정자산에 투하된 기업자본이 효율적으로 운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고정자선과 관계되는 제고정비,예를 들면 감가상각비,이자,보험료, 고정자산세,기타 고정비의 부담이 절감된다. 따라서 제품단위당 원가절감으로 인하여 경쟁시장에서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되므로,기업의 수익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이 비율이 저율인 경우에는 설비운용의 비능률 또는 고정자산에의 과대투자를 의미하기 때문에,고정비의 증가로 인하여 수익성과 유동성이 저하되어 재무적 위험성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증권]  고정비율 [ 고정비율 ]
고정자산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로서 자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것이다. 고정비율이 100%이하이면 자기자본의 일부가 유동자산을 마련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100%이상이면 고정자산의 일부를 차입자본으로 조달되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므로 고정비율이 높을수록 재무유동성 안정성이 낮게 된다. 한편 이 비율은 업종,경제정세 등에 따라 그 차이가 있다. 고정비율 = 고정자산 / 자기자본 x 100(%)
 
 
[증권]  고정부채 [ 고정부채 ]
유동부채 이외의 부채를 말하는 것으로 결산일 또는 대차대조표일로부터 기산하여 지급기한이 1년이내에 도래하지 않는 부채를 말한다 고정부채에 속하는 항목으로는 사채,장기차입금,관계회사 정기차입금 퇴직급여충당굼,특별수선충당금 등과 같은 장기적 부채성 충당금과 주주,임원,종업원으로부터의 장기차입금이 있다. 고정부채는 기업의 재정상태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본과 함께 장기적인 고정자금원천을 표시하는 중요한 항목이 되고 있다.
 
 
[증권]  고용승수 [ 고용승수 ]
일정산업의 고용증가가 임금과 이윤의 증가로 연결되어 수요를 증대 시킴으로써 전산업에 어느 정도의 고용증가를 유발할 것인가 하는 비율을 말한다. 일정산업의 고용증가를N1,전산업에 있어서의 고용증가를N이라고 한다면,N=KxN1이 되는데 이때 K를 고용승수라고 한다. 고용승수 개념을 최초로 사용한 것은 P.F.칸으로 그는 고용승수를 공공사업진출이 총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고유가치(intrinsic value)???증권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식의 현실가격에 상관없이 합리적인 평가기준에 의하여 측정되는 주식의 가치를 고유가치,내재가치 또는 본질적 가치라 한다 이 주식의 고유가치는 주로 기본적 분석가들에 의해 평가되는데,그 평가 기준에는 향후 4, 5년 동안에 예상되는 기업의 이익.배당.자산가치.자본환원율 등이 있다
 

[증권]  고객예탁금 반환준비금 [ 고객예탁금 반환준비금 ]
고객의 고객예탁금 반환 등의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증권회사가 보유해야 하는 준비금으로 준비기준은 위탁자예수금,저축자예수금, 자기신용 대주 담보금,수입담보금 합계의 10%이다. 준비방법은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는 전월 16일부터 말일까지의 일평균 준비기준에 준비율을 곱한 금액 이상을,매월16일부터 말일 까지는 당월 1일부터 15일까지의 일평균 준비기준에 준비율을 곱한 금액이상을 한국증권금융 (주) 에 예치하도록 되어있다.
 
 
[증권]  고객예탁금 [ 고객예탁금 ]
증권회사가 유가증권의 매매거래 등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받아 일시보관중인 금전을 말한다. 고객예탁금에는 위탁자예수금,청약자예수금,저축자예수금,환매조건부 예수금,자기신용대주담보금,신용거래구좌설정보증금,신용공여담보금 등이 있다. 증권회사는 고객예탁금을 신용공여의 재원이나 한국은행통화안정증권의 인수.매입재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그 이용대가로 고객에게 일정액의 이용료를 지급해야 한다. 그리고 증권회사는 고객예탁금의 반환 등 고객의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일정액 이상을 고객예탁금 반환준비금으로 보유하여야 한다
 
 
[증권]  글로벌리제이션 [ 글로벌리제이션 ]
국제화를 말하는 것으로 인터날라이제이션(Internalization)에 비해 전 세계적인 시야로의 경영전개라는 전략적인 의미가 강하다.
 
 
[증권]  권리부 [ 권리부 ]
배당 및 신주를 받을 권리를 갖고 있는 주식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이러한 권리가 없는 주식을 배당락 및 권리락이라고 말하고 보통 주가는 권리락 후에는 그 상당분 만큼 조정된다. 권리부는 주로 신주인수권의 경우에 사용되며 배당락 전의 경우는 배당부라고 한다
 
 
[증권]  권리락 [ 권리락 ]
구주에 부여되는 신주인수권 또는 신주의 유.무상교부를 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즉,주주가 현실적으로 주식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주주명부가 폐쇄되거나 배정기준일이 지나 신주를 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권리락의 경우,주가는 권리부 시세에서 조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증권]  국제투자신탁 [ 국제투자신탁 ]
세계 각국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각국의 증권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을 말한다. 협의로는 자금을 국내 투자자들만을 대상으로 모아서 국내와 외국의 증권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을 국제투자신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국제투자신탁의 이점은 1)각국의 증권에 투자함으로써 가격하락에 따른 위험을 분산할 수 있으며,2)자국에는 발달되어 있지 않은 성장산업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 등이 있다 국제투자신탁은 유럽,특히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서독 등에서 발달되어 미국의 주식과 채권,유럽제국의 증권에 주로 투자해 왔으나 최근들어 일본의 주식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다.
 
 
[증권]  국제분산투자 [ 국제분산투자 ]
유가증권투자시 지역적인 위험분산을 국제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즉 여러 나라의 증권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경감시키고 투자수익을 높이는 자산운용의 수법으로 분산투자의 효과는 각국 증권시장 상호간의 상관관계가 낮은 증권을 많이 편입시킬수록 커진다. 국제분산투자는 시장간의 비연속성에 의한 주식파동을 이용하거나 자국에 존재하지 않는 유망산업이나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투자수익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국제분산투자에는 환리스크가 따르며 해외의 경제,시장,종목의 동향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신중한 조사가 필요하다.
 

[증권]  국민주 투자신탁 [ 국민주 투자신탁 ]
증권시장에 상장되는 국민주의 가격안정과 수급의 원활을 도모하고 일반투자자들에게 국민주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1988년5월에 설정된 추가형 상품이다. 이 상품의 특징은 신탁재산의 주식편입비율을 60%수준으로 하되 이중 30%수준은 국민주를 편입하여 운용토록 하였으며 국민주에 관해서는 신탁재산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 동일종목의 유가증권에 투자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완화하였다.
 
 
[증권]  구상무역 [ 구상무역 ]
한 나라가 자국의 수출범위내에서 상대국의 수입을 허가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명 바터무역 (barter trade)이라고도 한다. 구상무역은 수출이 어려운 경우에 상대국의 상품을 수입하는 대신 상대국으로 하여금 자국의 상품을 의무적으로 수입케 하여 무역균형을 꾀할 수 있다. 구상무역은 수출금액 범위내에서 상대국으로부터 수입을 하므로 양국가는 대금결제를 할 경우에도 대금지불 없이 할 수 있는 무역방식이다.
 
 
[증권]  거래량이동 매수 매도 [ 거래량이동 매수 매도 ]
매도신호;당일거래량> 25일 이동평균거래량인 상황이 3일간 지속 매수신호;당일거래량< 25일 이동평균거래량인 상황이 3일간 지속 A B Ratio의 매수.매도 A Ratio = (거래일수 26일간의 강에너지 합계/거래일수 26일간의 약에너지 합계= 26일간 (당일고가-당일시가) 계/26일간 (당일시가-당일저가) 계) B Ratio = (거래일수 26일간의 강에너지 합계/거래일수 26일간의 약에너지 합계) = (26일간 (당일고가-전일종가) 계/26일간 (전일종가-당일저가) 계) 매수신호; B Ratio > A Ratio인 상황이 3일 지속 매도신호; B Ratio < A Ratio인 상황이 3일 지속
 
 
[증권]  거래량 이격도(25일) [ 거래량 이격도(25일) ]
이 지표는 25일간의 거래량 합계를 25로 나누어 그날의 이동평균치를 구하고, 그날의 거래량을 25일 이동평균치로 나눈 백분율로 보통 중.단기적인 지표로서 많이 사용한다. 이 지표도 거래량의 주가 선행성에 근거하여, 매매시점 포착에 유용하다 약세국면시 100%이상이면 매입세력이 강함을 의미하고 강세국면시 100%이상이면 상승여력이 많고, 100%이하로 반전시에는 거래량이 상승의 정점에 가까울수록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음에 기인하여 상승정점에 근접했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증권]  갭(GAP) [ 갭(GAP) ]
주가가 갑자기 전일의 고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시작하여 그대로 계속 상승하거나,반대로 전일의 저가보다 더욱 낮은 가격으로 벌어진 후 계속 하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어느 쪽의 경우이든 챠트상에 명백히 두드러진 공간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갭(GAP)이라고 한다. 주가는 전일에 있었던 가격을 근거로 해서 움직여가는 것이 보통이지만, 갭은 전일과 다음 날과의 가격차가 급격하게 나타나는 패턴이다. 이러한 갭의 분석은 경우에 따라 투자자에게 매우 유익한 투자정보가 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증권]  개시증거금 [ 개시증거금 ]
개시증거금이란 고객이 선물포지션을 취할 때 요구되는 증거금으로 일반적으로 하루 최대한의 가격변동폭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금액이 요구된다. 최소한의 개시증거금 수준은 선물거래소에서 책정하지만 중개회사는 일반적으로 이보다 높은 수준의 증거금을 요구한다. 이러한 개시증거금의 예치는 선물거래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현금 이외에 유가증권 등으로도 예치가 가능하다.
 
 
[증권]  개방형 투자신탁 [ 개방형 투자신탁 ]
투자신탁회사가 보통주만을 발행하고 이의 투자자들은 언제든지 납입한 자본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형태의 투자신탁을 말하는데, 추가형 투자신탁이라고도 한다 즉,투자자는 투자신탁회사가 정한 기준가격으로 그 회사의 주식을 매입 또는 매도하여 언제든지 주주가 될 수도 있고 해약할 수도 있다. 신탁회사는 매일 1회 또는2회씩 상환가격인 매입가와 신주발행가인 매출가를 계산,발표한다. 또 투자신탁이 직접 자기주식의 매매상대자로 되기 때문에 주식매매를 위한 공개시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증권]  고/저 이동평균 [ 고/저 이동평균 ]
주가의 연속적인 변동과정에서 일일변동의 비정상적인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기간동안 고가의 주가를 산술평균하고 저가의 주가를 산술평균하여 그 간격의 변화추이를 분석 주가상승기로 갈수로 고.저 이동평균의 간격이 커짐 주가하락기로 갈수록 고.저 이동평균의 간격이 좁아짐
 
 
[증권]  계절주 [ 계절주 ]
계절에 따라 영업실적에 커다란 변화를 보이는 회사의 주식을 말한다. 판매량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는 맥주회사,청량음료회사등의 주식이나 연말연시에 매출이 많아지는 백화점의 주식등이 이에 해당된다
 
 
[증권]  감채기금 [ 감채기금 ]
채권의 발행자가 만기상환시의 과중한 자금부담을 덜기 위하여 이에 미리 대비하는 발행채무의 상환방법의 하나로 채권발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채무의 상환을 목적으로 채권의 발행자가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기업내부에 유보하는 특별기금을 말한다. 감채기금의 운용은 주로 정기예금,타 회사에의 증권투자, 발행회사가 다른 증권의 매입,발행회사 채권에의 투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증권]  경화 [ 경화 ]
금의 대체효력을 가진다든지 국제수지가 양호하여 그 나라의 통화가 미국의 달러화나 독일 마르크화 등 국제적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통화와 직접 자유롭게 교환할수 있는 통화를 말한다. 그렇지 못한 통화는 연화하고 부른다.
 
 
[증권]  경영정보시스템(MIS) [ 경영정보시스템(MIS) ]
경영상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수집,컴퓨터를 사용하여 가공,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말한다. MIS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진보 및 경영과학의 진전으로 인해 주로 미국에서 활발히 개발.도입되기 시작하여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용과 기술면에서 제약 등으로 말미암아 MIS의 한계를 지적하는 움직임도 있다.
 
 
[증권]  경기종합지수 [ 경기종합지수 ]
경기에 민감한 다수의 경제통계시계열 중 1)경기대응성, 2)경제적중요성, 3)통계적 적합성, 4)자료의 속보성, 5)평활성 등을 기준으로하여 가장 적합한 대표계열을 선정한 후 이들 대표계열의 움직임을 종합하여 지수형태로 나타냄으로써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고 자 하는 종합경기지표이다. 이 지표는 선정된 대표계열에 대해 개별지표의 계절변동요인을 제거 한후,전월대비 변동률을 구하고 이들을 개별지표의 유용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한 후 기준연도를 100으로 하여 지표화함으로써 작성한다. 경기종합지수에 의한 경기판단은 선행지수를 이용하여 경기동향을 예측하고 동행지수와 후행지수를 이용하여 경기동향을 확인한다.
 
 
[증권]  감자차익 [ 감자차익 ]
과거에 발생한 결손금의 보전,사업축소 등을 위하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을 감자라고 하며,결손보전에 충당한 금액이나 주식의 소각 또는 주금의 반환에 필요한 금액을 초과한 부분을 감자차익이라고 한다. 감자차익은 그 전액을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증권]  감리종목 [ 감리종목 ]
증권감독기관이 증권거래법,증권거래소의 정관 및 업무규정에 의거하여,증권시장에서의 비정상적인 주가의 움직임이나 매매행위를 조사하여 감독하는 것을 감리제도라 하고, 그 대상이 된 종목을 감리종목이라 한다 감리종목의 지정 및 해제는 별도의 기준에 의하지만 시황 등을 감안하여 예외적으로 증권거래소가 지정 및 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증권거래소는 관리 및 감리종목에 대하여 시장관리상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일정기간동안 매매거래를 정지시킬 수 있다 감리종목은 관리종목과 마찬가지로 대용증권으로서의 활용이 불가능하며 신용거래가 중단된다
 
 
[증권]  감리위원회 [ 감리위원회 ]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인이 작성한 감사보고서를 감리하기 위하여 증권감독원내에 설치된 위원회를 말하는 것으로 감리위원회의 주요업무는 감사인이 제출한 감사보고서의 감리와 외부감사의 공정한 수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의 감리업무 등이다. 감리위원회가 의결한 사항은 지체없이 재무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하며 재무부장관은 감리위원회의 의결이 위법.부당하거나 외부감사의 공정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감리위원회에 대하여 재의결,기타 필요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고,이 경우에 감리위원회는 지체없이 이를 심의.의결하여야 한다. 또한 감리위원회는 상장법인 및 등록법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를 감리한 결과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이있는 때에는 증권관리위원회에 즉시 통보하여야 한다.
 
 
[증권]  감가상각 [ 감가상각 ]
고정자산 취득에 투입된 자본을 그 내용기간 중의 각 영업연도에 할당하여 비용으로서 회수하는 절차를 감가상각이라고 한다. 이는 편향된 또는 자의적인 비용배분을 배제하고 정확한 기간손익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자산에 투하된 자금의 일부는 감가상각절차에 따라 기업으로 회수되지만 감가상각비 그 자체는 현금지출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자금의 체류가 발생하여 이것을 설비확장으로 전향시킬 수가 있다.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에는 상각기준으로서 시간의 경과를 인용하는 정액법,정률법과 당해자산의 이용도를 인용하는 생산량비례법이 있다
 
 
[증권]  가지급금계정 [ 가지급금계정 ]
현금의 지출이 있었으나 그 소속계정 또는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확정될 때까지 일시처리하기 위하여 설정된 가계정을 말하는 것으로 미결산계정이라고도 하는데 계정과목 및 금액이 확정되면 이를 적당한 계정에 대체하게 된다. 보증금,상품대금의 선불,내용불명의 지출 등이 있을 때 이 계정을 이용한다.
 
 
[증권]  가중평균 배당수익률 [ 가중평균 배당수익률 ]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은 증권시장에 상장된 전종목을 상장주식수에 비례하여 보유하는 경우,즉 상장종목별 시장구성비와 동일한 비율로 구성된 시장포트폴리오(market portfolio)와 평균배당수익률로서 전종목의 배당금총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은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 하고 있으므로 상장주식 수가 많은 종목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장주식수가 많은 종목이 적은종목에 비하여 배당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단순평균배당수익률 보다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이 높게 나타날 것이며,반대의 경우에는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이 단순평균배당수익률보다 낮게 나타나게 된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경우에는 가중평균배당수익률이 단순평균배당수익률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자본금이 큰 대형회사들의 평균적인 배당수준이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증권]  가중주가평균 [ 가중주가평균 ]
각 증권의 가격을 거래량이나 상장주식수 등의 비중에 따라 가중평균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거래량을 가중한 것과 상장주식수를 가중한 것, 두가지가 있다. 전자는 증권거래소에 있어서의 총 매매대금을 그 기간의 총 매매량으로 나눈 것이며,후자는 증권거래소의 상장주식 (증권의 주가에다 상장주식수를 곱한 것의 합계) 을 전 상장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단순주가평균이나 수정주가평균은 채용종목의 주가만을 산술평가한데 비하여 가중주가평균은 각 종목의 거래량이나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하여 산출한 평균 주가이다. 매매거래량을 가중치로 하는 주가평균은 기간중의 총거래대금을 총거래량으로 나누어 산출 (총거래대금/총거래량)하고,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 하는 주가평균은 시가총액을 상장주식수로 나누어 산출(시가총액/상장주식수) 한다. 전자는 주가평균이라기보다는 1주당 평균매매가격이므로 시장의 인기나 경기동향을 보는데 적합하고,후자는 시장의 평균적 주가수준을 파악하는데 적합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증권거래소가 1983년 주가지수 산출방식을 시가총액 방식으로 전환시키면서 각지수별로 채용종목의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한 가중주가평균을 단순주가평균과 함께 산출하고 있다. 가중주가평균= 대상종목의 시가총액 합계 / 대상종목의 상장주식수 합계
 
 
[증권]  가장매매 [ 가장매매 ]
동일인이 동일종목의 매도와 매수주문을 동시에 냄으로써 그 주식의 매매가 활발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자신의 의도대로 시세를 조종하는 매매를 말하는 것으로 2인이상이 공모하여 행하는 가장매매를 통정매매라고 한다. 가장매매는 시세조종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매매거래상황을 타인에게 오인시켜 공정거래에 저해되는 행위를 하는 것이므로 증권거래법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증권]  가이드포스트 [ 가이드포스트 ]
가이드포스트(guide post) 일반적으로 경제정책의 지도목표를 말한다. 자본주의 경제하의 경제정책에서는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와 같은 엄밀한 의미로의 계획은 세울 수가 없으며 시장경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지도목표가 필요하다. 협의의 가이드포스트는 소득정책을 실시할 때 설정되는 지도목표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닉슨대통령이 1971년8월에 실시한 임금.물가동결조치가 해제된 동년11월이후 제2, 3, 4단계로 배당,임금,물가에 대한 상승률가이드라인이 설정되었는데 이것을 일종의 가이드포스트라고 할 수 있다.
 
 
[증권]  가쇄 [ 가쇄 ]
주권,사채권,신주인수권 증서 등의 발행을 위하여 \"통일규격 유가증권 취급규정\"에서 정한 증권용지 (윤곽도안,증권용지 관리번호,권종표시 등이 인쇄된 용지) 에 회사의 상호,유가증권번호 등 발행회사별 고유사항을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발행회사는 증권용지의 가쇄를 위해서 증권감독원이 지정한 인쇄소와 가쇄에 대한 계약을 체결,감독원에 증권용지의 교부를 신청하여야 한다.
 
 
[증권]  가부토초 [ 가부토초 ]
동경증권거래소의 소재지로서 동경 증권시장 또는 일본의 증권시장, 증권업계를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가부토쵸에 증권거래소가 개설된 것은 1878년이며 오늘날 가부토쵸는 미국의 \"월가\"영국의\"시티\"와 함께 국제적 증권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증권]  가득자본 [ 가득자본 ]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판매한 대가로 획득한 자본을 말하며 이에 대하여 증자.차입금 등과 같은 형태로 획득한 것을 조달자본 이라고 한다.
 
 
[증권]  가격정책 [ 가격정책 ]
원래 가격정책이란 판매관리 및 구매관리에 이용되는 정책을 의미하나 환위험관리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환위험관리기법으로서의 가격정책은 가격조정(price variation)은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 방지를 위하여 상품의 가격을 적시에 인상하는 것을 뜻하며,가격 표시통화정책은 수출입표시통화를 조절함으로써 환차익을 극대화하거나 환차손을 극소화하는 것을 뜻한다. 즉 공격적 환위험관리전략을 택하는 기업은 수출에는 강세통화를 그리고 수입에는 약세통화를 사용코자 할 것이며 방어적 환위험관리 전략을 택하는 기업은 수출입을 불문하고 자국통화를 표시통화로 사용코자 할 것이다.
 
 
[증권]  가격 역지정 주문 [ 가격 역지정 주문 ]
투자자가 주식의 매매주문을 할 때 시장의 주가가 특정가격을 상회 하면 매입하고 반대로 특정가격을 하회하면 매도할 것을 위탁하는 주문형태로 자신의 시세관으로 보아 그 종목의 가격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폭등하고 하회하면 폭락할 것이라고 판단할때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주문방법은 매우 투기적이고 공정한 시장가격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우리나라의 증권거래법에서는 이를 금지시키고 있다.
 
 
[증권]  가격 우선의 원칙 [ 가격 우선의 원칙 ]
증권거래소에서 매매주문을 처리하는 순서를 정하는 원칙중의 하나이다. 가격우선의 원칙은 가장 불리한 주문,예를들어 가장 낮은 가격의 매도주문이나 가장 높은 가격의 매입주문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거래를 성립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가격에 조건을 붙이지 않는 시장가 주문이 최우선 순위가 된다. 가격우선에서 매매가 처리된 후는 시간우선의 원칙이 적용된다.
 

[증권]  격탁매매 [ 격탁매매 ]
증권시장의 입회장에서 집단경쟁매매를 할 때 매도측과 매수측을 집합시켜 놓고 개개의 거래원이 자유스러운 가격으로 매매거래에 참가하여 매도.매수의 가격 및 수량이 합치된 순간 격탁에 의해 그 가격을 약정가격으로 성립시키는 매매방법을 말한다.
 
 
[증권]  겐사키시장 [ 겐사키시장 ]
일본의 환매조건부 채권시장을 말한다. 통상 증권회사를 중개로 2 - 3개월후 환매수 또는 환매도할 것을 조건으로 채권을 매각 또는 매입하게 되는데 공사채매매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자금의 단기대차거래의 성격을 갖고 있고 60년대 후반의 금융완화를 배경으로 기업의 여유자금운용에 있어서 급속히 확대된 새로운 형태의 단자시장이다.
 
 
[증권]  건옥 [ 건옥 ]
청산거래제도하에서 매매계약만 체결되어 있고 아직 결제되지 않은 상태의 약정증권의 수량을 건옥이라고 하며,신규로 매입한 것을 매입건옥,매도한 것으로 매도건옥 이라고 한다. 건옥에 있어서 동일인이 동일종목의 매수건옥과 매도건옥을 동시에 세운 경우를 양건이라고 한다.
 
 
[증권]  건설가계정 [ 건설가계정 ]
건설중에 있는 건물,구축물,설비 등과 같은 유형고정자산에 대해서 완성될 때까지 지불된 비용이나 취득하여 보관중인 기계 등의 계정과목을 말한다. 유형고정자산이기는 하지만 원가가 확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감가상각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완성후에는 유형고정자산 계정항목으로 대체된다.
 
 
[증권]  거래형성률 [ 거래형성률 ]
주가의 상승이나 하락과는 관계없이 거래가 성립된 종목이 증권시장에 상장되고 있는 종목수와 비교해서 어느정도의 비율인가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매일매일의 시장에서 거래가 성립된 종목수를 전 상장종목수로 나누어서 산출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거래형성률 = 거래성립 종목수 / 전 상장 종목수 x 100 (%)거래형성률이 높을수록 시장의 활성화를 의미하고,지나치게 높으면 이때는 매도시점으로 주목해야 한다
 
 
[증권]  거래량 회전율 [ 거래량 회전율 ]
거래량에 연간 입회일수를 곱하고 이 수치를 상장주식 총 수로 나눈 백분율을 말한다 거래량 회전율= (당일의 거래량 x 입회일수(300)) / 상장주식 총수 x 100 (%)거래량회전율은 당일의 거래량 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상장주식수가 연간 몇회전하고 있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면 거래량회전율이 100%라면 상장주식 총 수가 연간으로 1회전 매매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50%를 기준으로 20%수준이면 바닥,130%이상이면 단기적 상투권을 가리킨다고 본다 이 지표는 거래량으로부터 시장 전체 또는 개별종목의 인기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 수치가 높으면 인기과열을 나타내고,낮으면 인기의 이산을 나타낸다
 
 
[증권]  거래량이동평균 이격도 [ 거래량이동평균 이격도 ]
거래량은 일반적으로 주가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보통 주가가 상승중일때는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거래량은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하향추세때에는 거래량 감소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거래량 추이를 분석하는데 위 지표가 유익하다. 이 지표는 당일의 거래량을 거래량이동평균(6일,25일,75일등 으로 나눈 백분률을 말하며, 보통100%이상이면 활발한 장세를 예상할 수 있어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매매대금 이동평균 이격도와 병행하면 지표로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증권]  개발이익환수제 [ 개발이익환수제 ]
1990년부터 실시된 토지공개념 3대제도 중의 하나. 건설업자가 토지를 개발할 때 지가상승을 얻는 개발이익의 50%를 개발부담금으로 정부가 환수하는 제도로 사실상 토지의 용도변경(임야,전답 등의 비생활용지->생활용지) 으로 인한 자본이득을 환수하는 것이다. 대상은 1990년3월2일이후 새로 시작된 1천평 이상의 택지개발 사업,골프장건설,관광단지조성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이며 개발부담금 \"(완료시점의 지가-착수시점의 지가-개발비용-정상지가상승분) x 0.5 ㅌx (전체사업기간중 90년3월이후 사업기간의 비율) \"로 계산된다. 여기서 개발착수시점은 일반적으로 사업시행자가 정해지는 시점,즉 사업의 허가 또는 승인시점이며 정상지가상승분은 전국평균지가상승률과 정기예금이자율중 높은 수치이다.
 
 
[증권]  개발신탁 [ 개발신탁 ]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창설된 투자신탁제도의 하나로서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모집한 자금을 합동운용을 통해 주요건설사업자금 또는 중장기 산업자금 수요처 등에 주로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불특정 금전신탁을 말한다.
 
 
[증권]  강세시장 [ 강세시장 ]
앞으로 강세가 예상되는 시장을 말한다. 가장 강력한 강세시장을 예고하는 차트 패턴으로서 1)장기하락 후의 상승전환 2)저가보합권으로부터의 상승전환 3)이중바닥형으로부터의 상승전환등을 들 수 있다
 
 
[증권]  감채기금법 [ 감채기금법 ]
상각기금법,상각기금적립법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매년 일정한 금액을 감가상각비로서 비용으로 계상하지만 그 상각액은 반드시 기업 외부에 투자해두고 이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자를 기금으로 전입하면서 증식하여 그 원리금 합계가 내용연수가 다된 때에 상각총액과 동일액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증권]  닛케이 (니케이) 평균지수 (Nikkei Stock Averages) [ 닛케이 (니케이) 평균지수 (Nikkei Stock Averages) ]
닛케이 평균지수(Nikkei Stock Averages) 일본경제(약칭 ‘닛케이’)신문사가 도쿄증권거래소 1부시장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225개 종목의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일본증권시장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로 기준시점은 1949년 5월 16일, 기준주가 평균 50엔이다.니케이 지수 주식들의 시가 총액이 도쿄증권 1부에서 점유하는 비중은 약 60%에 달한다. 이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은 1956년 9월에 싱가포르 국제금융선물 거래소(SIMEX)에 상장됐으며, 2년 후에는 오사카 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되어 미국의 ‘SP 500지수’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주가지수선물로 부상했다.
 
 
[증권]  나스닥 (NASDAQ) [ 나스닥 (NASDAQ) ]
나스닥 (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Automated Quotation)벤처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미국의 장외주식 시장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벤처기업들이 저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거래량을 기준으로 할때 뉴욕증권거래소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주식시장이다. 1971년 2월 8일 전미증권업협회(NASD)가 설립한 세계최초의 전자결제 주식시장으로 모든 시세결정과정이 컴퓨터에 자동으로 처리된다.나스닥은 미국은 물론 전세계 첨단기술 산업체들의 활동기반이 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애플, 오라클, 야후 등 미국 유수기업 외에 두루넷과 같은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일부 나스닥 시장에 등록되어 있다. 나스닥을 본떠 일본은 자스닥 시장을, 한국은 코스닥 시장을 운영중이다.
 
 
[증권]  네팅 [ 네팅 ]
다국적기업의 본.지점간 또는 지사 상호간에 발생하는 채권. 채무 관계를 개별적으로 결제하지 아니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 이 들 채권.채무를 상계한 후 그 차액만을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제 도이다 . 네팅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는 두 자회사간에 일어나는 양자간 네팅(bilateral netting)이 있는데,이는 쌍방간에 상호 결제하는 순채권.채무포지션만을 일정시점에서 상호 결제하는 제도이다.이러 한 양자간 네팅은 두 회사간의 채권.채무의 청산에 있어 결제자 금규모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이때 유의하여야 할 사항은 환리스크 관리측면에서 채권.채무를 상계한 순포지션을 어떤 통화로 어느 시점에서 결제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증권]  네거티브 리스트 [ 네거티브 리스트 ]
원칙적으로 수입은 자유화시키고 예외적으로 수입제한 또는 금 지품목을 열거하는 형식의 상품품목표를 말한다.이에 반해 원칙적 으로 수입제한 또는 금지되지만 수입이 자유화된 품목만을 열거한 상품 품목표를 포지티브 리스트라 한다.
 
 
[증권]  내용년수 [ 내용년수 ]
취득한 고정자산이 보통의 상태와 조건하에서 폐물로서 처분, 파기될 때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추산기간 또는 추정연한으 로서 시간, 산출량,조업도 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내용년수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추정에 의한 경제적인 사용연수이어야 한다. 그러나 내용년수의 정확한 추정은 불가능하 므로 세법에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구체적인 내용년수를 정하고 있다.
 
 
[증권]  내부자거래 [ 내부자거래 ]
내부자거래란,상장기업의 주요주주나 임직원이 자기 회사의 주식을 매매하는 것으로,이들은 다른 투자자보다 빠르게 회사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어 자칫 불공정한 거래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증권거래법에서는 내부자 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내부자거래로 판명되었을 경우 그 거래에서의 차익은 기업에 되돌려 주어야 하며, 그 거래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또 는 2년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향후에는 점점 더 규제요건을 강화해나갈 방침으로 알려져있다.
 
 
[증권]  납회 [ 납회 ]
증권시장에서의 1년중의 최종입회를 말하며, 연말납회라고도 한다. 현재 주식의 경우는 연말 5일간,수익증권 및 채권의 경우는 연말2일간 (보통거래에 한하며,공휴일은 포함 안함) 휴장 하도록 되어있다
 

[증권]  납입자본이익률 [ 납입자본이익률 ]
주식회사의 납입자본금에 대한 일정기간 순이익의 비율을 말한다. 납입자본이익률 = 순 이 익 / 납입자본금 x 100납입자본이익률은 회사의 배당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보통 납입자본이익률의 50%정도를 배당율로 정한다. 이에 대하여 이익을 총자본과 비교하는 총자본이익률은 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증권]  뉴욕연방자금시장 [ 뉴욕연방자금시장 ]
연방자금시장이란 패더럴 펀드시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주로 연 방준비 제도가 가맹은행간에 법정지불준비의 과부족시에 행해지는 연방은행잔 고(federal fund,구체적으로는 연방준비은행에 대한 일람불 청구권) 의 거래시장으로 우리나라의 콜시장에 해당된다. 연방준비제도가맹은행은 예금의 일정비율 (준비율) 의 준비금 무 이자 예치금 (준비잔고;reserve balance)으로서 보유하도록 되어 있는 데 지불준비소요액 이상의 잔고를 보유하는 은행은 잉여금을 일시 적으로 운용하는 대주(selling bank)가 되고 자금이 부족한 은행이 차주 (buying bank)가 되어 federal fund의 거래가 발생한다.
 
 
[증권]  뉴욕선물거래소 [ 뉴욕선물거래소 ]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시카고 시장에 대항하기 위해 금융선물 거래 전문 자회사로서 1980년8월에 설립한 것. 상장상품에는 NYSE 종합주가지수와 통화선물거래가 있으나 실제로 거래되고 있는 것은 NYSE종합주가지수뿐이다.
 
 
[증권]  누적채무의 주식화 [ 누적채무의 주식화 ]
개발도상국 누적채무문제의 해결책 가운데 하나로서 이루어진 채무의 증권화 중 한가지 형태로 1985년 칠레를 시작으로 멕시코, 필리핀 등에서 실행되고 있다.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채 권을 기업이 할인가격으로 구입하고 기업은 그 채권을 당해 채무 국정부에 거의 액면으로 전매하고 그 대가로 수령한 현지통화를 현지법인의 주식자본으로 한다. 기업은 비교적 싼 자금조달,은행은 재무체질의 향상,채무국 정부는 채무의 경감과 국내투자의 촉진 등의 메리트가 있다.
 
 
[증권]  녹색신고제도 [ 녹색신고제도 ]
농수산물등 수입식품에 대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 보사부는 지난해말 식품위생법을 일부 개정하면서 이 제도를 시행규칙에 삽입,현재 입법예고중이며 오는 7/1일부터 실시할 예정 이다. 그린카드(green card)제로 불리기도 하는 이 제도는 밀,콩,옥 수수 등 수입농산물의 재배,보관,운송 등의 과정에서 사용된 농약 의 종류,사용시기 등을 수입업자가 스스로 신고토록 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성실히 신고한 수입식품업자에 대해선 우선검사등 보사부장관이 정한 혜택을 주는 대신 불성실 신고자에게는 통관불 허 등의 조치를 취해 제도도입의 실효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미국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들이 이 제도의 도입배경을 농산물등의 수입을 규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오인,이 제도의 도 입을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우리 정부로부터 이 제도의 도입을 통보받은 GATT (관세무역일반 협정) 도 아직까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제도도입의 성사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증권]  노마진 변동금리채 [ 노마진 변동금리채 ]
전통적인 변동금리부 유로달러채가 기준금리에 일정스프레드를 가산하는 방식(spread margin방식) 이 일반적인데 반해 지급금리를 LIBOR로 하되 스프레드가 없는 변동금리채의 일종을 말한다. 1979년8월에 유로본드시장에서 발행된 Citicorp Overseas Finance Corporation (3년6개월,1억달러) 채가 동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채권이었다.
 
 
[증권]  노동장비율 [ 노동장비율 ]
유형고정자산을 노동자수로 나누어 계산한다.이 비율이 높을수 록 노동절약적 성격을 갖는다.일반적으로 중화학공업은 노동절약적 이고 경공업은 자본절약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증권]  노동소득분배율 [ 노동소득분배율 ]
총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이는 소득분배 에 있어서 근로자측이 차지하는 몫을 의미한다. 노동소득분배율 = 노동소득 / 총소득
 

 


 

[증권]  대형주 [ 대형주 ]
대.중.소형주를 구분하는 뚜렷한 기준은 없지만,현재 우리 나라의 증권거래소에서는 상장법인의 자본금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 이 구분하고 있다. 대형주는 150억원 이상의 자본금을 가진 회사의 주식을 말하고, 중형주는 50억원 이상 150억원 미만,소형주는 50억원 미만의 자본금을 가진 회사의 주식을 말한다. 대형주는 일반적으로 유동 주식수가 많고 주식 분포가 고르며, 기관투자가들이 많이 보유하고 있어,주가의 변동폭이 중.소형주에 비해 비교적 작은 편이다.
 
 
[증권]  대체결제제도 [ 대체결제제도 ]
유가증권의 거래는 증권거래소를 통하여 결제하게 되지만,각 거래원(증권회사) 간에 거래가 많을 때는 개별적으로 결제하는 것이 번거롭다.그래서 매 거래시마다 현금과 증권을 교환하지 않고 일정한 거래가 끝난 후 거래원과 거래원의 구좌 사이의 차액만큼 만 서로 결제하는 방법이다.이 일을 하는 곳은 한국증권대체결제(주)이다
 
 
[증권]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
일정시점에서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하여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모든 자산과 부채 및 자본을 적절히 표시한 표이다. 즉, 차변에 표시되어있는 자산항목은 기업소유재산의 운용상태를 나타내고, 대변에 표시되어있는 부채 및 자본항목은 기업의 자본조달 형태를 나타낸다.
 
 
[증권]  대주매각대금 [ 대주매각대금 ]
신용거래에서 고객이 증권회사로부터 대부받은 주식의 매각대금 을 말한다.증권회사는 이 매각대금을 대주담보로 취득하여 이용하 게 되는 바 그 대가로 고객에게 일정율의 이용료를 지불한다. 현재 대주매각대금 이용료율은 연리4%이다
 
 
[증권]  대주 [ 대주 ]
신용거래 제도를 이용하면 규정된 만큼의 위탁증거금을 적립하 는 것만으로,투자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이때 증권회사에서 투자자에게 빌려 주는 주식을 대주라 하고 투자자가 증권회사로부터 빌린 주식을 시장에서 파는 것을 공 매라고 한다
 
 
[증권]  대위증권 [ 대위증권 ]
타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되는 증권을 대위증권이라 하는데 이같은 대위증권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자신탁회사의 수익증권을 들 수 있다.
 
 
[증권]  대용베타 [ 대용베타 ]
체계적 위험을 기초로 하여 투자의사결정을 할 경우 특정기업 의 베타를 사용하여야 하나,그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분석대상기 업과 유사한 업종,유사한 규모의 상장기업을 대용회사로 선정,그 기업의 베타를 이용하여 분석하게 되는데 대용회사의 베타를 대용베 타라 한다.대용베타를 이용하여 투자안의 가치결정을 할 경우 대 용베타를 분석대상기업의 레버리지와 맞추는 레버리지조정이 필요하다.
 

[증권]  대용가 [ 대용가 ]
증권 매매에 있어서 위탁증거금으로 현금 대신 유가증권을 사 용할 수 있는데,이때 그 대용 유가증권의 가격을 대용가라고 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이 대용가를 증권거래소가 월 단위로 결정,발표하고 있다. 대용가격의 결정 및 개정은 정기 또는 수시로 행하는데 정기개정 은 매월 첫째 월요일을 실시일로 하고 수시개정은 권리락,배당락, 이자락 또는 기타사유로 시세가 대용가격에 미달하는 경우와 액면 병합의 경우에 실시한다.대용가격= 기준시세X사정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기준시세는 적용 전월의 1일부터 25일까지의 가중 산술평균가격(정기개정시)에 의하거나 산출 당일의 종가(수시개정) 에 의한다.주식의 사정비율은 거래형성일수(15일 기준)와 회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거래형성일수(15일 이상)가 많을수록,회전율(2%이상)이 높을수록 사정 비율은 높아진다.
 
 
[증권]  단주 [ 단주 ]
증권시장에서 거래단위 미만의 주식을 말한다.신속하고 정확한 거래를 위하여 증권거래소 업무규정에서는 매매단위를 규정하고 있 다. 단주는 매매단위에 미치지 못하는 수량의 주식이기 때문에 거래소 시장에서 매매되지 못하고 증권회사의 상품으로 매매되는 것이 보통이다.현재 우리 나라에서 적용되고 있는 거래소 시장의 매매단위는10주이다
 
 
[증권]  단일가 [ 단일가 ]
경쟁매매가격의 하나로 일정시간에 복수의 매도매수호가가 경합 하여 하나의 가격으로 결정된 것을 단일가라 한다.이 단일가가 적 용되는 경우는 호가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동시호가) 시초가결 정시와 매매중단후 최초로 가격결정시 또는 거래소가 따로 정한 종목의 종가결정시에 이루어진다
 
 
[증권]  단위형 투자신탁 [ 단위형 투자신탁 ]
신탁재산의 관리.운용에 관련된 모든 것이 당초 설정된 신탁 재산 단위별로 독립하여 운영되는 투자신탁을 말하는 것으로 단위형 투자 신탁은 통상 3년에서 5년 정도의 신탁기간이 설정되는데 설정 후에는 상환시까지 추가설정을 하지 않는다. 한편 신탁 계약에 규정된 특별한 경우 (사망,파산,불가항력 등) 이외에는 수익자의 환금에 응하지 않는 것도 있다. 통상 설정 후부터 상환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좌당 순자산가액으로의 해약이 가능한데 이 때문에 신탁재산의 운용자금은 일방적으로 해약되는 경우 이것이 운용상의 계약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증권]  단순주가평균 [ 단순주가평균 ]
채용된 종목의 매일 종가를 단순히 산술평균한 지표이다.이 지표는 주가의 일반적인 수준을 관찰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평균 배당율과 대비하여 주식의 수익율 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채용 종목중 증자에 의한 권리락,주식분할,채용종 목의 변경 등에는 전일의 주가평균과 당일의 주가평균과의 사이에 단층이 생겨 연속성이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따라서 장기적인 주가흐름의 변화를 관찰하는 지표로서는 적절하지 못하다
 
 
[증권]  단기금융시장 상호기금 [ 단기금융시장 상호기금 ]
원본의 안전성과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그 운용수익률을 최대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운용하는 개방형 투 자신탁의 일종이다 MMF의 투자대상은 1)잔존기간 1년 이내의 정부증권,정부기관채, 2) CD및BA (은행인수 어음) ,3) CP 4)상기 증권을 대상으로 하는 RPS (현선거래) 이다. MMF는 1971년 미국의 투자회사인 리저브펀드에 의해서 창설되었 으나 초창기에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그러나 1974년이후 1차 오일쇼크에 따른 인플레이션의 심화로 시중 금리가 급상승한 것을 배경으로 MMF는 단기금융 상품수익률이 예금금리를 대폭적으로 상회 하는 가운데 수익성,안정성,유동성을 겸비한 상품으로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한편 MMF의 급성장은 MMC, SSC등 대항상품과 CMA등 응용상품을 탄생시켰으며 은행,보험회사등이 증권회사와 제휴로 종합금융서비스, 소위 금융콩글로머리트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등 금융시 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증권]  당좌차월 [ 당좌차월 ]
은행과 미리 당좌차월계약 (은행입장에서는 당좌대월계약) 을 체 결하여 일정한 한도내에서 예금잔액을 초과하여도 수표를 발행하여 은행이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당좌차월(bank overdraft)이라 한다. 당좌차월은 은행에 대한 회사의 부채이며 보통 이자가 붙어 지급 이자가 발생한다.
 
 
[증권]  당좌비율 [ 당좌비율 ]
현금,예금,수취어음,단기보유 유가증권 등 환금성이 높은 자 산을 당좌자산이라고 하는데 당좌비율이란 당좌자산 합계액의 유동부 채액에 대한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산성시험비율(acid test ratio)이 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유동비율과 함께 기업의 단기적 채무지불능력 을 측정 하는데 이용된다. 당좌비율은 재무안정성의 지료로 간주되 어 왔으며 대략 100%이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왔으나 최근 자금 관리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종 비율의 의미는 저하되어 오늘날은 대 부분의 기업 에 있어서 100%보다 한층 낮은 수준이 되어 있다. 당좌비율의 산식은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증권]  당일결제거래 [ 당일결제거래 ]
증권의 매매 거래에 있어서 매매가 성립된 당일에 매도 증권 과 매수 대금을 수도결제하는 실물거래의 한 형태이다.현재 우리 나라의 채권거래 결제 방식은3일결제 (보통거래) 와 당일결제의 두 가지가 병용되고 있다
 
 
[증권]  담보화 부정조항 [ 담보화 부정조항 ]
무담보사채의 사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발행회사가 회사재산 을 다른 채무의 담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으로 구미 에서는 무담보사채에 대해서 이와 같은 종류의 조항이 삽입된다. 단,발행회사가 사채발행 후 다른 채무자에게 담보를 제공하였 을 때는 본사채의 사채권자는 그것과 동등한 순위로 담보권을 행 사할 수 있는 규정이 산입되는 경우도 있다.
 
 
[증권]  담보저당채권 [ 담보저당채권 ]
미국 주택시장에 엄청난 재원을 마련해 주고 있는 채권으로 채권발 행자가 주택융자를 필요로 하는 자금수요자들에게 주택을 담 보로 융자해주고 이 담보를 저당으로 하여 채권을 발행한 다음, 채권시장에서 일반투자가들에게 매각한다. 주택자금차입자는 매달 여기에서 일정률의 수수료를 제한 다음 채권투자자에게 나누어 주 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미국 채권시장의 대표적인 담보저당채권 은 GNMA, FNMA 등이다.
 
 
[증권]  담보유지비율 [ 담보유지비율 ]
신용거래에 있어서 당해주식의 시세변동으로 인한 담보가액의 하락을 막기 위하여 융자 또는 대주시가상당액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정해진 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현행 담보유지비율은 신용거래융자금 또는 신용거래대주 시가상당액의 130%이며 담보유지비율에 미달하게 된 때에는 지체없이 현금 또는 대용증권으로 추가담보를 징구한다. 또한 융자 또는 대주한 주식의 담보가치사정가격은 전일종가로 하 며 대용으로 납부한 증권은 대용가격으로 한다.
 
 
[증권]  단축가능채권 [ 단축가능채권 ]
보통 장기채권으로 발행되어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일정 한 기간동안에 채권소지자가 채권발행인의 의사에 관계 없이 만기 일을 사전에 명시된 날짜로 단축시킬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채권을 말한다.
 

[증권]  단주매각대금 [ 단주매각대금 ]
신주발행,자본의 감소 또는 회사합병으로 인한 주식병합등의 경우에 발생하는 단주를 매각하여 취득한 대금을 말한다. 상법상에는 자본감소나 회사합병으로 인한 주식병합의 경우에는 병합에 적당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하여 발행한 신주를 경매하여 각 주수에 따라 그 대금은 종래의 주주에게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그러나,거래소의 시세있는 주식은 거래소를 통하여 매각하고, 거래소의 시세가 없는 주식은 법원의 허가를 받아 경매외의 방법 으로 매각할 수 있다
 
 
[증권]  등락주선 [ 등락주선 ]
등락주선은 주가가 전체적으로 보아 상승추세에 있는지 아니면 하락 추세에 있는지를 대국적인 견지에서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만약 종합주가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 종목수가 감소한다면 시장내부세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반대로 종합주가지수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더라도 상승종목수가 오히려 증가한다면 시장내부세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DL선은 일정기준일 이후부터 전일의 종가에 비해 오른 종목수 에서 내린 종목수를 뺀 것을 매일마다 누계해서 그것을 선으로 이어서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ADL은 주가의 선행지표로서 이해되고 있으며 ADL과 주가와의 움직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첫째,종합주가지수가 상승하고 있는 중이더라도 ADL이 하락하고 있다면 시장은 곧 하락세로 전환하게 된다. 둘째,종하주가지수가 하락하고 있을지라도 ADL이 상승하고 있다 면 시장은 곧 상승세로 전환하게 된다. 셋째,종합주가지수가 상승 (하락) 으로 반전한 경우의 상승 (하 락) 폭과 기간은 종합주가지수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ADL의 폭과 지속기간에 따라 결정된다. 넷째,ADL만으로는 상승 또는 하락이 예상되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해 낼 수는 없으며,단지 가까운 장래의 상승 또는 하락을 예상
 
 
[증권]  등락비율 [ 등락비율 ]
일정기간 동안 매일의 상승종목수를 하락종목수로 나누어 백분 비를 구하고 그것을 종목평균하여 도표화한 것이다. 즉 최근 1개월간 매일의 맥분비를 합계해서 25로 나누는 것으로 ADR이 상승하면 시장을 강세로 하락하면 시장을 약세로 판단한다. 이 지표는 100%를 기준으로 해서 76%이하이면 시세의 바닥권으 로 매입시점이며 125%이상이면 시세가 천정권에 도달한 징후로 매 도시점으로 판단된다.
 
 
[증권]  드롭록 변동금리채 [ 드롭록 변동금리채 ]
지급이자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여 일정한 수준 이하가 되는 경우 그 후 만기까지의 지급이자수준을 일정한 수준에 고정시키는 방식의 변동금리채를 말한다 1979년5월 Teollisuuden Vioma Oy-Industrims kraft Ab가 3,000만 달러 규모의 12년 만기채권을 발행할 때 처음으로 채택된 기법으 로 일반적인 변동금리 유로채에서는 최저금리 조 항이 정해져 있어 최저금리 이하로 금리가 하락하면 최저금리가 적 용되고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지급이자율도 상승하나 드롭록 변동금리 채는 지급이자율이 일정한 수준을 중심으로 상하 일정범위내에서 움직인다
 
 
[증권]  듀레이션 [ 듀레이션 ]
듀레이션이란 채권투자시 각 시점에 있어 현가로 환산된 현금 흐름의 총현금흐름에 대한 비율을 가중치를 사용하여 채 권의 현금흐름시점에 곱하여 산출한 \"현가로 환산된 가중평균만기\"를 말 한다.즉, 이는 채권투자액의 현재가치 1원이 상환되는 데 소요되는 평균기간 을 의미
 
 
[증권]  동태비율 [ 동태비율 ]
재무비율분석에서 사용되는 비율은 그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항목이 어떤 재무제표에서 추출된 것인가에 따라 손익계 산서에서 추출된 것인 경우 동태비율,대차대조표에서 추출된 것일 경우 정태비율 (static financial ratio),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모 두에서 추출된 경우 혼합비율(mixed financial ratio)이라 한다.이 러한 분류는 대차대조표가 일정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 내고 있다는 점, 손익계산서가 일정기간에 걸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손익계산서가 일정기간에 걸친 기업의 활동성 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정태비율의 예로는 부채비율,유동비율 등이 있으며,동태비율로 는 순이익증가율,매출액증가율 등을 들 수 있고,혼 합비율로는 고정자산 회전율,총자산회전율 등이 그 예이다
 
 
[증권]  동증평균주가 [ 동증평균주가 ]
동경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의 평균주가를 말한다. 제1 부에는 전종목의 가중평균,단순평균,제2부는 300종목의 가중평 균 단순평균이 있다. 1969년6월 말까지는 이밖에도 제1부 225종목,제2부는 50 종목에 대한 단순평균,수정평균을 발표하였는데 특히 제1부 수정 평균은 증권거래소 개소시점인 49년5월16일을 기준으로 한 구 수정평균과 59년1월4일을 기준으로 한 신수정평균을 발표했었다 그러나 69년7월에는 구수정평균을 제외하고는 폐지되었으며,71 년7월부터는 구수정평균의 발표도 중지 하였다. 따라서 현재는 동경증권거래소를 대신해서 일본경제신문사가 다우식 수정인 일경평 균주가라는 이름으로 매일 발표하고 있다.
 

[증권]  동일인 여신한도 [ 동일인 여신한도 ]
동일한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하여 금융기관이 여신할 수 있는 한도를 말한다.현행 은행법에는 동일인에 대해서 금융기관의 자기 자본의 25%를 초과하는 대출을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지급보증에 있어서도 금융기관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예외규정으로서 국민경제상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대통령이 정하는 범위내에서 은행감독원장이 승인하는 경우의 대출은 금융기관 자기 자본의50%,지급보증은100%까지 할 수 있다.국민 경제상 꼭 필요한 경우는 외화획득이나 외화 절약사업,에너지 생산사업,국민 생활 안정에 필요한 생필품을 생산하거나 고용증대에 크게 기여하 는 사업 등이다.
 
 
[증권]  동시호가 [ 동시호가 ]
전장 및 후장의 시초가결정에 참가하기 위하여,거래소 단말기 에 동시에 접수된 호가 및 시간의 전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를 말한다.일반적으로 동시호가로 볼수 있는 경우는 1)매매입회 시작후 일정시간에 접수된 호가2)매매입회의 일부정지후 재개하여 일정시간에 접수된 호가3)매매거래의 중단후 재개하여 일정시간에 접수된 호가를 말하는데 현재는 매매입회 시작전부터 접수하여 입회후 5분동안 접수한 모든 호가 및 거래소가 정한 별도의 경우 (단일가매매) 가 해당된 다.
 
 
[증권]  도매물가지수 [ 도매물가지수 ]
기업간의 대량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 하기 위해 작성되는 것으로서 지수작성에 사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 단계가격을 대상으로 한다. 즉 국내상품의 경우는 부가가치 세를 제외한 생산자판매가격 (공장도가격) 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수입상품의 경우는 수입상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조사된다. 한편 미국,독일 등 주요국들은 이와 같은 지수의 성격을 명 확히 하기 위하여 그 명칭을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로 표현하고 있다.
 
 
[증권]  대외준비자산 [ 대외준비자산 ]
한 나라가 대외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으로 금,SDR,IMF포 지션,외환 (달러,파운드 등 교환성화폐) 의 합계를 말한다.
 
 
[증권]  대리인이론 [ 대리인이론 ]
젠센(Jensen)과 맥클링(Meckling)에 의해 1976년에 제기된 이론 으로 기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문제는 기업내의 계약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이론으로,대리인관계는 한사람 이상의 사람들 이 정해진 범위내에서 의사결정권을 자신들을 대신하는 다른 사람 에게 의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이들간에는 정보의 불균형,감시 의 불완전성 등으로 도덕적 위험이나 무임승차문제,역선택의 문제 가 발생할 소지가 있어,이러한 제반문제점을 극소화하기 위해서는 대리인비용이 수반되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리인문제는 현대 사회의 거의 모든 계약관계에서 나 타나는 것으로 그 응용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증권]  대량주식소유의 신고 [ 대량주식소유의 신고 ]
상장법인의 총발행 주식 중 10분의1이상을 소유하는 자가 그 소유주식의 현황과 비율이 변동될 때마다 그 내용을 증권관리위원 회에 신고하는 제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 제도는 상장법인의 경영 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증권거래법에 규정되어 있다.
 
 
[증권]  대규모기업집단 [ 대규모기업집단 ]
국민경제에 영향이 큰 대기업그룹 최대출자자 1인이나 특수관계에 있는 출자자와 합쳐 발행주식의 30% 이상을 소유하거나,임원의 임명 등 회사의 경영에 대해 실질 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회사는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된다. 정부는 경제력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 된 그룹에는 각종 규제를 한다. 대규모기업집단은 우선 계열사 상호간의 출자행위가 금지된다. 같은 그룹내의 계열사끼리 서로 자본을 출자해 '가공자본'을 만드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출자총액도 제한한다. 이밖에 상호지급보증도 제한받는다. 계열사끼리 서로 빚보증을 서주어 대규모기업집단이 금융을 독 식하거나 한계기업을 인수,문어발식으로 그룹의 규모를 키우는 일 을 막기 위해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일자로 자산규모 상위 30개그룹 604개 계열사 를 93년도 대규모기업집단으로 새로 지정했다. 작년의 78개 그룹 1,056개 기업보다는 48개 그룹 452개기업이 줄어들었다.
 

[증권]  대고객환율 [ 대고객환율 ]
시장환율은 우선 은행간 환율(interbank rate)과 대고객 환율로 구분할 수 있다. 은행간 환율이란 외국환은행 상호간의 거래에 있어서 형성되는 환율을 말하며,대고객 환율이란 외국환 은행의 대고객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말한다.말하자면 은행간 환율은 도매가격이고 대고객 환율은 소매가격인 셈이다. 이 두 환율의 가장 큰 차이점은 대고객 환율이 외국환은행의 대고객 거래의 표준가격으로서 하룻 동안에 불변인데 비해 은행간환율은 1일 중에도 외국환시장에 있어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변한다는 점이다.
 
 
[증권]  다지수모형 [ 다지수모형 ]
포트폴리오 분석방법의 하나로서 증권수익률의 변동을 2개 이상 의 공통요인(common factor)과의 공분산관계3에서 파악하는 모형이다. 단일지수모형에서는 증권수익률의 변동을 유일한 공통요인으로 시장 포트폴리오라는 단일지수(single index)와의 선형적 관계에서 설명 하고자 하는 모형이었지만,다지수모형에서는 증권수익률이 시장포트 폴리오 이외에도 경제의 산업생산성장률,물가상승률,통화량증가율, 유가변화율 등의 공통요인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한다고 본 다. 일반적으로 어느 증권 i의 수익률이k개의 다수공통요인(multi common factor)과의 공분산관계에서 설명될 수 있다. 또 다수모형 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Ri = ai + bi1I1 + bi2I2 + bi3I3 + ..... - bikIk + ei 단,Ik ;공통요인k (k는 요인의 수) bik ;증권i의 k공통요인에 대한 민감도 ai ;요인 이외의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수익률 ei ;잔차항
 
 
[증권]  다우존스 주가평균 (Dow Jones Average) [ 다우존스 주가평균 (Dow Jones Average) ]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 산출방식으로 1884년7월3일 미국의 다우존스에 의해 처음으로 발표된 주가평균이다. 다우식은 원래 금액으로 표시되는 평균개념인데,우리 나라에서는 다우 평균을 지수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우존스식 주가지수= 비교시 수정주가평균 / 기준시 수정주가평균 x 100(단,수정주가평균 = 채용종목의 주가합계 / 항상제수)이 주가지수는 유무상증자에 의한 권리락이 발생하거나 채용종 목을 교체할 경우,전일과 당일의 주가단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상 제수를 수정하여 연속성을 유지시킨다.다우 주가평균은 거래가 활발 하고 대표적인 소수의 우량주를 채용하고 시황을 민감하게 파악하 는 데 이용되며,종목교체는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다우 존스 주가평균에는 공업주30종목평균,철도주20종목평균,공공주15종목 다우존스 주가평균 평균의 총65종목평균이 있는데,이중 공업주 30종목평균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증권]  다우이론 [ 다우이론 ]
미국 다우존스사의 창시자인 챨스 다우(Charles H.DOW)가 개발해 낸 주식시세동향의 판단방법으로 다우의 사후에 해밀턴이나 비숍에 의해서 발전되었다.그들은 경기변동이 정확하게 주식시장에 반영된 다고 생각하고 시세의 현상과 동향판단을 시도했으나 주가의 천정 과 바닥을 맞춘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이 방법은 다우 공업주 30종 평균과 철도주 20종 평균의 파동 을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시세의 대세와 중기추세의 방향을 판단하 는 것이다. 그 양자가 모두 고가를 뚫고 상승하고 저가도 상승할 경우를 대세 상승이라고 판단하고,반전했을 때도 공업주평균의 고가가 직전 의 고가를 하회하고 저가도 역시 마찬가지일 때를 대세하락으로 판단하므로 시세판단이 상당히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우공업주는 미국 산업계의 상태를 반영하고 철도주는 거래활 동의 상태를 반영하고 철도주는 거래활동의 활발함을 나타내는 것으 로 인식되어 양자가 병행해서 움직일 때 경제실체의 호조와 부진 을 완전히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이 이론의 근본이다. 다우이론은 1920년대에는 주가대폭락을 예측하는 등 뛰어난 실적 을 올렸으나 전후의 주식시세변동은 훌륭히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 로 다우이론 평가되고 있다.
 
 
[증권]  다국적기업 [ 다국적기업 ]
일반적으로 2개국 이상에 걸쳐 생산을 행하고 마아케팅을 행하 며 기업의 경영자가 범세계적 안목에 입각하여 기본적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 기업을 다국적기업이라 일컫는다.다만 다국적기업의 소유권은 국가에 속하든 개인에 속하든 문제시되지 않는다. 최근 모든 산업분야에서 신기술개발은 다국적기업에 의하여 거 의 독점되다시피 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다국적기업의 진출은 선진국 사이에 치열한 시장쟁탈전을 가져왔으며 자본의 급속한 국 제적 집중을 초래하였다. 또한 독과점으로 한 나라의 국민경제 또는 그 나라의 기간산업이 외국자본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지 않 을까 하는 우려도 갖게하고 있다.
 

 


[증권]  로이터 상품가격지수(Reuter is index of commodity prices index) [ 로이터 상품가격지수(Reuter is index of commodity prices index) ]
기준으로 하고 있다.미국의 다우존스 상품가격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비철금속도 넣고 있어 국제상품시세의 전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 다.다만 영국의 CIF시세이기 때문에 파운드화가치의 변동에 따라 지 수가 영향을 받는 것이 결점이다
 
 
[증권]  리보 금리 [ 리보 금리 ]
런던금융시장에서 일류 은행간의 자금 대출시 적용되는 금리를 말한다. 리보 금리는 영국 내에서 행해지는 은행간의 거래,영국 은행과 외국은행과의 거래,영국은행과 고객과의 거래에 있어서 기준 금리의 역할을 하고,유로 달러 금리의 표준이 되고있다 리보 금리는 유로 달러의 실질적인 공급처인 미국의 금융정책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는 있지만,그래도 세계각국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기준으로 쓰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외화 대출 금리 및 외화 예금 금리의 결정에도 기준금리로 이용되고 있다 .
 
 
[증권]  롤링효과 [ 롤링효과 ]
채권 수익률곡선은 일반적으로 우상향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따 라서 금리수준이 일정하더라도 잔존기간이 짧아지면 그만큼 수익률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같이 잔존기간이 단축됨에 따라 수익률이 하락 하여 가격이 상승하는 효과를 롤링효과라 한다.예를 들어 잔존기간 이 10년인 채권을 수익률7.77%로 매입하고(A점) 2년이 경과하여 잔존 기간이 8년이 되면 수익률은 7.69% (B점) 까지 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채권매입자는 0.08%의 수익률 하락에 따른 시세차익과 그동 안의 경과이자를 투자수익으로 얻게 된다.이때의 시세차익부분은 금 리수준의 변동에 의한 것이 아니고 잔존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얻게 되는 롤링효과에 의한 투자수익인 것이다
 
 
[증권]  라스파이레스식(Laspeyres formula) [ 라스파이레스식(Laspeyres formula) ]
라스파이레스식은 경제지수를 작성하는 지수공식의 하나로 피셔 식,파아셰식 등과 함께 물가지수와 같은 종합지수산출방식에 널리 이용된다.이를테면 물가란 많은 상품의 가격을 평균한 개념이므로 물가지수는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가격지수 p1 / p0 (p0는 기준시점의 가격,p1은 비교시점의 가격) 을 평균하여 구할 수 있는데,평균할 때는 거래금액이 시장의 상품중요도(weight)를 좌우하기 때문에 가격 p와 거래량q를 가중치로 하여 가중평균한다.이때 기준시점의 거래금 액p0q0를 가중치로 하여 산식에 집어넣은 것이 라스파이레스지수이 다.
 

 



[증권]  매칭펀드(matching fund) [ 매칭펀드(matching fund) ]
경영학에서는 공동으로 자금을 출자하는 의미로 쓰이나, 금융용어로는 혼합기금이란 뜻으로 투자신탁회사가 국내 및 해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익증권을 발행, 판매된 자금으로 판매된 자금으로 국내증권과 해외증권에 동시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이러한 투신사의 매칭펀드를 통해 해외투자자들은 국내증권에 대한 투자를, 국내투자자들은 해외증권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3월 3개 투신사에 각각 1억 달러 규모의 매칭펀드가 설정된 바 있는데, 국내에서 40%, 해외에서 60%를 판매하였다. 한편 매칭펀드는 재정에서도 사용되는데 이 때는 중앙정부가 민간이나 지방자치단체에 예산을 지원할 때 자구노력에 연계하여 자금을 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증권]  매출원가율 [ 매출원가율 ]
매출원가 매출원가율= ---------- X 100(%) 매출액
 
 
[증권]  매출액증가율 [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 매출액증가율= ( ---------- - 1 ) X 100(%) 전기매출액
 
 
[증권]  매출액이익률 [ 매출액이익률 ]
이 익 매출액이익률= ------------ X 100(%) 매출액
 
 
[증권]  매출액경상이익률 [ 매출액경상이익률 ]
경상이익 매출액경상이익률= ------------ X 100(%) 매출액
 
 
[증권]  매출액 영업이익률 [ 매출액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매출액영업이익률= ------------ X 100(%) 매출액
 
 
[증권]  매출액 순이익률 [ 매출액 순이익률 ]
순이익 매출액 순이익률= ------------ X 100(%) 매출액
 

[증권]  매집 (accumulation) [ 매집 (accumulation) ]
어떠한 의도를 갖고 일정한 주식을 대량으로 사모으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1)경영권의 지배 또는 경영참가를 목적으로 보유주식을 늘려 가는 방법 2)대량 매집을 하여 주가를 올려놓고,인기가 높아질 때 고가로 매도하여 매매차익을 얻는 경우 등이 있다 공개매수도 매집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증권]  명의개서 [ 명의개서 ]
기명주식이양도,상속,합병 등으로 인하여 구소유자로부터 신소유자로 이전된 경우,신소유자의 성명과 주소 를 회사의 주주명부에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기명주식의 양도는 주권의 배서와 주권과 양도증 서의 교부에 의하여 효력이 생기나 양수인이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주주임을 주장하기 위하여는 명의개서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명의개서는 주주명부 폐쇄 기간중에는 청구하지 못한다 주식의 적법한 양수인은 실질적 권리를 증명할 필요없이 주권을 점유하고 있는한,회사에 대하여 명의개서를청구할 수 있으며 양도인의 협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대하여 증권회사에 주식을 예탁시켜놓은 다수 의 일반 투자자들은 명의개서에 관계없이 실질주주가 되어 유상증자, 배당등의 권리행사는 증권회사가 대행하고 있다.
 
 
[증권]  명목실효환율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 명목실효환율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
여러 교역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일국통화의 대외가치인 명목실 효환율은 한 나라의 대외경쟁력의 중요한 척도가 된다.즉,명목실효 환율은 일국 통화의 주요 교역상대국과의 환율을 교역량 등으로 가 중평균한 환율을 말한다.명목실효환율 이용에 있어서는 기준시점의 실효환율을 기준으로 비교시점의 실효환율을 지수화함으로써 일국통화 의 종합적인 대외가치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다
 
 
[증권]  면세형 투자신탁 [ 면세형 투자신탁 ]
이익분배금에 대하여 세법상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거나 면세되 는자에 한하여 수익증권을 모집,매각할 수 있는 투자신탁을 말한 다.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운용하는 투자신탁은 기준가격에서 세금상 당액이 공제된 매매기준가에 의해 거래된다.그러나 소득세가 부과되 지 않거나 면세되는 자의 이익분배금에 대하여는 투자신탁회사에 서 원천징수의무가 없기 때문에 매매기준가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면세형 투자신탁은 수익자의 대상에 따라 기준가격으로 거 래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상품이다.
 
 
[증권]  맷칭펀드 [ 맷칭펀드 ]
90년3월 자본시장 국제화의 진전 및 해외수요개발을 통한 증시 안정화 조치의 일환으로 설정된 펀드로서 국내외에서 조달된 자금 으로 국내외 증권시장에 분산투자하도록 되어 있 다.즉 한국과 성장가능성이 높은 아시아 등 주요국에 대한 투 자를 통하여 정기 적인 자본증식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펀드로서 설정규모는 3개 투신사별로 각각 1억달러이며 국내에서40%,해외에서 60%를 판매 하도록 되어 있다 맷칭펀드는 매년 결산 후 신탁재산의 배당익(income gain)에 대 해서 분배를 하며 분배금은 별도의 계좌에 이체되어 관리된다.또한 펀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수익자는 설정 후 3년이 경과하여야 환매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때 기준가격의 1%에 해당하는 환매 수수료를 공제한다.
 
 
[증권]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률= ------------ X 100(%) 매출액
 
 
[증권]  매출채권비율 [ 매출채권비율 ]
매출채권 매출채권비율= ---------- X 100(%) 재고자산일반적으로 이 비율은 높을수록 지급능력이 양호한 상태를 나 타내게 되며 일정한 표준비율 (또는 기간비교) 에 의하여 판단하게 된다. 비율의 판단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는 매출채권 비율이 높을 수록 지급능력이 양호한 상태라는 것이 일반적 이론이 기는 하나,이 비율 이 고율이라는 것만으로서 간단히 지급능력이 양 호한 상태에 있다고 속단할 수 없다.
 

[증권]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 매출채권회전율= ---------- (회) 매출채권 365일 매출채권회수기간 (회) = ------------------ 매출채권회전율
 
 
[증권]  매도상환 [ 매도상환 ]
신용거래융자의 상환방법에는 현금상환과 반대매매에 의한 상환 의 두가지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를 매도상환이라 한다. 즉 신용 거래의 일반적 형태인 융자의 경우 매수한 증권을 매도하여 그 대 금으로 상환하는 것을 말한다.
 
 
[증권]  만기조정가능채권 [ 만기조정가능채권 ]
채권발행자가 채권의 만기도래시에 발행채권의 만기를 조정,연 장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한다.투자자는 발행자의 만기연장요청이 있 을 경우 이를 수락하거나 또는 원금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데,만 기연장시의 표면금리는 연장 당시의 시장금리동향을 감안,결정됨으 로써 투자자는 시장금리를 반영한 일정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만기조정가능채의 발행자 입장에서 보면 기발행 중기채 를 장기채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데,이는 인수수수료 등 관련 비용을 지급하지 않고 장기자금을 조달한 결과가 되어 자금조달비 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증권]  마코위츠이론 [ 마코위츠이론 ]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의 창시자인 마코위츠에 의하여 전개된 증 권투자 포트폴리오관리에 대한 이론을 말한다 마코위츠의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에서는 수많은 증권과 포오트폴 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분산이 주어졌을 때 평균-분산기준에 의하여 효율적 경계선(efficient frontier)을 도출해 내고 투자자의 수익률분 포에 대한 선호에 따라 최적포오트폴리오를 선택하게 된다.이러한 투자 의사결정접근법은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의 중핵적인 이론분석이 되고 있다.
 
 
[증권]  마진콜 [ 마진콜 ]
외환시장을 통한 선물환거래(forward exchange trading)에 있어서 는 일반적으로 증거금(margin)의 예치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나 금융 선물거래에는 미국선물시장의 경우 선물계약금액의10%이내에 해 당하는 증거금을 예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계약이행을 보증하고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거래 개시 증거금 등을 예탁하는 경우에 예치하고 있는 거래개시증거금 수준이 계약체결후 시장가격의 하락으로 손실이 발생하여 거래개시수 준 이하로 감소할 경우에 고객은 즉시 당초증거금 수준으로 증거금 규모를 증액시켜야 하는데,이를 마진 콜(margin call)이라고 한다.
 
 
[증권]  마진머니 (margin money) [ 마진머니 (margin money) ]
증거금을 말한다. 증거금에는 거래원 또는 회원이 증권거래소에 예치하는 매매증거금 과 매매위탁자인 고객이 거래원 또는 회원에게 예치하는 위탁증거금 의 두가지가 있다. 증거금을 징수하는 목적은,첫째로 위악자의 채무를 사전에 확보하 고 둘째로 피위악자의 손해를 배상하고, 세째로 증거금율의 조작에 의하여 시세변동으로 발생하는 폭등.폭락등을 방지하고, 네째로 투기적 매매를 억제하여 매매의 견실을 기하는 동시에 시세의 공정을 유지하자는 것 등에 있다 현재에는 당국의 증시부양이나 규제의 수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
 
 
[증권]  마스트리히트조약 [ 마스트리히트조약 ]
EMU의 추진은3단계로 나뉘어 추진되도록 규정돼 있다 제1단계는 전회원국 통화의 유럽통화제도(EMS)및 유럽환율조정체제 (ERM)가입,그리고 회원국간 경제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2단계는 회원국의 재정적자에 대한 통제기준및 제재수단을 마련하 는 한편 유럽중앙은행의 기능을 과도기적으로 수행할 유럽통화기구 (EMI)의 창설을 추진하는 것이다. 마지막3단계는 늦어도99년초까지 단일통화 창출및 이를 위한 유럽중 앙은행 설립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EC는 이같은EMU 3단계 이행계획을 차질없이 수행키 위해 회원국의 다수결표결에 의해 EMU 3단계 이행자격이 있는 국가를 결정토 또 지금까지 형식적 기구에 불과했던 서유럽동맹(WEU)을 EC산하 군사기구로 편입시켜 북대서양조약기구(NAIO)와 별개의 독자적 유럽 안보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기술하고 있다 이밖에 노동 산업 교육 보건에너지및 환경정책 분야의 다수결의사 결정방식 도입을 확대하는 것도 주요 목표중의 하나이다.
 

[증권]  물타기 [ 물타기 ]
일정한 기간을 두고 같은 주식을 계속 매입함으로써 주가의 매수단가를 최초매수시보다 낮은 가격이 되도록하는 투자방법이다 즉,시세가 오를때에는 매도물량을 점차 늘리고 떨어질때에는 매수물량을 점차적으로 늘려 평균단가를 올리거나또는 내려서 가능한 한 손실의 위험을줄이려는 방법이다 .
 
 
[증권]  무의결권주식 [ 무의결권주식 ]
주식은 보통 1주에 대하여 1개의 의결권이 있고 주주는 주주 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함에 따라 회사경영에 참 가한다. 무의결권주 는 이러한 의결권이 없는 주식이다. 실제 이 익의 분배나 주가의 상승을 목적으로 하는 주주에 있어서는 의결권은 별 의미가 없다 무의결권주는 이익배당이나 잔여재산의 분배에 있 어서 의결권을 가진 주식보다 우선적으로 이익배당이 행하여지는 우선 주인 경우가 많다 무차별곡선 경제학에서 현재 소비의 효용곡선과 1기간 후의 소비효용곡선간 에는 상충관계가 존재하게 되는데 현재소비와 미래소비 의 수많은 조합들 중에서 서로 소비효용이 동일한 조합들끼리 연결 한 선을 효용의 무차별곡선이라 한다 무차별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며,원점에서 멀어질수록 효용 이 증대되며,특정점에서의 무차별곡선의 접선의 기울기는 한계대체 율(MRS ;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이라 하여 현재 소비 한 단위를 포기하는 대가로 동일한 효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래에 포기하여야 하는 소비단위의 수를 나타낸다 .
 
 
[증권]  무위험이자율 [ 무위험이자율 ]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것으로서 투자에 있어서 위험이 전혀 내포되지 않는 순수한 투자의 기대수익률을 말하는 것이며 무 위험 수익률 또는 순수이자율(pure interest rate)이라고도 한다.정기 예금,국채,보증사채 등의 이자율이 확정된 실질 적인 이자율이라고 볼 수 있다.그러므로 무위험수익률은 개별적인 요인보다는 국내외 의 전반적인 경제변동과 국가의 금융정책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 특성이 있다 .
 
 
[증권]  무역의존도 [ 무역의존도 ]
일국의 국민경제가 무역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는가를 표시 하는 지표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를 합한 것이다 수출의존도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출액의 비율을,수입의존도는 국민 총생산에 대한 수입액의 비율을 말하며 따라서 무역의존도는 국민 총생산에 대한 수출입총액의 비율을 뜻한다 무역액 (수출액+수입액) 무역의존도= -------------------------- 국민소득(또는GNP)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무역의존도는 그 나라 경제규모의 절대 적 크기,경제발전의 정도,즉 산업구조의 발전 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따라서 구조변동기에는 비교적 안정적 수치를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다.
 
 
[증권]  무상주교부 [ 무상주교부 ]
이미 발행된 주식의 소유비율에 따라서 주주에게 무상으로 신 주를 할당하여 주는것을 말한다. 또 무상주를 발행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무상증자라고 한다. 무상주교부는 대개 회사내에 유보되어 있는 잉여금이나 자산재평가적립금을 자본에 전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무상주교부에는 1)회사가 이익금중에서 사내 유보로서 적립하여 온 준비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자본금으로 전입하는 경우 2)회사가 자산을 재평가함으로써 생기는 재평가차액 을 자본금으로 전입하는 경우, 3)현금대신 주식으로 배당하는 주식배당의 경우등이 있다 이 가운데 이익준비금에대한 무상주교부 는 세법상 배당으로 간주되어 과세되고 있다. 또한 주식배당은 무상으로 주식을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현금배당으로 주주 가 받아야 할 몫을 주식으로 배당받는 것으로서 무상교부와는 구 별되어야 할 것이다 .
 
 
[증권]  무분배형 국채펀드 [ 무분배형 국채펀드 ]
일본의 증권회사들이 은행과의 경쟁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 발한 새로운 금융상품의 하나이다.동펀드는 주로 잔존기간 5년의 기 발행장기국채를 운용대상으로 1982년7월에 개발된 5년 만기의 단위형 공사채투자신탁으로서,신탁기간중 수익이 분배되지 않고 재투자되어 만기시 일괄상환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동 펀드의 최저출자단위는 1만엔으로 중도해약이 불가능하며 개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일명 점보(Jumbo)라고도 한다.
 
 
[증권]  무배주 [ 무배주 ]
배당을 하지 못한 상장회사의 주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배당을 지불하는 주식을 유배주라고 한다. 무배주는 회사가 이익이 적거나 적자로 인하여 결산기에 가서 배당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때 지난 해에 이어서 계속 무배당인 경우를 무배계속 이라 하고 지난해의 유배당에서 무배당이 된 경우를 무배전락이라고 도 한다.
 


[증권]  모기지담보부증권 (mortgage-backed securities) [ 모기지담보부증권 (mortgage-backed securities) ]
모기지담보부증권이란 일반적으로 저당대출업무를 취급하는 금융 기간이 토지,건물 등의 부동산을 담보로 자금수요자에게 자금을 대 출한 후 갖게되는 모기지(mortgage)를 근거로 하여 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기지담보부증권 (또는 저당대출담보부증권) 은 모기지의 현 금흐름(cash flow)연결형태와 담보의 소유권 귀속여부하에 따라서 크 게 패스스로(passthrough)증권,MBB (mortgage-backed bond),패이스로본 드 그리고 CMO (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s)등으로 구별된다.
 
 
[증권]  매입채무회전율 [ 매입채무회전율 ]
동 비율은 매입채무의 변제속도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일정 기간중 매입채무가 몇 번 회전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다음과 같 이 계산 된다. 매출액 매입채무회전율= ------------(배) 매입채무동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지급능력은 양호한 상태임을 나타 내며 확정된 일정한 비율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동일업종의 평균비 율과 비교,판단하게 된다
 
 
[증권]  매매심리 [ 매매심리 ]
증권거래소가 공정거래질서를 저해하는 매매를 막기 위하여 사 전 또는 사후적으로 매매거래에 대한 모든 자료를 수집하여 불공 정거래 또는 이상매매의 유형 또는 요인 등을 추적하는것을 말한 다.
 
 
[증권]  매매대금이동평균이격도 [ 매매대금이동평균이격도 ]
당일의 매매대금을 매매대금 이동평균(6일,25일 등) 으로 나눈 백분률로, 고가주.저가주의 거래추이를 아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거래량 이동평균 이격도가 100%일때 이 지표가 100%이상이면 고가주가 많이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거래량 이동평균 이격도가 100%이상일 때 이 지표가 100%이하이면 저가주의 활발한 거래를 알 수 있어, 매매시점 포착에 유용하다.
 
 
[증권]  매매거래 정지 [ 매매거래 정지 ]
매매거래 정지란, 증권거래소가 일정한 사유에 해당된 거래원 에 대하여 그 등록을 취소시켜 거래활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말한 다. 증권거래소는, 거래원이 법령.행정명령.거래소의 정관 또는 업무 규정등을 위반하여 거래소의 운영상에 또는 투자자의 보호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을때,재무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 거래원의 등록 을 취소할 수 있다.
 
 
[증권]  마샬의 K [ 마샬의 K ]
일국의 명목 GNP에 대한 통화공급잔액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통화 공급의 적정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통화공급의 범위로는 현금통화,예금통화,준통화 (정기성예금) 의 합계인 M2를 취 하는 것이 보통이다.
 
 
[증권]  미청산계약 [ 미청산계약 ]
거래된 선물계약이 어느 특정일 현재 만기일 도래에 의한 실 물인도 인수 또는 반대매출에 의한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향후 인도나 인수를 해야 하는 포지션(position)의 상태로 남아 있는 계약수를 말한다.이러한 미청산계약수도 거래량과 마찬가지로 거래소 에 의해 매일 집계.공표가 되고 있으며 집계방법 또한 매입계약이 나 매도 계약 중 한쪽의 계약만을 집계하고 있다 여기서 미청산계약(open interest)과 거래량(volume)의 서로 다른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거래량은 단순히 선물시장 에서 거래된 계약의 수를 의미하는데 반해 미청산계약의 수는 청 산을 위한 반대매출의 거래는 계산하지 않고 새롭게 인도 또는 인수의 의무를 발생시키는 계약의 수만을 계산하는 것이다.
 
 

[증권]  미국선물협회 (National Futures Association) [ 미국선물협회 (National Futures Association) ]
NFA는 1982년 상품거래법(Commodity Exchange Act) 17조항에 근거해 서 설립되었다. NFA의 목적은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는 CFTC의 과중한 업무를 도와주는 것이고,두번째는 거래소의 비회원을 규제하기 위 한 것이다.전에는 각 거래소의 회원인 FCM은 자체감독조직인 거래소 로 부터 규제를 받았지만 비회원인 FCM은 어느 자체감독기관으로부터 도 규제를 받지 않았다. NFA는 이러한 거래소 비회원까지 자체 규 제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NFA의 책임은,첫째 거래소의 비회원을 규제한다는 것과,둘째 여러 거래소의 회원인 FCM은 지정된 한 거 래소의 규제만 받도록 한다는 것이다.
 
 
[증권]  미국 예탁증서 (American Depositoy Receipts) [ 미국 예탁증서 (American Depositoy Receipts) ]
미국의 은행,신탁회사 등이 외국주식을 근거로 발행하는 일종 의 예탁증서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외국기업이 주식을 미국 증권 시장에 상장할 때 이 ADR을 이용한다 외국주식을 미국에서 직접거래하는 경우에는 1)미국투자자에게 생소하 고, 2)주권수송이 번잡하고, 3)분실,도난 등으로 신증권교부가 어려 운 점 등 난점이 많다. ADR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27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하였는 바 1)미국의 증권업자가 외국에서 주식을 구입하여 미국은행 현지지점 (수탁은행) 에 맡기고,2)수탁은 행은 본국 (미국) 에서 지점에 맡겨둔 외국주식 (원주) 을 근거로 동액에 상당하는 ADR을 발행하며 3)증권업자가 미국내에서 이를 매매 하는 방식을 취한다.
 

 



[증권]  보호예수 [ 보호예수 ]
보호예수란, 증권회사가 고객의 유가증권을 고객의 명의로 보관하는 업무를 말한다. 이것은 투자자가 유가증권을 발행했을 때 따르는 사고위험 즉 화재, 도난, 분실 등을 방지하고, 주권의 매도시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다.
 
 
[증권]  본질가치 [ 본질가치 ]
증권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식의 현실 가격에 상관없이 합리적인 평가 기준에 의하여 측정되는 주식의 가치를 본질가치, 고유가치 또는 내재가치라 한다. 주식의 본질가치는 주로 기본적 분석가들에 의해 평가되는데, 그 평가 기준에는 향후 4, 5년 동안에 예상되는 기업의 이익·배당·자산 가치·자본 환원율 등이 있다.
 
 
[증권]  바꿔타기 (switching) [ 바꿔타기 (switching) ]
유가증권 매매거래에 있어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처분하고 유 망주라고 생각되는 다른 종목을 매입하거나 또는 신용거래에서 기 한이 된 종목을 상환함과 동시에 그 종목을 다시 매입하는 것을 말한다.
 
 
[증권]  법인실재설 [ 법인실재설 ]
자연인 외에 법적 주체를 갖춘 단체가 있다고 가정하고 법인 은 법이 의제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체라고 보는 법인이론이다 이 설에 의하면 법인이 경제주체로서 활동하고,또 그 활동의 성과로서 소득이 형성되고 그로 인하여 법인의 순자산이 증가한다 는 것을 곧 자연인이 경제주체로서 활동을 하여 그 성과로서 소 득이 생기게 된 것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으므로,자연인이 경제 활동에서 생긴 소득에 대하여 소득세가 부과되는 바와 같이 법인 에 대하여서도 그 경제활동의 성과에서 생긴 소득에 대하여 세금 이 부과된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증권]  번한지표 [ 번한지표 ]
시장이 활황인가 침체인가를 양과 질로 알아보는 지표 번한지표는 거래량 회전율 (당일 거래량을 총 상장주식수로 나 누어 100을 곱함)에 거래성립율 (당일 거래형성종목수를 총상장종목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함)을 곱한 값임 거래량 회전율은 거래의 양.거래형성율은 거래의 질을 나타내 는 지표 5%이하는 바닥,15%는 보통수준,30%이상은 과열을 나타냄
 
 
[증권]  배서 [ 배서 ]
지시증권상의 권리자 (배서자)가 증권상의 권리를 양도하기 위 해 증권에 필요사항을 기재하고 기명날인하여 그것을 상대방 (피배 서인)에게 교부하는 행위를 말한다.배서에는 피배서인의 이름을 기재하는 기명식배서와 이름을 기 재하지 않는 백지식배서가 있다 배서에 의해 증권상의 권리는 피배서인에게 이전되며 배서가 연속된 증권의 소지인은 권리자로 추정된다 또 배서에 있어서는 증권상의 채무가 본래의 채무자 (어음발행 인)에 의해 이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배서인은 담보책임 (상환의무) 을 지지 않으면 안된다.
 
 
[증권]  배당수익률 [ 배당수익률 ]
금기에도 전기와 같이 동일한 배당율로 배당이 실현된다고 가정해서 현재의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하여 결산기말까지 보유한다고 할 때 몇%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
 

[증권]  배당성향 [ 배당성향 ]
회사가 세공제후 당기순이익을 어느만큼 배당으로 지급하느냐를 나타내는 것임 배 당 금 배당성향 = ---------------------- X 100 세공제후 당기순이익 현금배당 배당성향 = ------------ X 100(%) 당기순이익
 
 
[증권]  배당률 [ 배당률 ]
배당금 배당률= ---------- X 100(%) 액면가액
 
 
[증권]  배당락 [ 배당락 ]
배당 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배당금은 회사 결산일 현재의 주주에게 지급되는 것이므로,주주명 부가 폐쇄되기 전까지 명의 개서를 할 수 없으면 설사 주식을 매입했더라고 배당을 받을 수 없다.따라서 배당 기준일 다음날의 주가는 전일보다 배당금만큼 낮아지는 것이 보통이다 유가증권 시장에서의 거래는 보통거래를 기준으로 볼 때,매매계약 체결일로부터 사흘째되는 날에 결제가 이루어지므로,실제로는 사업 년도 종료일의 다음날에 결제되는 사업년도 종료일 전일 매매분부 터 배당락 조치를 취하게 된다.
 
 
[증권]  배당기산일 [ 배당기산일 ]
각 주식에 대하여 배당금이 계산되는 최초의 일자를 말한다. 구주의 경우에는 결산기 이후 사업개시일이 배당기산일이 되나, 중간에 신주발행이 있는 경우에는 주금납입일이 배당기산일이 된다 영업연도중에 유상증자에 의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대개 영업연도개시일로부터 배당기산일까지의 경과기간의 기대배당액이 주가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주금납입일을 배당기산일로 하게 되나,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신주배정기준일이 배당기산일이 된다.
 
 
[증권]  방어주 [ 방어주 ]
경기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주가의 움직임이 민감하지 않은 주 식을 말하는 것으로 경기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준의 경영성과를 꾸준히 유지하는 음식료품과 같은 생활필수품과 관련된 산업이 이에 속한다.
 
 
[증권]  발행자 수익률 [ 발행자 수익률 ]
(당초경비+기중경비+상환차액)/평균상환연한 발행자 수익률= ----------------------------------------- 발행금액- (상환차액+당초경비)
 
 
[증권]  반전일 (reversal days) [ 반전일 (reversal days) ]
주가가 새로운 저가를 기록한 후 매입세력의 가담으로 반등하 거나,새로운 고가를 형성한 후 대량 매도 물량에 의해 하락하는 날을 가리킨다. 전자의 경우를 저가 반전일 이라고하고 후자의 경우를 고가 반전일 이라고 한다. 이러한 반전일은 그때까지의 주가의 경향을 단기간 중단시키거나 상승 또는 하락의 속도를 늦추는 경우가 있고,그때까지의 주가 추세를 근본적으로 전환시키는 경우도 있다. 주가의 추세를 전환 시킬때의 반전일은 기조 반전일 이라고 하여 투자전략에 활용된다.
 

[증권]  반덤핑관세제도 [ 반덤핑관세제도 ]
외국제품이 부당한 가격으로 싸게 팔림으로써 국내 관련사업이 타격 받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이다. 즉 외국상품의 덤핑공세에 대응키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 제도의 목적은 외국제품이 비정상적인 가격으로 수입돼 국 내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이같은 불공정무 역관행을 시정하고 국내산업의 피해를 규제하는 데 있다. 국제무역에서 덤핑이란 GATT(관세무역일반협정)규정에 따라 수출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거래되는 특정물품의 국내가격보다 낮은 가격 으로 수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덤핑행위는 불공정 무역행위로 간주돼 수출가격과 국내 가격과의 차이인 덤핑차액만큼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GATT규 정에 허용돼 있다. 반덤핑제도는 특정 수출국의 상품에 대해 선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보상의무가 면제되므로 그 적용이 비교적 쉽다. 최근 미국은 한국을 비롯한 철강수출국에 고율의 반덤핑 예비 판정을 내려 정치적인 수입규제강화 등으로 비쳐지고 있다.
 
 
[증권]  바코드 [ 바코드 ]
상품의 국적 제조업자 규격 가격등에 관한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할 수 있도록 흑백의 막대로 분류한 표식이다. 상품포장이나 상품자체에 인쇄,활용한다. 백화점이나 슈퍼마켓에서 계산에 앞서 점원들이 이 바코드를 POS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의 판독기에 쪼이면 그 점포에서 해당 상품이 판매됐다는 정보가 즉각 입력된다. 이처럼 바코드는 POS운용을 위한 필수조건이며 판매관리 물류관 리등 유통과학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코드 구성방식은 세계적으로 12자리의 UPC체계와 13자리의 EAN 체계 2가지가 있다. 우리나라는 EAN(국제상품코드관리협회)체계를 따르고 있는데 88년 에 가입,한국산임을 표시하는 880 (첫자리에 표시)번호를 부여받았다. 이 바코드번호는 대한상의부설 한국통상정보센터에서 각제조업체 의 신청에 따라 부여하고 있다.11월말현재 등록한 업체수는 약700개사 바코드의 표시주체에 따라 제조업체가 할경우 소스마킹,유통업 체가 할 경우 인스토어마킹이라고 한다.
 
 
[증권]  바벨형 만기전략 [ 바벨형 만기전략 ]
채권포트폴리오에서 중기채를 제외시키고 단기채와 장기채 두가 지만으 로 만기를 구성하는 전략이다.중기채를 제외시키 고 단기채와 장기 채만으로 구성하면,수익성이 낮지만 유동성이 높 고 위험이 낮은 단기채의 장점과 반대로 위험은 높지만 수익률이 높은 장기채의 장점이 중화되어 유동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확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이 전략은 래더형 만기구성전략보다도 투자 성과가 좋은 방법 이기는 하지만,관리가 복잡해지고 수수료 비용 등 지출이 잦다는 단점이 있다.경기변동,금리변동을 감안하여 단기 채와 장기채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투자수익을 좀더 높이고자 할 때는 정확한 금리예측이 전제되어야 한다.
 
 
[증권]  바론즈 신뢰도지수 [ 바론즈 신뢰도지수 ]
미국의 주간투자신문인 바론즈(Borrons)에 의해서 1932년에 개발 된 지표로서 주식시세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이 다 이 지수는 경기호황으로 기업실적이 좋고 기업에 대한 신뢰도 가 높을 때에는 등급평가의 차이에 따른 사채수익률 격차가 적지 만 경기가 불황일때는 등급평가의 차이에 따른 수익률 격차가 확 대되는 것에 착안하여 일류 사채의 수익률은 2, 3류 사채의 수익률 로 나눈 것을 지표로 하고 있다.일반투자자는 리스크가 적다고 생 각 될 때는 안정성보다는 수익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지수는 상승 하고 그 반대일 때는 지수는 하락한다 채권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와 같은 태도는 주식시장에도 반영 되기 때문에 이 지표는 주식시황을 반영되기 때 문에 이 지표는 주식시황을 예측하는데 선행지표로 이용되기도 한 다.
 
 
[증권]  비체계적 위험 [ 비체계적 위험 ]
증권시장 전반의 움직임에 관계 없이 특정개별주식에 한정된 위험 으로써 잔차위험이라고도 한다 이는 시장수익률의 변동에 기인하지 않는 것으로 증권시장 전체의 변동과 관계없는 기업고유의 요인-예컨데 경기변동과 조업상태,관 리능력,노사문제,특허이용,광고캠페인,소비자의 반응,소송,대정부 관계,기업이미지 등- 에 기인하는 위험이다. 이 비체계적 위험은 여러 종류의 증권에 분산투자함으로써 저 감 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산가능위험(diversifiable risk)이 며,특성선 에 있어 시장수익률 R m의 변동에 의하여 설명되지 않는 잔치 위험이다.
 
 
[증권]  분식결산 [ 분식결산 ]
기업 경영자가 결산재무제표상의 수치를 고의로 왜곡시키는 것 으로 특히 이익액을 실제가치보다 크게 표시하는 경우를 말하는 때가 많다 이익을 과대표시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일반적인 수단은 비실현 매출의 계상,재고의 과대평가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비 합법적인 수단으로 결산정책으로서 인정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비합 법적인 수단으로 결산정책으로서 인정되고 있는 범위의 조치-예를 들어 감가상각방법을 정률법에서 정액법으로 변경-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분식결산은 주주뿐만이 아니라 투자자및 채권자의 판단을 오도 하여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분식결산의 유무는 대개 공인회계사의 감사보고서로서 밝혀지는 것이 보통이나 투자자로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증권]  부채비율 [ 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 부채비율= --------------------- X 100(%) 자기자본(자본총계) 증권회사 법정부채비율 = 순재산액 ( 부채총계-보관유가증권-증권거래준비금 ) ----------------------------------------------- X 100(%) ( 자기자본+증권거래준비금 )
 

[증권]  부외자산 [ 부외자산 ]
실제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으나 회계장부에 기록되어 있지 않 은 자산을 말한다 본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자산은 회계장부에 기록되어 야 하므로 부외자산이 회계상 인정받기 위해서는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외자산은 소모품이나 소모공구,가구,비품,기타의 저 장품처럼 중요성이 적고 매입시 또는 출고시 비용을 처리하는 방 법을 채용한 경우이다 이밖에도 상각이 끝난 감가상각자산으로 사용 중인것,공장에 있는 것 등이 장부기록 이외의 자산으로 인정받는다 이에 비해 부정한 부외자산은 부정한 목적에서 고의로 은폐시 킨 자산으로서 비밀자산이라고도 한다.
 
 
[증권]  부동주주 [ 부동주주 ]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주가의 변동에 따라 빈 번하게 매매하는 주주로서 주식을 장기보유하는 안정주주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부동주주는 대부분이 개인주주인데 부동주주가 많은 종목은 주 가 상승이 억제되기 쉽다.
 
 
[증권]  부동산신탁제조 [ 부동산신탁제조 ]
자신의 땅과 건물을 공신력이 높고 자금조달이 쉬운 제3사(신 탁 회사)가 대신 관리.개발.처분하고 거기에서 생긴 수익을 서 로 나누어 갖는 제도를 말한다 유휴토지가 있으면서도 자금이 없는 사람이나 오랫동안 집을 비운 사람들이 이 제도를 이용 소유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증권]  복배 [ 복배 ]
회사의 배당유무를 전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용어의 일종으로 서 기존에 유배당이었던 회사가 한 번 무배당으로 전락한 후 다 시 배당을 부활하는 것을 말한다 무배당의 원인이 된 업적부진이나 누적적자가 해소되어 다시 배당을 할 수 있는 것은 주주,투자자에게 있어서 호재로 작용한다 한편 창업이래 최초의 배당은 초배당으로 복배와는 개념이 다르다.
 
 
[증권]  보합 [ 보합 ]
보합이란,시세가 특별한 변동을 보이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시세가 상승한 상태에서 보합 상태를 유지하는것을 강 보합,시세가 하락한 상태에서 보합 상태를 유지하는것을 약보합 이라고 한다.
 
 
[증권]  보장형 수익증권 [ 보장형 수익증권 ]
신규주식수요를 창출하고 투신사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1990년 9월20일부터3개 투신사에 판매가 허용된 수익증권으로서,기존 에 발행된 수익증권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성에 있다 첫째,시중은행1년만기 정기예금금리 (현행10%)의3년간 복리수익률 인33.1%를 보장받으며 주가상승시에는 추가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자산의80%를 주식에 운용해야 하는 주식형 수익증권이다 셋째,저축기간 중 공금리 변동시에는 변동일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된 보장수익률이 적용되며,계약기간(3년)이내에는 해약할 수 없 으나 본상품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됨으로써 증권시장에서의 매매를 통 해 환금이 가능하다.
 
 
[증권]  병행증자 [ 병행증자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를 병행하는 것을 말하며,유.무상병행증자 라고도 한다. 이것은 유상 신주와 무상 신주를 별도로 발행한다 는 점에서 포괄증자와 구별된다. 다시 말해서 포괄증자는 신주 1주 가운데 유상증자분과 무상증자분이 포함되어 있어,어느 한쪽 분만 인수할 수가 없지만,병행증자는 유상증자분과 무상증자분을 별도로 취급하여 유상증자분을 포기하더라도 무상증자분은 받을 수 있다.
 

[증권]  병합상장 [ 병합상장 ]
증권시장에 상장된 신주가 당해 회사의 결산익일부터 구주와 권리 내용이 같아짐에 따라 구주에 병합하여 한 종목으로 상장되는 것을 말한다 즉 주식회사의 사업년도 중에 신주가 발행되면 배당기산일이 다른 만큼 구주와 신주의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종목으로 상장되나,그 후 회사의 첫 결산일이 지나면 신주와 구주가 같은 조건이 되므로 이를 병합하는 것이다.
 
 
[증권]  별단예금 [ 별단예금 ]
보통예금,당좌에금 등의 일반예금과는 달리 당좌거래가 없는 고객으로부터 어음의 추심이나 유가증권의 매각의뢰를 받았을 경우 또는 주권,사채권의 모집 등을 대행하여 들어온 돈을 본인에게 지 불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예치하기 위한 예금을 말한다.
 
 
[증권]  변동준비금 [ 변동준비금 ]
증권시장에서 주가의 등락이나 신탁재산에 편입된 주식에서 나 오는 배당금의 변동과 금리변도엥 따른 채권의 발행이율 도는 시장 수익률 변동에 따라 투자신탁의 수익은 매 결산기마다 상당한 차이 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투자신탁회사는 수익금이 많이 발생 하였을 때 일부를 소정의 적립률에 비례해서 준비금을 적립하게되는 데 이것을 가격변동준비금이라고 한다. 이 준비금은 차기결산시 원본에 손실이 발생하였거나 이익이 평균 이익분배율에 미달되는 경우에 원본을 보전하고 이익을 보충함 으로써 매 결산기마다 이익분배율의 평준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증권]  벤치마킹 [ 벤치마킹 ]
기업들이 주변에서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상품이나 기술을 배워 자사의 생산방식에 합법적으로 응용하는 것 다른 우수한 상품들의 기술을 일단 배우고나서 이를 자사제품 생산에 응용,새로운 생산방식을 재창조한다는 점이 단순한 모방과는 다르다 미국의 포천지가 \"쉽게 아이디어를 얻어 새상품개발로 연결시키는 기법\"이라며 벤치마킹(Bench Marking)이라고 이름지었다. 미국의 포드사는 \"토러스\"라는 차를 만들때 이 기법을 도입했다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400가지 특성을 조사해 그 분야에서 최고의 품질을 가진 차의 기술을 응용했다.예를 들어 문손잡이와 앞좌석부분은 제너럴모터스의 셰비루미나,할로겐헤드라이 트는 혼다의 어코드,가변핸들분야는 닛산의 맥시마등에서 기술을 응용해 새로운 차를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미국의 품질관리협회가 4개업종 580개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1%가 규칙적으로 벤치마킹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최근 벤치미킹의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국내기업들도 앞다퉈 이 방 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벤치마킹을 소개하는 책들도 봇물을 이루고 있다.
 
 
[증권]  벤쳐투자신탁 [ 벤쳐투자신탁 ]
고도의 첨단기술이나 장래성은 있지만 경영기반이 미약하고 리 스크가 높아 일반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차입이 어려운 모험기업 (venturre business)에 투자.운용하는 펀드로서 일종의 모험자본 (venture capital)이다. 벤쳐캐피탈회사의 기금운용방식이 대자본가인 한정된 주주로부터 납입받은 자본금 및 기타 조달자금을 원천으로 융자 또는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그 수익을 주로 한정된 주주에게 배당 형식으로 분배하고 있는데 비해,투자신탁의\"벤쳐캐피탈펀드\"는 불 특정다수의 일반투자자에게 수익증권을 매각하여 기금을 모집한 후 당해 신탁기간 동안 투자에 의해 발생된 수익 전액을 수익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일반대중에게도 유망중소기업에 대한 투자기회를 제공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투자신탁펀드가 투자대상 유가증권을 상장주식 및 채 권등에 한정하고 있으나,벤쳐투자신탁펀드는 그 투자대상을 비상장 기업 중 신개발기술을 토대로 향후 성장성이 크게 기대되는 유망중 소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에까지 확대시 켜 높은 수익을 도모하는 새로운 형태의 펀드라고 할 수 있다.
 
 
[증권]  벤쳐캐피탈회사 [ 벤쳐캐피탈회사 ]
고도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장래성도 있으나 아직 경영기 반이 약하고 일반 금융기관으로는 위험부담이 커서 융자하기 어려운 벤처 비지니스에 대해 주식취득 등을 통하여 투자하는 기업 또는 이와 같은 기업의 자본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회사 들은 투자한 기업의 주식공개를 통한 자본이익(capital gain)으로 수 익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는 현재1985년에 제정된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따라 벤 쳐 캐피탈회사가 설립되어 벤쳐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증권]  베타계수 [ 베타계수 ]
개별증권(또는 포트폴리오)의 수익이 증권시장 전체의 움직임 에 대해서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동하는 가를 나타내주는 수치로서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에 자주 이용된다. 자본자산 가격결정모델에서는 개별증권 (또는 포트폴리오)의 초 과이익 (정부증권과 같이 무위험채권의 수익을 상회하는 수익부분) 과 시장전체의 평균초과이익의 과제는1차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증권의 초과이익을 종축으로 하고 시장전체의 평균초과 이익을 횡축으로 해서 도시하였을 경우 양자의 관계는 우상향직선( 증권특성선)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이 직선의 기울기가 베타계수이 다 시장 포트폴리오의 베타를 1이라고 하면 베타가1보다 커지면 시장평균보다 그 증권의 위험 및 기대수익률이 크고,반대로 베타 가1보다 적으면 위험과 기대수익률도 적어진다.
 

[증권]  법인의제설 [ 법인의제설 ]
자연인만이 본래의 권리의무의 주체이며 법인은 자연인에 의제 하여 인정된 인격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법인이론으로서 법인의제설 에 의하면 법인의 소득에 대하여 법인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그 소득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은 주주에게 다시 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법인조직에서 벌어들인 소득에 법인세를 부과하고,또 법인 세가 이미 부과된 배당금을 주주의 소득으로 하여 다시 세 금을 부과하는 것은 같은 소득에 대하여 두번 과세하는 이중과세라 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증권]  신형우선주 [ 신형우선주 ]
신형우선주는 1995년 12월 개정된 상법의 적용을 받아 1996년 12월 1일부터 발행된 우선주로서 대부분 몇 년이 지난 뒤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한부우선주, 잔여배당이 다음해로 누적되는 누적형 우선주 를 말한다. 신형우선주는 배당측면에서는 최저배당률이 정해져 있고 만기가 있다는 점에서 기존우선주보다 조건이 유리하다. 배당조건이 완료되면 보통주로 전환된다는 점이 큰 차이이다. 신형우선주는 일종의 "만기"가 정해져 있다. 이 점에서 회사채와 비슷하다. 이 기간이 지나면 우선주가 보통주로 전환된다. 다만 우선주 존속기간동안 최저 배당률을 누적적으로 지급해야 보통주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신형우선주가 발행된 후 2-3년 동안 배당을 못하다가 그 해 이익을 많이 내었다면 한해에 3-4년 치의 배당을 받게 되므로 좋은 투자대상으로 볼 수도 있다. 신형우선주는 의결권은 없고 일반적으로 끝에 B자가 붙어 표기된다. 00우는 구형우선주를 나타내며 001우B, 2우B, 3우B 등은 신형우선주를 말한다. 2B는 전환우선주라하여 선진국에서는 많은 회사가 발행하고 있다. 이것은 일정요건이 갖추어지면 보통주로 전환 해준다고 하여 전환우선주라 한다. 2B와 3B의 차이점은 발행 시기에 있다. 동일사업연도에 우선주가 여러번 발행된 경우 발행순서에 따라 1신우선주, 2신우선주로 구별이 되어 거래가 따로 이뤄진다. 구분의 이유는 배당기산일 상의 차이 때문입니다. 다음 해로 넘어가면 이들이 모두 합쳐진다.
 
 
[증권]  신구주 합병 [ 신구주 합병 ]
결산기 중간에 유상증자 등으로 신주가 발행되는 경우,배당 기산일 이 달라 구주와 신주가 별도의 종목으로 거래된다. 그러나 한번의 배당을 거치게 되면 배당 기산일이 동일하게 되므로 권리의 차이가 없어지게 되어 신.구주가 동일 종목으로 합병하게 되는데,이것을 신구주 합병이라 한다.
 
 
[증권]  스프레드 거래(spread trading) [ 스프레드 거래(spread trading) ]
선물거래에서 동일한 선물이나 상이한 선물간에 동시에 매입계약과 매도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선물간의 가격차를 목적으로 하는 투기거래를 말한다.여기에는 동종상품간거래, 이종상품간거래 및 나비형 스프레드 거래의 3가지가 있다.◎ 동종상품간거래 : 거래마감월이 서로 다른 두 선물상품간의 가격차가 현물가격 및 적정수준으로부터 괴리되어 있어 향후 금리차가 더욱 축소 또는 확대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거래마감월이 다른 상품을 동시에 매입, 매도하는 거래◎ 이종상품간거래 : 상이한 선물상품을 동시에 매매하는 것◎ 나비형 스프레드 거래 : 세 가지 선물에 있어 두 스프레드 간의 관계가 변화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3가지 선물을 동시에 구입, 매각, 구입(또는 매각, 구입, 매각)함으로써 스프레드의 스프레드를 매매하는 거래
 
 
[증권]  신고가 [ 신고가 ]
주가가 과거에 없었던 높은 수준을 나타낼 때 그 가격을 신고가라고 한다. 신고가에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는데,1)증권거래소가 생긴 이후의 최고가를 개소 이래의 신고가라고하고,2)금년에 들어서의 최고가를 연초 이래의 신고가 라고 하며,3)작년 이후의 최고가를 작년래의 신고가라고 하는 등이다.보통은 증자로 인한 권리락 후에 형성된 주가의 최고 시세를 신고가라고 하며 이때를 \"권리락 후의 신고가\"라고도 한다.
 
 
[증권]  시장평균환율제 [ 시장평균환율제 ]
자유변동환율제도의 이행을 위한 과도기적인 제도로서 환율이 시장에서의 은행간 외환수급에 의해서 결정되되 일일변동범위를 설정하는 방식이다.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3월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및 외국은행 국내지점 등 외국환 취급은행 들이 일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가중평균,다음날 상오9시 일반고객 들에게 적용할 환율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증권]  시장조성 [ 시장조성 ]
유가증권의 모집 또는 매출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모집 또는 매출한 증권의 수급을 상장후 일정기간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증권거래법은 공모주식의 주가가 발행가 수준 밑으로 떨어져 투자자들이 손해를 입는 것을 막기위해 해당종목이 증권시장에 상장되는후 6개월 이내의 범위에서 신규공개기업과 증권사가 협의를 통해 시장조성 기간을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증관위 규정은 상장후 1개월동안 의무적으로 시장조성을 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상장후3개월까지 주가가 발행가를 하회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3개월 이내의 기간에 걸쳐 이루어 지고 있다. 시장조성에 나서는 증권사는 조성전에 시장조성 신고서를,조성후에는 시장조성보고서를 증관위와 거래소에 각각 제출하여야 한다.
 
 
[증권]  선도거래 [ 선도거래 ]
미래 일정시점에서 현물상품을 사거나 팔기로 합의한 거래로 인도일, 계약금액 등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당사자간의 협상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의 시점에서 미래의 특정시점에서 특정상품을 사거나 판다는 점에서 선물거래와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① 선물거래는 특정의 거래소시장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나 선도거래는 주로 은행간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② 선물거래는 상품이 표준화되어 있으나, 선도거래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③ 선물 거래는 결제이행을 청산기관이 보증하나, 선도거래는 당사자 간의 신용에 의한다. ④ 선물거래는 대부분 만기 이전에 반대매매가 이루어지나 선도거래는 거의 만기에 실물로 인도된다.
 

[증권]  순수포지션 [ 순수포지션 ]
옵션을 이용한 투자전략및 그 이익의 형태에 관한 가장 단순한 전략으로서 단지 하나의 증권을 매입 또는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즉 기초주식을 매입하거나 공매하는것 또는 콜을 매입하거나 발행 하는것 등을 순수포지션이라고 한다.
 
 
[증권]  순수수익률취득교체 [ 순수수익률취득교체 ]
채권의 성격,만기,질적 등급 등을 고려함이 없이 현재의 채권수익률이 높은 채권으로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많은 투자자들이 이와 같은 투자를 하는데 이는 현재의 채권수익률이 앞으로도 지속된다고 생각한 데서 기인한다.특정채권의 수익률은 앞으로 그 채권의 질적 등급과 만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현재의 수익률이 높은 채권이 수익률이 낮은 채권보다도 앞으로 반드시 더 높은 실현수익률을 가져다 준다 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순수수익률 취득교체기법은 채권교체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겠다 이러한 형태의 교체를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두 채권에 대해 서1)쿠폰수입,2)이자의 재투자수익,3)상환차손익 등3가지 요인 을 고려하여야 한다.
 
 
[증권]  수정주가평균 [ 수정주가평균 ]
유.무상 증자에 의한 권리락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권리락 전일 의 주가평균과 권리락 당일의 주가평균 사이에 단층이 생기므로, 주가평균은 연속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없애기 위하여 주가를 수정하게되는데,이것을 수정 주가평균 이라 하며,우리나라에서는 다우식 수정법이 채용되고 있다 다우식은 권리부 최종가를 기준으로 하여 권리락의 이론주가를 계산하고 다시 이들로부터 항상제수를 산출하여 수정하는 것이다.
 
 
[증권]  수정배율 [ 수정배율 ]
단순주가평균에 대한 수정주가평균의 배율을 말하는 것으로 수정배율 에 단순주가평균을 곱한 것이 수정주가평균이다.
 
 
[증권]  선물환 [ 선물환 ]
장래의 일정기일 또는 기간내에 일정금액,일정종류의 외환을 일정 환율로써 수도할 것이 약정된 외환을 말하고 이러한 약정을 선물 환계약(forward exchange contract)이라 한다.계약 내지 선물기간은 일반적으로6개월 이내이지만6개월 이상의 장기계약도 있다.만기일이 되면 그 약정에 따라 매매가 이루어지 는데 이것을 수도(delivery)라고 한다.또 이 선물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은 선물환율(forward exchange rate)이라 하고 선물환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것을 선물환거래(forward exchange transaction)라고 한다 선물환거래에는 외국환은행을 중심으로 대고객간에 이루어지는 대고객 선물환거래와 외환시장에서 외국환은행간에 이루어지는 시장선물환거래 가 있으며 환율도 대고객률과 시장률도 나누어진다.
 
 
[증권]  선물식 옵션 [ 선물식 옵션 ]
옵션가격변동에 대한 베팅(betting)거래로서 선도거래(forward trading)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 즉,선물식 콜(풋)옵션매입자 는 콜(풋) 옵션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실현하는 반면 옵션매도자는 손실을 보게 되며 콜(풋)옵션가격이 하락하면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선물식옵션이 현물옵션이나 선물옵션과 다른점은,첫째 현물 및 선물 옵션에서는 옵션매입자가 당초 옵션의 매입시점에서 옵션가격인 프리 미엄을 지급해야 하나 선물식옵션에서는 옵션매입자가 매입시점에서 옵션프리미엄을 지급하지 않고 단지 증거금(margin)만을 예치한다는 점이다 즉,선물식옵션에서 옵션가격 (프리미엄)은 옵션매입시에 실제로 지급 되는 가격이 아니며 단지 베팅(betting)대상의 변수(variable)로 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둘째,현물 및 선물옵션에서는 옵션매입자가 옵션을 매각 또는 행사 함으로써 현금수지가 발행하나 관계 없이 옵션가격의 수시변동으로 인하여 옵션매입 후 일일현금수지에 의한 일일결제(marking tomarket)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증권]  선도주지표 [ 선도주지표 ]
주가는 어느정도 업종별,자본금 규모별 등에 따라 같은 모양으로 움직이는 속성이 있으므로 시장을 선도하는 주식의 방행을 분석할 필요 선도주지표로 선도주 점유율과 선도주 가중평균주가가 있음 선도주 점유율 ;거래량 상위10종목의 합계를 당일 거래량으로 나눈 것 선도주 가중평균주가 ;거래가 많은 상위10종목의 주가에 해당 거래량을 곱하는 식으로 1위에서10위종목주가까지 가중누계한 것을 당일10종목의 거래량 총합계로 나눈 것 분석기법 선도주 점유율; 30%가 보통수준,50%수준되면 경계를 요함 선도주 가중평균주가 ;주가흐름을 리드하는 주식의 질적측면을 관찰하려고 함 (고가주,혹은 저가주가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지 여부)
 

[증권]  신용대주 [ 신용대주 ]
신용대주란 증권회사에서 주식을 빌리는 것인데, 신용융자와는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선호한다. 즉, 투자자는 증권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 그것을 매도한 후에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동일한 주식의 수량을 다시 매입하여 빌린 주식을 상환하는 방법이다. 대주 역시 60%의 자기자본이 있어야 하고 대주기간, 담보유지 비율, 반대매매 등에서 융자와 동일한 적용을 받는데 증권회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증권]  상호결제제도(MOS) [ 상호결제제도(MOS) ]
거래소간의 업무협약에 따라 서로 다른 거래소에 동시에 상장되어 있는 상품을 대상으로 한 거래소에서 설정된 포지션을 다른 거래소 로 이전할 수 있거나 결제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의 장점으로는 단일증거금제도,소액의 거래비용,거래시간의 연장,효율적인 위험관리,시장간 유동성증대 등을 꼽을 수 있다.
 
 
[증권]  상장회사협의회 [ 상장회사협의회 ]
투자자를 보호하고 상장회사의 권익옹호 및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1973년12월에 설립된 사단법인으로서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한 회사는 모두 동 협의회의 회원이 된다 동 협의회의 주요업무는1)상장회사 공시제도에 관한 사업, 2)배 당정책에 관한 협의 및 지도사업,3)상장회사 관련업무지원을 위한 교육 및 연수에 관한 사업,4)상장회사 관련제도와 업무의 개선. 통일에 관한 사업,5)상장회사 우리사주조합에 관한 사업,6)상장 회사 자료전산화에 관한 사업,7)등록법인,외부감사대상법인에 따른 제 업무의 지도에 관한 사업,8)관계기관에 대한 건의 등 기타 협의회와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등이 있다.
 
 
[증권]  상장폐지유예기간 [ 상장폐지유예기간 ]
상장기업의 영업정지 또는 부도발생등 상장폐지기준에 해당되는 종목에 대해 당해기업의 상장폐지요인이 언제까지 해소되지 않는 경우 상장이 폐지됨을 공시함으로써 선의의 투자자들이 주권상장폐지에 의 한 투자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래소가 공시하는 상장폐지의 유예 기간을 말한다 상장폐지 유예기간은1)사업보고서 및 반기보고서의 미제출,감사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3년 계속인 경우에는2년,2)영업활동의 정 지.부도발생 또는 은행과의 거래정지,자본잠식3년연속,주식분포 상황 미달 등의 경우에는3년이며,3)회사정리절차개시의 경우에는 회사정리절차폐지시까지이다 한편 상장폐지 유예기간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기간이 짧은 유예기간 을 적용한다.
 
 
[증권]  상장폐지 [ 상장폐지 ]
상장법인의 신청 또는 상장 폐지기준에의 해당등의 이유로, 증권거래소가 증권관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회사 또는 유가증권으로 부터 증권시장에서의 매매 자격을 박탈하는 것을 말한다 상장 폐지 조치는, 사업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의 미제출,3년 계속 감사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회사정리 절차 개시,어음 또는 수표 부도,최근 3년 계속 자본 잠식,기타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등의 기준에 의해 행해진다.
 
 
[증권]  십퍼센트 휠터룰 (10% filter rule) [ 십퍼센트 휠터룰 (10% filter rule) ]
주가가 직전 저가에서 10%이상 상승했을 때 상승전환이라고 판단하 여 매입하고 직전고가에서 10%이상 하락하면 하향전환으로 판단하여 매도한다는 투자방법이다. 물론 10%라는 수치가 변경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것과 대조적인 것으로 포뮬러플랜과 같이 포트폴리오 구성 상 장세의 강도에 따른 주식과 채권의 일정한 편입비율을 미리 정해놓고 이에따라 투자자산의 구성비율을 조절해 가는 전략이 있다.
 
 
[증권]  선행종합지수 [ 선행종합지수 ]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CI)의 하나로 장래에 닥칠 경기변화 를 예고하는 지표이다.대부분 경기의 단기예측을 위해 선행종합지수 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이는1970년대 이후 선행종합지수의 기준 점이 기준순환점을 대체로3 8개월 정도 선행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선행종합지수를 구성하는 지표에서 통화(M1),총유동성(M3),건축허가 면적,기계수주액,제조업재고율지수,수출,L/C내도액,종합주가지수, 평균근로시간,제조업입직률 등이다.
 

[증권]  선불카드 [ 선불카드 ]
사용대금을 미리내고 물품을 살 수 있는 카드.영어의Prepail card 를 줄여PP카드라고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중전화카드나 지하철정액권등이 선불카드성격을 갖고 있다. 또 지난 대전엑스포때 이용됐던 입장권도 선불카드의 대표적 예임 선불카드는 사용대금을 먼저낸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상품권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상품권은 금액이 큰 것에 사용되는 반면 선불카드는 잔돈으로 여러번 반복해 사용하는 곳에 이용되는 차이가 있다.예를들어 커피나 담배자동판매기,시내버스요금지급때등 동전이 필요한 곳에 주로 이용된다. 선불카드가 동전없는 사회(Coinless society)를 지향하고 있다는 설명은 이같은 사실때문이다. 선불카드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신용카드(Credit card)가 물품을 먼저 사고 사용대금은 나중에 내는 후불카드라는 점과 구별된다. 또 물품을 사는 것과 동시에 대금을 내는 직불카드(Debit card) 와도 다르다.
 
 
[증권]  상장주식회전율 [ 상장주식회전율 ]
장기적으로 보면 거래량은 상장주식수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거래대금은 상장주식수와 주가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이러한 요인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시장의 유통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산출하는 지표가 회전율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거래가 활발하고 시장인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상장주식회전율은 거래량을 당해기간중의 평균상장주식로 나눈것으로, 상장주식회전율은 월간과 연간의 두 종류가 발표되는데,연간회전율은 월간회전율의 합계이다. 상장주식회전율은 시장전반에 관한 동향이나 개별종목의 인기도를 측정하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증권]  상장 [ 상장 ]
상장이란,증권시장에서 매매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증권을 증권거래소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이 상장되려면 먼저 기업이 공개되어야 하는데,일단 상장이 되면 기업은 발달된 거래 시설과 기술을 이용하여 거액의 자금을 용이하게 조달할 수 있고,자사 증권에 시장성을 부여하여 환금성을 높일 수 있다.
 
 
[증권]  상대강도 [ 상대강도 ]
여러가지로 개념 정의가 가능 여기서는 개별지수내지는 산업지수의 변화량에서 종합지수의 변화량을 뺀 수치를 매일같이 측정,도표화함을 말한다.
 
 
[증권]  상대가치 [ 상대가치 ]
본질가치에 대응하는 말로써 현실적인 주가수준의 합리성을 인정하는 관점에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상대가치에 의한 평가방법은 주식시장 일반,동업계 주식 또는 비교가능한 회사주식의 시장가격과 이에 대응하는 수익,배당 등의 비교수치와의 비율 또는 배수를 승수로 적용한다 상대가치에 의한 평가는 1)유통시장에서의 주가가 비교적 적정하고 안정적 이어야 하며 2)상장종목이 맣고 비교가능한 종목의 선택이 용이하여야 하고 3)상장기업에 대한 충분하고도 진실한 정보가 공시되어야 한다.
 
 
[증권]  삼선전환도 [ 삼선전환도 ]
삼선전환법은 주가흐름이 새로운 고가 또는 저가를 형성할 때만 챠트에 기록함으로써, 전환시점을 포착하는 투자기법으로 널리 활용되는 기법임 작성/분석방법 .하락선 (음선)이 계속되고 있는 추세에서 상승선 (양선)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하락선 3개에 해당되는 주가상승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며 (상승전환 또는 양전환,매입시점),상승선이 연속해서 나타나고 있을 때는 상승선 3개에 해당되는 주가하락이 있어야 가능 (하락전환 또는 음전환, 매도시점)
 
 
[증권]  산업연관표 [ 산업연관표 ]
일정기간 동안 국민경제내에서 발생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과 관련된 모든 거래내역 곧 그물과 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산업부문간의 상호연관관계를 행렬형식을 빌어 체계적으로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이다 산업연관표는1930년대초 레온티에프(W.W.Leontief)교수에 의하여 시작되어 경제구조분석은 물론 각종 경제정책의 파급효과측정이나 경제계획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증권]  산업별 주가지수 [ 산업별 주가지수 ]
종합주가지수가 여러 가지 주가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종합지수인 데 대하여, 산업별 주가지수는 산업별 주가 움직임을 단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산업별 주가지수는 산업별 주가동향의 파악은 물론 투자자의 산업별 투자결정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서 1)산업의 선정 및 분산범위의 결정 2)선정된 산업에서의 투자종목의 결정 3)선정된 종목의 적정주가수준의 결정등에 활용되는 지표이다.
 
 
[증권]  사채등급 [ 사채등급 ]
기업이 사채를 발행할 때 등급사정기관에 의하여 당해회사의 신용도에 대한 자격을 부여받는 것으로 사채의 발행조건은 이 등급에 의하여 차이가 생긴다. 등급사정기관으로는 미국에 무디사나 스탠다드 앤드 푸어사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신용평가사와 전국신용평가사,한국기업 평가사가 있다.
 
 
[증권]  사진장세 [ 사진장세 ]
증권시장의 가격형성에 자주성이 결핍되어 다른 시장의 움직임에 다라 변동하는 장세를 말한다 예를 들어 뉴욕시장의 주가움직임에 런던시장이 따라 움직인다든가 오사까시장이 동경시장의 주가움직임에 따라 변동하는 것 등이 사진장세의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증권]  사업연관분석 [ 사업연관분석 ]
산업연관표를 기초로 하여 국민경제의 움직임을 산업간의 생산기술적 연결구조로 포착 그 연관관계를 구명하는 실증적인 분석방법으로 레온티에프(W.W.Leontief)가 만들어낸 것으로 투입산출분석(input output analysis),다부문분석(multi-sectoral analysis)이라고도 한다 산업연관분석은 예를들면 1.중간 생산물거래에서 볼 수 있는 산업 간의 연결관계,2.부가가치와 생산요소와의 관계 3.부산업과 최종 수요와의 상호관계 등 산업연관모델을 작성하여 국민경제의 현황분석 예측분석,경제계획입안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증권]  사고증권 [ 사고증권 ]
사고 증권이란 도난.분실.오손등의 사고가 생긴 증권을 말한다 많이 발생하는 증권 사고의 유형에는,유사 혹은 위조 증권의 발생 도난.횡령.오손.분실.소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증권 사고에 대한 구제 수속이 복잡하므로 증권의 보관 에는 주의가 요구되며,사고에 대한 사전 방지가 중요하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전 방지책으로는 보호예수제도 를 이용하는 방법,채권의 경우 등록채로 하는 방법이 있으며, 발행자의 입장에서는 주권불소지제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주식이나 채권을 분실한 경우에는 법원에 공시최고를 제기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증권]  십(10)% PLAN 병용법 [ 십(10)% PLAN 병용법 ]
삼선전환법에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선전환도에서 주가가 상승할 때 상승정점에서 10%이상 하락하면 하락전환이 나타나지 않아도 매도하고 반대로 하락시 하락저점에서 10%이상 상승할 때 상승전환이 나타나지 않아도 매입하는 방법이다.
 
 
[증권]  심리지표 [ 심리지표 ]
12일간의 기간을 설정해서 최근12일동안의 전일대비 상승일수를 누계해서 백분비로 나타냄.투자심리지표는 주가의 불규칙적 변화에 따른 정규분포를 나타내는데 비정상적인 부분인 상승일수 3일이내(심리지수25%)는 매수시점이고 상승일수 9일(심리지수75%)이상은 매도시점
 

[증권]  실질이자율 [ 실질이자율 ]
인플레이션이 없을 때의 이자율을 말한다. 즉 실물자본에 대한 실물이자의 비율이다.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 자본의 소유자는 실질이자율에 예상인플레이션율을 더한 만큼의 이자율을 받고자 하는데 이 이자율을 명목이자율(nominal rate of in- terest)이라 한다.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예상인플레이션율
 
 
[증권]  실질실효환율 [ 실질실효환율 ]
교역국간의 물가변동을 반영한 실효환율로서 교역상대국과의 상대물가 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한다.즉,물가변동에 따른 실질구매력의 변동을 실효환율에 반영하기 위하여 명목실효환율을 교역상대국의 가중상대물 가지수로 나누면 실질실효환율(REER)이 산출된다.한편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비교시점의 명목실효환율지수를 구매력평가지수(purchasing power parity)로 나누어 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증권]  실권주 [ 실권주 ]
실권주란,회사가 유상증자를 행할 때 주주가 배정된 신주인수권을 포기하여 주금을 납입하지 않은 주식을 말한다 발행회사의 실적이 나쁘거나 무리한 증자로 인하여 시가가 발행가 보다 낮을때,또는 주주의 자금 부족으로 납입 자금의 조갈이 어려울 때에 실권주가 많이 발생한다.
 
 
[증권]  신호표시가설 (signaling hypothesis ) [ 신호표시가설 (signaling hypothesis ) ]
증권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이 모든 정보,특히 미공시정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증권시장이 모든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있다면,경영자가 전체 시장참여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재무정책결정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신호표시가설이다.이 가설을 재무론에 최초로 응용시킨 사람은 로스이며,최근 배당이론,자본구조이론등에서 신호균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증권]  신탁안정조정금 [ 신탁안정조정금 ]
투자신탁회사가 원본 및 이익의 보전 분배의 평준을 위하여 신탁 재산운용수익금이 일정기준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그 운용수익금 중 일부를 별도의 계정으로 적립하는 준비금을 말한다. 신탁안정조정금은 투자신탁의 수익률이 낮게 될 경우에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한 금리변동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시켜 수익자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그러나 이 제도는 투자신탁의 수익률이 타 금융상 품에 비해 그 우위성이 상실되어감에 따라 재무부에서 89년1월 1일부터 \"증권투자 신탁안정조정금적립 및 운용요강\"을 폐지함으 로써 유명무실화된 반면 새로이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준비금을 적립하는 \"유가증권투자손실준비금제도\"가 도입되었다.
 
 
[증권]  신탁보수 [ 신탁보수 ]
위탁자 및 수탁자에게 신탁업무수행의 대가로서 신탁재산에서 지불되 는 보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보수율이나 지급방법,시기 등은 신탁약 관에 따라 정해진다.신탁보수는 위탁자보수와 수탁자보수로 나누어지 며 그 배분은 양자의 협의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펀드에 따라서는 운용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실적보수제를 채용하고 있는 것도 있는데 이 제도는 일정한 연평균수익률을 기준 으로 하여 성공보수 내지는 패보티보수를 기준보수에 가감하는 제도이다.
 
 
[증권]  신주인수권부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사채발행 후 일정기간 내에 미리 약정된 가격(신주인수가격)으로 당해 발행회사에 일정한 수 또는 금액에 해당하는 신주의 교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하며 신주인수권의 분리유 통성 여부에 따라 분리형과 비분리형으로 나누어지고 신주인수권의 행사청구방법에 따라 현금납입형과 대용납입형으로 분리된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행사에 의한 주식매입으로 자본이득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낮은 표면이자율로 발행이 가능하다.동사채의 발행은 기업측면으로 볼 때 자금조달이 용이하고 투자자측면에서는 주가가 상승하면 시가이하로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외에도 발행회사 주식의 시세나 재무구조의 우량도에 따라서 사채의 발행금리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전환사채와 비교하 여 보면 전환사채의 경우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권자로서의 지위가 소멸되나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경우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도 사채자체 는 소멸되지 않는다.또 전환사채와는 달리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일체로 혹은 별개로 나누어서 발행할 수도 있다.
 

[증권]  신용창조 [ 신용창조 ]
총신용창조액=본원적 예금+ 1/지불준비율
 
 
[증권]  신용거래 종목 [ 신용거래 종목 ]
신용거래 종목이란 신용거래를 할 수 있는 종목으로서,거래소 시장 제1부 소속 종목 중 증관위가 별도로 지정한 종목을 말한다 그러나 신용거래 종목이 거래소의 특별 포스트 종목으로 지정되었을 때,거래소가 매매 호가 또는 수도전에 예납 조치를 취하였을 때, 종목의 소속부가 시장 제2부로 변경되었을 때 등에는 신규의 신용거래를 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증권]  신용거래 [ 신용거래 ]
신용거래는 유가증권 매매와 관련해서 증권회사가 고객에게 현금을 융자하거나 유가증권을 대여하는 것을 말한다. 고객에게서 매도. 매입의 위탁을 받을 증권회사는 일정률의 보증금을 받고 고객의 위탁분에 대한 결제시 매수대금 또는매도증권을 대여하여 결제해 준다. 신용거래는 신용 공여의 대상이 자금이냐 유가증권이냐에 따라 \"융자\" 와 \"대주\" 로 나뉘고 신용공여의 재원에따라 증권회사 가 고객예탁금 또는 자체 보유자금이나 유가증권으로 고객에게 빌려주는 \"자기신용\" 과 증권회사가 증권금융회사로 부터 대출받아 고객에게 빌려 주는 \"유통금융\" 으로 나뉜다 신용거래에는 공매매에 의한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 증권회사는 동일인이 매도한 당해 유가증권을 같은 날에 매수하는데필요한 신용거래 융자를 하지못하게 되어 있다. 또 융자 또는 대주를 상환하기 위하여 같은날 동일인이 동일종목에 대한 매도 및 매수의 방법으로 행하는 융자 및 대주를 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증권]  신뢰도지수 (Confidence index) [ 신뢰도지수 (Confidence index) ]
경제상황등의 여건이 변화할 경우 투자자들이 이에 대비하여 증권에 대한 투자선택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를 나타내고자 하는 지표로서 통상하급사채수익률에 대한 상급사채수익률의 비율로 표시된다. 신뢰도지수는 높은 평점의 사채의 수익률이 낮은 평점의 사채수익률 보다 작기 때문에 언제나 1이하가 된다.경기가 호전될 것이 예상 되면 낮은 평점의 사채의 위험이 적어져서 신뢰도지수는 올라가게 되며 이는 전문가들이 앞으로의 경기를 낙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다시말해 신뢰도지수가 높아지면 그만큼 시장의 호황이 예상되 는 것이다.
 
 
[증권]  시장분할이론 [ 시장분할이론 ]
채권수익률 기간구조이론에서 채권의 시장은 만기에 따라 다른 고객 으로 구성되어,서로 다른 특성의 하부시장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익 률의 기간구조는 만기에 따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시장에서 결정된 다는 이론이다.즉,채권시장의 투자자들은 채권만기에 따라 선호대상 이 다르기 때문에,채권의 만기수익률은 어느 일정만기의 범위에서는 그 만기를 선호하는 투자자 사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따라서 수익률의 구조는 이러한 중요한 투자자들의 투자결정과 깊은 함수관 계가 있어 수익률곡선이 만기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그려진다.이 이론은 \"아비트라지\"현상의 존재로 학계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증권]  시장 제2부 (2000년 5월 폐지) [ 시장 제2부 (2000년 5월 폐지) ]
증권거래소는 상장법인 관리의 호율화를 위해 소속부 제도를 채용 하여 주식 매매 입회장을 제1부와 제2부로 나누고 있다 여기에서 제1부 종목이 되려면 일정한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그 조건을 갖추지 못한 종목을 제2부 종목이라 하고,제2부 종목이 거래되는 시장을 제2부 시장이라 한다 제2부 종목은 신용거래 종목에서 제외된다.
 
 
[증권]  시장 제1부 (2000년 5월 폐지) [ 시장 제1부 (2000년 5월 폐지) ]
유가증권 상장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제1부 종목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한다 제1부 종목 지정 요건은 다음과 같다 1)소액주주의 소유주식수가 유동주식 수의 40%이상 2)소액주주 수가,자본금이 50억원 미만인 회사는 300명 이상,50억원 이상 150억원 미만의 회사는 400명 이상,150억원 이상인 회사는 500명이상3)대주주1인의소유 주식 수가 발행 주식 총 수의 51%이하4)최근 사업연도의 납입자본이익률이 5%이상5)최근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이상 이익배당6)최근2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 또는 한정 7)상장 기간이 6개월 이상 8)최근 사업연도중의 월평균거래량이 상장유동주식수의 0.3% 이상 이상의 요건을 갖추면 제1부로 지정되고 이에 미달되면 제2부로 소속부를 변경시키게 된다.다만 신규상장종목은 우선적으로 제2 부 에 상장되며,제1부 요건을 갖추게되면 제1부로 승격하게 된다 증권거래소의 소속부 지정 변경시행은 결산기를 포함한 월(달)의다음날부터 기산해 4월이 되는 첫날에 적용된다.연말 결산법인인 경우 4월1일이 변경일이 된다.
 

[증권]  시계열 삼선전환도 [ 시계열 삼선전환도 ]
주가추세 전환시점을 포착하는 투자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삼선전환도에 시간요소를 가미한 기법 작성방법.기본적인 방법은 삼선전환도와 동일하며, 시간요소를 가미하기 위해서,음전환 (양전환) 고려시 상승선(하락선) 3개 이상의 변화가 없는 주가변동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상승선 ( 하락선)의 폭(너비)을 해당일수 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삼선전환도상의 전환시점 포착과 상승 및 하락추세의 기간이 아울러 표시됨.
 
 
[증권]  시간 우선의원칙 [ 시간 우선의원칙 ]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를 성립시킬때, 같은 가격의 주문에 대해서는 시간적으로 먼저 주문한 것이 우선한다는 원칙이다. 다만, 시초가 의 거래에서는 동시호가가 되므로,이 원칙이 적용되지 못하고,같은 가격의 주문에 대해서만 매매주문 수량에 의해서 비례 배분된다.
 
 
[증권]  시가총액회전율 [ 시가총액회전율 ]
일정기간중 거래대금을 당해기간중 평균시가총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유통시장의 주요지표중의 하나이다. 즉,거래가 활발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활황기에는 회전율이 높아지고,반대로 침체기에는 회전율이 낮아진다.개별시장의 유통정도를 파악하는 데는 상장주식 회전율이 주로 이용되어지나 국제간의 시장유통정도를 비교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라마다 1주당 가격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장주식회전율보다는 시가총액회전율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 이다. 시가총액회전율 역시 상장주식회전율과 마찬가지로 월간과 연간의 두종류가 발표되고 모두 합하여 연도별시가총액회전율을 산출한다.
 
 
[증권]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
1923년부터 미국의 스탠다드 엔드 푸어사가작성하기 시작하였다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가중하여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시점의시가총액을 비교하는 지수. 장점으로는 상장주식수가 주가에 가중되므로 주가지수가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전 상장종목을 대상으로 작성하므로 전체적인 시황파악이 용이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가중치가 큰 대형주가 소폭으로 상승해도 시가총액이 크게 증가하므로 주가지수가 상승하게 된다.따라서 정확한 주식 시장 시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장1,2부지수,자본금 규모별지수 (소형,중형,대형),산업별 지수등을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증권]  시가총액 회전율 [ 시가총액 회전율 ]
일정기간 중의 거래대금을 당해기간 중의 평균시가총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상장주식회전율이 개별시장의 유통성정도를 측정하는데는 유용하지만 국제간의 시장유통성정도를 비교할 경우에는 나라마다 1주당 주가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장주식회전율보다는 시가총액회전율을 사용하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다. 시가총액회전율의 연간회전율은 월간회전율을 누적시켜 산출한다. 상장주식회전율과 시가총액회전율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주식시장의 객관적인 인기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데 시가총액회전율이 상장주식회 전율을 크게 상회하는 때에는 전반적으로 가격이 높은 수준의 주식 이 매매가 많았다는 것을 반대로 상장주식회전율이 시가총액회전율을 상회한 때에는 가격이 낮은 종목의 매매가 많았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거래소에서는 1963년부터 월간 및 연간상장주식회전율과 시가총액회 전율을 산출.발표하고 있다.
 
 
[증권]  시가총액 ( Market Capitalization ) [ 시가총액 ( Market Capitalization ) ]
시가총액은,각 상장 종목의 상장주식 수에그 때의 주가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러므로 시가총액은 주가의 변동과 함께 시시 각각 변한다. 물론 주가가 변하지 않더라고 상장주식수가 증자.CB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혹은 감자등에 의해서 변하면,시가총액도 변한다. 상장 주식 전체의 시가총액은 주식 형태를 취한 금융자산의 시가 평가액이 되는데,이것과 금융 자산 전체와의 비교,명목 GNP등 거시적 경제지표와의 비교도 흔히 하게된다 시가총액의 업종별 점유율도 주목된다. 주가가 기업의 장래성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데에서,이것은 성장산업,산업 구조의 장래상을 선취하고 있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개별 기업의 시가총액은 기업의 총가치를나타낸다.대차대조표에 나타난 기업 가치와는 별개의 것으로,기업의 인기도에의해서 양자의 괴리가 커지는 경우도 있다. 시가총액이 기업 가치를 밑돌게되면,TOB의 대상이 되기 쉽다.
 
 
[증권]  스페셜301조 [ 스페셜301조 ]
미국의88종합무역법(Omnibus Trade Act) 182조를 말하는 것으로 지적소유권분야에만 적용하는 통상법조항이다.종전의 통상법301조에 서 일반적인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재기준이 있으나 지적소유권분야 만 따로 떼어내301조와 같은 효력을 갖는 규정을 신설한 것이다.이 규정은 매년4월말까지USTR (미무역대표부)가 각국의 지적재산 권보호내용을 연례적으로 평가,보호수준이 미흡한 국가는 우선협상 대상국(PFC)우선관찰대상국(PWL)관찰대상국(WL)으로 지정토록 하고 있다. PFC로 지정되면 지적소유권보호를 위한 협상을6 9개월간 벌이게 되며 만일 협상이 결렬되면 상품이나 분야를 제한하지 않고 무차별 보복이 가능토록 돼있다. 이러한 형태가 종전의 통상법301조나 슈퍼301조와 같다고 해서 스페셜301조로 부른다. 미국은 현재 인도,대만,태국등3개국을 우선협상대상국,한국등9개 국은 우선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해놓고 있으며 올해도 재심사를 벌일 계획이다. 미업계는 최근 한국을PFC로 지정해야한다고 건의해놓고 있다.
 

[증권]  스왑거래 [ 스왑거래 ]
현물환거래 대 현물환거래,현물환거래 대 선물환거래,선물환거래 대 선물환거래와 같이 결제일과 거래방향을 달리하는 두개의 외환거래로 구성되는 외환거래를 뜻한다.이중 현물환거래(spot leg)와 선물환거래(forward leg)로 이루어지 는 스왑거래가 일반적인 형태로서 특별한 언급이 없이 단순히 스왑 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종류의 스왑을 지칭하는 것이 된다.스왑은 두개의 결제일을 갖는데,먼저 도래하는 결제일을near end 또는near date라 하며 뒤에 도래하는 결제일을far end또는fardate라 한다 스왑은 동일 당사자와 두 방향의 외환거래를 동시에 체결하는 것이 보통이나,때로는 한 상대방과 선물환(forward outright)계약을 체결 하고 또 하나의 다른 상대방과 현물환거래를 체결함으로써 스왑 포지션을 창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스왑거래는 자금조정의 필요성과 환조정의 필요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증권]  슈퍼301조 [ 슈퍼301조 ]
불공정무역관행국에 대한 보복조치와 절차를 규정했던 미국의 \"88종 합무역법\" 상의 한 조항이다. 미국은 대외무역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이법을 지난 88년 8월 입법,2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해오다 폐지했다. 미 무역상대국의 불공정한 관행에 대한 제재조치를 규정한 지난 74 년 통상법 301조의 내용을 크게 강화했다는 의미에서 슈퍼301조 라 불린다. 구체적 내용은 미 무역대표부(USTR)가 수입장벽을 두는 국가와 관행을 선정하여 그 장벽의 폐지를 요구하고 해당국이 3년이내 철폐에 응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보복조치를 발동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규정에 따라 USTR는 지난 89년 일본,인도,브라질을 우선 협상국으로 지정해 협상을 벌였으며 일본과는 협상이 완전타결된바 있다. 이 조항은 이미 폐지됐지만 미 민주당 일각에서 그동안 슈퍼 301 조의 부활을 요청해왔다. 특히 최근엔 슈퍼 301조를 앞으로 5년간 연장해 시행하는 내용의 부활법안이 미 의회에 상정돼 관계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증권]  순환매 [ 순환매 ]
어떤 종목에 주목할 만한 호재가 출현,투자자의 인기가 집중되어 주가가 상승하게 될 경우, 일반적으로 그 영향은 단순히 그 한 종목에서 그치지 않는다. 대개 그 종목과 연관성이 있는 종목도 투자자의 시선을 끌게 되어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최초의 투자로써 이득을 본 투자자가 다시 다음의 관심주를 찾아내어 재투자하고,이렇게 이루어진 몇몇 주식의 주가상승이 장세를 선도하여 전체 시장의 주가 수준을 높이는 형태를 말한다 이것을 매수 인기의 순환 또는 순환매라고하며,이때의 매수인기는 상당기간을 두고 순환하는 경향이 있다.
 
 
[증권]  순월확정일도 [ 순월확정일도 ]
선물환거래시 수도기일을 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현물환의 수도기일을 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현물환의 수도일로부터 가산하여 1개월째,2개월째라는 식으로 수개월째의 응답일을 수도로 하는 것을 말한다.
 
 
[증권]  수익증권 [ 수익증권 ]
수익증권이란,투자자가 투자신탁회사와의 신탁계약에 의하여 일정액의 재산 운용을 신탁한 경우, 신탁 원금과 그에 따르는 발생 수익을 받을 권리,즉 수익권을 표시한 증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익증권은, 경영 참가권은 없으나 실적에 의한 배당을 받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증권]  수익사채 [ 수익사채 ]
원금의 지급은 보장되지만 일정률의 이자지급이 보장되지 않고 기업 수익에 따라 변동하는 사채를 말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이자를 지급할 수 있을 때만 이자를 지급한다는 약속의 사채이다 따라서 사채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비누적 비참가형의 우선주와 같다 다만 이자의 지급은 기업회계상의 비용일뿐 이익의 배당은 아니므로 법인세를 부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채는 미국에서 회사정리시에 발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증권]  수익률지수 [ 수익률지수 ]
채권의 일반적 평가척도인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지수화한 것이다 이러한 수익률지수는 채권의 일반적 평가척도인 수익률을 지수화한 것이기 때문에 채권상호간의 수익률 정도를 비교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은 수익률이 같다고 하더라도 채권의 가격수준이 다르며 동일한 수익률의 변동폭에도 가격의 변동폭에는 큰차이가 발행하므로 단순한 채권의 수익률만으로는 채권의 투자수익을 산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수익률지수를 발표하는 주요기관으로는 바론(Barron)사,다우존스 (Dow Jones)사,무디(Moody)사,본드 바이어(Bond Buyer)사,일본 경제신문사 등이 있다.
 

[증권]  수익률 주 [ 수익률 주 ]
수익률을 채산척도로 하여 매매되는 주식을 말한다.주식의 투자수익 률은 일반적으로 배당수입에 의한 부분과 가격상승에 따른 차익에 의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큰 주식을 수익률주라고 하며,후자의 비중이 큰 주식을 성장주라고 한다. 대체적으로 공공사업주,철강주 등 기간산업주식이 수익률주로 인식 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순수한 수익률 채산만으로 매매되는 주식은 없다.
 
 
[증권]  수익률 [ 수익률 ]
수익률이란,연간 배당금 또는 이자를 증권의 매입 가격으로 나눈 수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이것은 투자자금이 연간 배당이나 이자로서 얼마의 이익을 올리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로,주식의 경우 연간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표면수익률과 증자 등을 감안한 투자 수익률이 있다 (\"투자수익률\",\"표면수익률\"참조)
 
 
[증권]  수량우선의 원칙 [ 수량우선의 원칙 ]
동시에 접수된 호가 및 접수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 즉,동시호가중 가격이 같은 호가에 대하여는 수량이 많은 주문이 적은 주문에 우선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수량배분원칙에 따라 호가수량이 많은 거래원부터 차례로 매매한다.
 
 
[증권]  수급관계 [ 수급관계 ]
수요가 많으면 주가는 상승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 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주가는 증자가 활발해지면 공급이 증가되기 때문에 하락하는 경향을 띠게 되고 시중의 자금사정이 풍부하여 증권시장에 유입되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총칭하여 말한다.
 
 
[증권]  쇼군본드 [ 쇼군본드 ]
일본의 채권시장에서 비거주자가 외화표시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하는 것으로1985년8월에 발행된 세계은행의 달러표시 채권발행을 계기 로 그발행이 증가하였다.
 
 
[증권]  손절매 [ 손절매 ]
손절매란 가지고 있는 주식의 현재 시세가 매입 가격보다 낮은 상태이고,향후 가격 상승의 희망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에, 손해를 감수하고 파는 것을 말한다.
 
 
[증권]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하여 그 회계기간에 속하는 모든 수익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비용을 기재하고 법인세 등을 차감하여 당기순손익을 표시하는 재무제표이다.
 

[증권]  세금교체 [ 세금교체 ]
채권투자에 관한 모든 세금관계를 감안하여 과세 후 수익률을 높이 도록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채권투자에 있어 세금관계 를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과세대상채권(taxable bond)과 비과세 채권(tax free bond;미국의 경우 주정부가 발행하는 대부분의 지방 채(municipal bond)는 이자소득세와 자본소득세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이자소득세와 자본소득세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채권수익률이라고 할 때 과세대상채권의 세전수익률을 말하는 것으로 비과세채권이 수익률을 과세대상채권의 그것과 비교하기 위 해서는 과세대상채권과 동일한 세율을 적용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세금조정수익률(tax equivalent return)로 조정하여야 한다.

 

 


[증권]  외국인 전용 수익증권 [ 외국인 전용 수익증권 ]
외환관리법상의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 설립한 투자신탁으로 국제투자신탁 수익증권판매의 초기단계에 취하는 형태이다.이는 ① 펀드의 설립이 비교적 간단하고,② 펀드의 운용이 국내인에 의해서 행해지며,③ 기존 투신사가 위탁회사가 되므로 증시교란요인이 적고,④ 외환유동이 비교적 안정적이며,⑤ 기존 투신사의 업무영역 확대 및 국제업무의 경험축적 등과 같은 장점이 있다.반면 ① 국제자본시장의 거래관습에 부적합하며,② 각국의 규제에 의하여 공모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또한 외국인 전용수익증권은 사모방식을 채택해야 하므로 판매규모가 적고 대외신인도 제고의 효과가 적다.
 
 
[증권]  예수금 [ 예수금 ]
증권회사가 위탁매매거래등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받는 고객예탁금 및 원천징수하여 일시 보유하는 기타 예수금을 말한다. 예수금에는 위탁자예수금, 청약자예수금, 저축자예수금, 조건부예수금 등의 고객예수금 및 기타예수금이 있다.
 
 
[증권]  원산지 표시제 [ 원산지 표시제 ]
수입상품의 생산국적을 명확히 하기위해 해당상품의 눈에 잘띄는 곳에 국적표시를 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함 수입물품의 국별쿼터관리검역 방역 수입지역제한등의 이유로 세계 각국은 원산지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우리나라는 1998년 7월부터 이제도를 도입함 원산지표시제도 시행을 위해서는 수입물품의 원산지를 판정하는 기준,즉 원산지규정이 먼저 설정되어야 함 우리나라는 국제관례및 교토협약의 기준에 따라 \"완전생산기준\"과 부가가치 가공공정 주요부품의 비율등을 기준으로 하는 \"실질적 변형기준\"을 원산지규정으로 활용하고 있음.
 
 
[증권]  운영리스 (operating lease) [ 운영리스 (operating lease) ]
서비스리스(service lease)라고도 하는데,이는 임차인이 임차자산을 필요한 기간만 이용하고 리스회사에 반환하는 비교적 단기간의 리스 이다.운용리스는 금융리스와는 달리 계약기간 만료 이전이라도 임차 인의 희망에 따라 언제라도 중도 해약할 수 있다. 임차인이 운용리스의 계약을 중도에 해약할 수 있다는 것은 임차인 이 운용리스를 이용함으로써 특정자산에 대한 기술적 진부화(techni- cal sbsolescence)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 서 운용리스의 대상자산은 컴퓨터,사무용 기계,의료기기,자동차, 항공기 등과 같이 진부화의 위험이 큰 자산이다.그러나 운용리스에 서도,금융리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리스대상 자산에 대한 수선 및 유지관리,사후관리(after service)에 대한 책임은 임대인이 부담한다.
 
 
[증권]  우선주 [ 우선주 ]
우선주는 배당 가능 이익이 발생했을 때나 잔여 재산이 분배될 때 보통주에 우선하여 소정의 배당이나 분배를 받을 수 있는 주식이다 우선주는 회사의 경영 참가에는 별 관심이 없고 배당 등 자산 소득에만 관심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회사의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발행된다 우선주에는,그 우선권의 내용에 따라 일정률의 우선 배당을 받고 또 잔여 이익에 대해서도 보통주와 같이 배당에 참가하는 참가적 우선주와 잔여 이익의 배당에 대해서는 참가할 수 없는 비참가적 우선주가 있다. 그리고 당해 연도의 배당이 이미 정해진 우선 배당률에 미치지 못했을때 그 부족액을 다음 연도 이후의 이익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누적적우전주와 그렇지 못한 비누적적우선주 등이 있다.
 
 
[증권]  요약재무상태변동표 [ 요약재무상태변동표 ]
재무상태 변동표의 기재항목을 개괄적으로 요약한 것으로 표시방법만 달리했을 뿐 실질적인 내용에는 변함이 없다.
 
 
[증권]  요약손익계산서 [ 요약손익계산서 ]
손익계산서의 기재항목을 개괄적으로 요약 표시한 것으로 실질적인 내용은 변경하지 않고 표시방법만 적당히 변경하여 약식화한 것이다 . 이는 경쟁자나 전문가에게 영업정책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 위해 작성한다.
 

[증권]  요약대차대조표 [ 요약대차대조표 ]
대차대조표의 기재항목을 개괄적으로 요약한 것으로 표작성에 대한 법적규제가 없는 경우 목적에 따라 표시형식을 변경한 것으로 실질적인 내용에는 변함이 없다.
 
 
[증권]  외환스왑 (Foreign exchang swap) [ 외환스왑 (Foreign exchang swap) ]
외환스왑거래는 환리스크의 회피와 금리재정거래 등을 위하여 거래방 향이 서로 반대되는 현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 또는 선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를 동시에 행하는 일종의 환포지션 커버거래를 말한다. 일반적인 스왑거래는 일정 외환을 현물환시장에서 매입(매도)하고, 동시에 선물환시장에서 매도(매입)하는 거래형태인데,이를 스팟 포워드 스왑(spot forward swap)이라고 한다. 이러한 스팟 포워드 스왑 중에서 선물환만기가 1 2일인 초단기 스왑거래를 특히 롤오버스왑(rollover swap)또는 원데이스왑(one day swap)이라고 하는데,이들 거래는 대개 자금결제일을 1 2일정도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스왑거래 중에는 현물환과 선물환 간의 동시 매매거래이외에도 일정 선물환을 매입(매도)하고 동시에 타선물환을 매도(매입)하는 일종의 선물환포지션 커버거래가 있는데 이를 포워드-포워드스왑(forward - forward swap)이라고 한다.
 
 
[증권]  외화가득률 [ 외화가득률 ]
특정기간 또는 특정품목의 수출금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 된 수입원재료 또는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외화가득액 이라고 한다. 즉 수출액을 A,수출상품생산에 사용된 수입원재료비 를 B라고 하면 외화가득액은 A - B가 된다. 따라서 외화가득률이 라 함은 외화가득액과 수출액과의 비율로서 다음과 같다.
 
 
[증권]  외상 매출금 회전율 (Accounts payable turnover) [ 외상 매출금 회전율 (Accounts payable turnover) ]
외상매출금회전율은 외상매출금이 현금으로 회수되는 속도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일정기간중 외상매출금이 몇번이나 현금으로 전환되는 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이 비율은 외상매출금의 회수속도를 측정함 으로써 지급능력의 양부상태를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산식은 다음과 같다. 이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며 확정된 일정한 지표비율은 없으나 동일업종의 평균비율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
 
 
[증권]  외국환 평형기금 (Exchange equalization fund) [ 외국환 평형기금 (Exchange equalization fund) ]
자국통화의 안정을 유지하고 투기적인 외화의 유출입에 따른 악영향 을 피하기 위하여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외환의 매매조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보유.운용되는 자금을 말한다. 오늘날 각국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는데 그 명칭은 미국에서는 외환 안정기금(Exchange stabilization fund),영국에서는 외환평형기금(Exch- ange equalization fund)이라고 부르며 우리나라는 외국환 평형기금 이라고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화기금계정과 외화기금계정으로 구분되어 한국은행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금의 운용은 외환의 매매와 이에따른 거래에 있어 재무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그 자금 또는 외환을 한국은행.외국환은행.외국금융기관에 예치 또는 대여하거나 이상의 기관들로부터 차입 또는 수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재무부장관은 외화매입을 위한 원화자금이 부족되는 경우 그 자금조 달책의 하나로 외국환 평형기금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증권]  외국인전용 수익증권 [ 외국인전용 수익증권 ]
외환관리법상의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 설립한 투자신탁을 말하는 것으로 국제투자신탁 수익증권판매의 초기단계에 취하는 형태 이다. 이는 1)펀드의 설립이 비교적 간단하고,2)펀드의 운용이 국내인 에 의해서 행해지며,3)기존 투신사가 위탁회사가 되므로 증시교란 요인이 적고,4)외환유동이 비교적 안정적이며,5)기존 투신사의 업무영역 확대 및 국제업무의 경험축적 등과 같은 장점이 있으나 반면 1)국제자본시장의 거래관습에 부적합하며,2)각국의 규제에 의하여 공모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따라서 외국인 전용수익증권의 경우 사모방식을 채택해야 하므로 판매규모가 적고 대외신인도 제고 의 효과가 작다.
 
 
[증권]  옵션거래 (option trading) [ 옵션거래 (option trading) ]
어떤 상품을 일정기간(유효기간)내에 일정한 가격(exercise price ;권리실행가격)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권리를 매매하는 거래로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장래에 있기 때문에 광의의 선물거래라 할 수 있다. 옵션의 매매가격을 프리미엄이라 하며,옵션거래 에는 권리행사시 현물의 매매가 수반되는 현물옵션거래와 권리행사가 선물계약의 체결을 의미하게 되는,즉 선물의 선물이라 할 수 있는 선물옵션거래가 있다. 1973년부터 이미 미국에서는 주식의 현물옵션거래가 실시되어 왔으 며,최근에는 통화,장기국채,주가지수 등의 현물옵션거래도 행해지고 있다. 한편 선물옵션거래는 1982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장기국채, 주가지수 등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캐나다,영국,네덜란 드 등에서도 현물옵션시장이 설치되어 있다.
 

[증권]  옴부즈만제도 (Ombudsman) [ 옴부즈만제도 (Ombudsman) ]
행정감찰관정부의 부당한 행정조치를 감시하고 조사하는 일종의 행정통제제도임 스웨덴을 비록한 북유럽에서 발전된 이 제도는 행정부가 강화되고 행정기능이 전문화되는 추세에 대해 행정부의 독주를 막고자 고안된 것임.옴부즈만은 입법부(의회)에 의해 임명되나 직무수행에 있어서 는 직접적 감독을 받지 않고 독립적 위치에서 시민이 제소하는 사 안에 대해 조사하고 처리함.그 대상엔 행정행위의 합법성뿐아니라 합목적성 여부도 해당됨 조사는 공식적인 절차나 방법을 취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성 신속성을 살림 그러나 옴부즈만은 법원과 달리 행정기관의 결정을 직접 취소하거나 무효로 만들수 없다는 점에서 그 권한이 제약되고 있음 이 제도는 1909년 스웨덴에서 입법화된 이래 노르웨이,핀란드 등 에 파급되었고 다른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음 한편 민자당은 최근 강력한 행정규제완화추진을 위해 기업옴부즈만 (기업고충심판관)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증권]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
은행의 자산에 대한 자기자본의 비율을 말한다.1987년에 제정된 국제결제은행(BIS)의 국제통일기준에서는 경영의 건전성 유지를 위 해 1992년말까지 8%로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는 금융의 자유화.국제화에 따라 금융기관이 부 담하는 금리변동리스크 및 환리스크가 증대되어 자기자본비율을 높일 필요성이 강해짐과 동시에 금융기관의 국제적 활동의 확대에 따라 국제적인 경쟁조건의 평준화가 요청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  은행간시장 (interbank market) [ 은행간시장 (interbank market) ]
금융기관 상호간에 단기적인 자금의 대차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구체적인 장소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장외시장(OTC)에서 거래가 이 루어지며 전화를 사용하여 거래되기 때문에 텔레폰 마켓(telephone market)이라고도 한다.
 
 
[증권]  은행간금리 (interbank rate) [ 은행간금리 (interbank rate) ]
국제금융 및 외환거래는 그 당사자를 기준으로 하여 대고객거래 및 은행간거래(interbank transaction)로 대별할 수 있는데 후자의 거 래시 적용되는 금리 혹은 환시세를 은행간 금리라고 한다. 본 지점간 거래시 적용되는 은행간 금리 및 대중앙은행 집중률 등 도 광의의 은행간금리에 포함된다.
 
 
[증권]  유보율 (reserve ration) [ 유보율 (reserve ration) ]
잉여금(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 눈 비율로서,기업의 설비확장 또는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위해서 어 느정도의 사내유보가 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이 비율이 높을수록 불황에 대한 기업의 적응력이 높다고 볼 수 있고,또한 무상증자의 가능성을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로 이용된다. 잉여금(=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 유보율= ------------------------------------ X 100(%) 납입자본금
 
 
[증권]  유로시장 [ 유로시장 ]
어떤 통화로 표시된 자금이 해당통화 발행국 이외의 국가에서 거래 되는 시장,즉 국내시장으로부터 독립된 '외부의'시장을 말한다. 1950년 소련등 동유럽국가들이 자신들의 달러예금을 미국측의 달러 동결을 피해 유럽의 은행들에게 예탁한 것이 그 기원이다. 특히 70년대의 오일쇼크에서 OPEC국가들이 '오일달러'를 유로뱅크 의 신디케이트론을 통해 무역수지 적자국으로 환류함으로써 현저한 발전을 이루었다.당초에는 은행의 달러예금을 중심으로한 \"유로커런시시장\"또는 \"유로달러시장\"으로서의 성격이 농후하였으나 80년대 들어 증권화가 진전되면서 \"유로본드시장\"의 비중이 증대되어 서독 마르크,일본 엔 등으로 거래통화도 다양화되었다. 국내의 규제에 얽매이는 경우가 적은 자유로운 시장으로 시장원리도 작용하기 쉽다. 국내시장으로부터 이전(shift)된 자금의 수용처로서 금융이노베이션 의 진전에 공헌했으며 각국 시장의 폐쇄성,비효율성을 곤란하게 하여 각국의 금융자유화와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을 추진 하였다.
 
 
[증권]  유럽투자은행 (EIB) [ 유럽투자은행 (EIB) ]
유럽경제공동체(EEC)조약에 따라1957년에 설립되어 58년1월1일 부터 업무를 개시한 중장기 금융기관 EC내부의 저개발지역의 개발,발전을 원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맹 국의 정부.공기업,사기업에 대해 대출을 하고 있다. 지금은 주로 가맹국의 출자와 국제자본시장에서의 채권발행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증권]  유럽통화제도 (European Monetary System) [ 유럽통화제도 (European Monetary System) ]
EC가맹국 통화간의 환율안정과 역내경제통합을 목적으로 1979년3/13 일 종전의 유럽공동변동환율제도(Joint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를 확대,개편함으로써 새로이 발족된 지역통화협력기구이다. EMS의 기본목적은 미달러화 등 역회통화의 가치변동으로부터 역내 참가국의 통화를 보호하고 가맹국간 환율의 경쟁력 평가절하와 자국 이익위주의 경제정책운용을 지양함으로써 역내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고 EC내의 통화를 단일화하여 궁국적으로는 경제적 통합을 실현하는데 있다.즉 EMS는 가맹국간의 경쟁적 평가절하를 지양하고 강세통화국과 약세통화국간의 환율안정과 가맹국간의 균형적 성장을 스페인,포르투갈)은 준회원국가로 참가하고 있다.준회원국인 영국은 파운드화가 유가변동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석유통화(petro-curren cy)라는 약점과 포트폴리오대상통화로서 마르크화에 비해 선호도가 약하다는 점등을 이유로 환율안정을 위한 외환시장개입제도에는 가입 하지 않고 다만 ECU창출 및 동 바스켓에는 참여하고 있다.1984 년이후 EC에 가입한 그리스도 1984년이후 ECU창출 및 동 ECU 바스켓에만 참여하고 있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ECU창출에만 관여 하고 있다.
 
 
[증권]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liquidity premium theory) [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liquidity premium theory) ]
단기적인 채권은 장기적인 채권에 비하여 투자원금에 대하여 손해볼 위험이 적기 때문에 이성적인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채권에는 프리미 엄을 지불하게 되므로,단기채권의 수익률은 장기채권의 수익률보다 낮다는 것이 유동성 프리미엄이론이다.기대이론에서는 모든 투자자들 의 미래의 이자율을 확실하게 예측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그러나 미래의 예측을 정확히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실제 불확실한 세계에서는 단기적인 채권이 쉽게 손해없이 현금화될 수 있다는 유 동성(liquidity)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인 것보다 훨씬 높이 평가 받는 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장이 정상적이고 외부의 특별한 강압적인 간섭이 없는한 수익률곡선은 만기에 따라 수익률이 상승하는 것이 정상적이며,이와 다른 양상 등은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한 것이지 균형상태는 아니라 는 것이다.이 이론은 기대이론을 비판한 결과로 나온 산물이지만, 기대이론과 커다랗게 차이가 있다고는 할 수 없다.유동성 프리미엄 이론은 기대이론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기대이론에 따른 이자율예측의 평균적인 것이 채권의 수익 률이라기보다는 \"예상이자율+유동성 프리미엄\"의 평균개념이 수익 유동성 프리미엄이론 률곡선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증권]  유동비율 (current ratio) [ 유동비율 (current ratio) ]
유동자산 유동비율 = ---------- X 100 (%) 유동부채
 
 
[증권]  유가증권신고서 [ 유가증권신고서 ]
회사기 유가증권을 발행하기 전에 회사의 개황.사업내용.재무 내용,그리고 당해 유가증권의 종류.발행액.자금사용 목적.기타사항 등을 기록하여 증권관리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말한다. 이러한 제도를 시행하는 이유는 투자자를 보호하고 유가증권의 발행.유통 과정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증권]  위험조정할인율 [ 위험조정할인율 ]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의 투자의사결정시 미래의 현금흐름을 할인 하기 위한 할인율을 조정하는 방법과 현금흐름 자체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전자를 선택하는 경우 이용하게 되는 할인율이 위험조정할인율이다. 기업의 위험이 큰 투자안을 선택하고자할 때 위험에 대한 보상으로 그투자안에 대하여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게 되므로 위험조정할인율을 측정할 때에는 주관적 요소가 개입될 가능성이 높아 적절한 위험 조정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을 이용하 는 수가 많다.
 
 
[증권]  위탁증거금 [ 위탁증거금 ]
증권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유가증권의 매매 거래 위탁을 받을 경우 위탁 매매 계약과 관련하여 그 고객에게서 징수하는 현금 또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위탁증거금의 기능엔,유가증권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위험 부담에 따른 채권 확보를 위한 담보의 기능과 위탁증가금률을 인상 또는 인하함으로써 할 수 있는 시장 수급 조절기능이 있다 증권회사는 매매 거래를 위탁받았을 때,당일결제거래일 경우 수탁시에 고객으로부터 매수 대금 또는 당해 매도 증권을,보통거래 의 경우 수탁시에 매수이면 현금을,매도이면 당해 유가증권 또는 현금을 위탁증거금으로 징수한다 이 중에서 보통거래의 경우 위탁증거금은 위탁가액의 최저30%이상 으로 되어 있는데,증권거래소는 시장의 조절을 위하여 그 율을 변경할 수 있다.
 
 
[증권]  위탁매매 우선의 원칙 [ 위탁매매 우선의 원칙 ]
거래소 입회장에서 체결되는 매매의 순서를 정하는 원칙 중의 하나로,수량 우선의 원칙 다음으로 적용되는데,이것은 고객의 호가가 증권회사의 자기 매매 호가보다 우선한다는 원칙이다.
 

[증권]  위약손해배상공동기금 [ 위약손해배상공동기금 ]
거래소회원으로 등록된 증권회사가 유가증권시장에서의 매매거래위약으 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를 보상하기 위하여 유가증권시장에서의 매매거래마다 그 거래대금의 10만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거래 소에 적립하는 공동기금을 말한다.배상기금의 적립한도는 전년도의 유가증권시장에서의 회원별 유가증권거래실적의 300분의2에 해당하 는 금액과 전년도까지 적립된 총배상기금을 회원수로 나눈 금액 중 많은 금액으로 하며 이때 회원별 배상기금의 적립금액이 한도에 달 하게 된 때에는 배상기금을 적립하지 아니한다.다만 배상기금의 사용으로 인하여 그 한도에 미달하게 된 때에는 다시 적립하여야 한다. 거래소회원은 공동기금의 범위 안에서 회원의 매매거래위약으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하여 연대책임을 진다.
 
 
[증권]  원재료회전율 [ 원재료회전율 ]
원재료회전율은 원재료의 회전속도,즉 원재료의 이용도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일정기간 중 제품자산을 위하여 원재료비로서 몇 번 소비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따라서 이 비율은 원재료의 이용 도를 측정함으로써 수익성의 양부를 판단하려는 지표이며 제품회전율 로서 이용된다. 원재료회전율은 원재료의 회전속도,즉 이용도를 표시하므로 이 비율 이 높을수록 이용도는 향상되고 기업의 수익성은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다.그러므로,이 비율은 확정된 일정한 표준비율은 없으며 동일업종의 평균비율 등과 비교 판단하는 것이 좋다.
 
 
[증권]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제표 ]
2개이상의 회사가 지배.종속관계에 있는 경우 이들 복수기업집단 을 단일 조직체로 간주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를 말하는 것으로 연결손익계산서와 연결대차대조표 등으로 구성된다.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목적은 기업집단을 구성하는 회사의 재무제표를 결합하여 개별회사의 재무제표만으로는 표시할 수 없는 기업집단전체의 경영성 적과 재정상태를 적절히 표시하자는 데 있다.연결재주제표의 결산일 은 지배회사의 결산일에 따르고 회계기간은 1년으로 한다.따라서 지배회사의 결산일과 종속회사의 결산일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종속회사의 결산일을 지배회사의 그것과 일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증권]  역외자금 (offshore fund) [ 역외자금 (offshore fund) ]
본국의 세제,또는 운용상의 제반규제를 피하기 위하여 조세,금융행 정면에서의 특전을 향유할 수 있는 타국에 등기상의 본거지를 두고 국제적으로 판매하는 투자신탁을 말하며 최근에는 세율이 높은 국가 의 거주자가 투자목적을 위하여 세율이 낮은 조세피난지(tax haven) 에서 운용하는 자금을 총칭한다.이러한 자금은 사유재산에 대한 정치적 간섭이나 조세압력을 피하기 위한 재산도피 또는 세율이 낮은 조세피난지로의 기업이동 등의 요인에 의해서 발생되며 이자금 은 자본의 무국적화 또는 다국적화현상의 전형적인 것이다.
 
 
[증권]  역시계곡선 [ 역시계곡선 ]
주가와 거래량을 각각 Y축과 X축에 나타내고,주가와 거래량의 30일 이동평균에 의한 매일매일의 교차점을 선으로 연결한 도표 주가와 거래량의 일반적인 상관관계를 보면 첫째,주가가 올라가면 거래량이 늘고,떨어지면 거래량도 함께 줄어든다. 둘째,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증권]  어음대출 [ 어음대출 ]
은행융자의 한 방법으로 은행이 차용인에게 차용증서 대신 은행을 수취인으로 하는 약속어음을 발행케 하고 그 지급기일까지의 이자를 어음금액에서 차감하여 대출 하는 것을 말한다. 어음대출은 형식상으로 볼 때 어음할인과 유사하지만 실제로는 상당 히 다르다.즉,어음할인은 상품유통에 의해 이미 발행된 어음을 은행에 지급기일까지의 이자를 공제하고 매입하는 것이며 어음지급인 과 할인의뢰자는 동일인이 아닌 반면에 어음대출은 차용인이 새로 어음을 작성하여 어음상의 채무자가 되며 어음지급인과 할인의뢰자는 동일인이다.이밖에도 어음할인의 경우는 상업어음이지만 어음대출의 경우는 상품거래가 없는 융통어음이다.
 
 
[증권]  양적분석 [ 양적분석 ]
양적분석이란 재무제표상에 나타나는 매출액.자본금.부채등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장래의 기업의 수익성이나 안정성을 판단하려는 기법이다. 이에 대하여 제무제표상에 직접 나타나지 않는 회사의 장래성.경영자의 능력.업계의 경기 동향 등을 분석하는 것을 질적분석이라고 한다.
 


[증권]  양건예금 [ 양건예금 ]
이는 원래 미국의 상업은행들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어음교환업무,신용정보제공,현금수납 대행업무 등-에 대하여 수수 료를 요구하는 대신 일정금액의 요구불예금을 예입하게 한 데서 연유한 것으로 은행의 서비스제공에 따른 비용을 보상받기 위한 예금인 것이다.그러나 상업은행이 대출제공시에 대출액의 일정률 (보통15 - 20%)을 요구불예금으로 예입할 것을 조건화하는 것이 관행으로 되고 있다. 양건예금은 차입자측에서 보면 예치이자 없이 자금을 은행에 예치, 실질차입액을 줄이게 됨으로써 실질차입코스트를 인상시키게 된다.
 
 
[증권]  오프쇼어 마켓 (offshore market) [ 오프쇼어 마켓 (offshore market) ]
비거주자끼리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활동에 대해 조세상,외환관리상 의 특전이 부여되는 금융시장으로 국내금융시장의 중심이 발달하여 국제적 금융시장이 된 것(뉴욕,런던 등)과는 달리 그 나라의 정부가 의식적으로 육성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프쇼어마켓으로는 동경,바하마,케이만군도,싱가포르,홍콩,파나마 등이 있다.
 
 
[증권]  오일시드 [ 오일시드 ]
오일시드(Oil Seed)란 콩면화씨 해바라기씨등 기름을 짤수 있는 농산물을 말한다 오일시드수출을 둘러싸고 최근 미국과EC(유럽공동체)간에 첨예한 통상마찰이 일고 있어UR(우루과이라운드)협상 무산가능성등 국제 교역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분쟁은 올봄에 미국이 EC의 오일시드수출보조금지급행위를 비난 하면서 표면화됐다 EC가 그동안 오일시드생산농가에 수출보조금을 지급,미국에 수출함 으로써 미관련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는게 미국측 주장이다 미국은 오일시드수출보조금중단,전반적인 농업보조금정책수정,미농산물 수입에 대한 무역장벽제거등을EC에 요구하며 협상을 벌여왔다 그러나 지난3일 협상이 결렬되자 미국은 내달5일부터 모두3억 달러에 달하는EC산 백포도주및 다른 농산물에 대해200%의 보복관 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UR협상타결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지고 미.EC간의 전면적 인 무역전쟁발발 위험성마저 높아져 주변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증권]  오십퍼센트 원칙 [ 오십퍼센트 원칙 ]
상승하던 주가가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이전 상승폭의 50%이상을 하락하면 시장은 완전한 하락세로 접어들어 이전 저점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며 반대로 하락하던 주가가 그 하락폭의 50%이상 반등 하게 되면 주가는 완전히 상승세로 접어들어 이전 고점수준 이상으 로 상승한다는 것을 말한다.
 
 
[증권]  오십(50)%지지선 [ 오십(50)%지지선 ]
상승하던 주가가 반락,직전 상승 폭의50%수준까지 내린 다음 더이상 하락하지 못하는 수준을 말한다. 이것은 주로 고가권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가격 상승 폭의 3분의1정도까지 하락하고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수준을3분의1지지선이라고 한다.
 
 
[증권]  예금코스트 (Cost of deposit) [ 예금코스트 (Cost of deposit) ]
예금원가라고도 하며 예금이자,인건비,선전비 등 은행경영에 필요한 경비가 은행예금액에 대해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예금액은 이들 비용을 지출한 기간중의 평균잔고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며 예금코스 트는 일변 또는 연리로 표시함.
 
 
[증권]  영업레버리지 (operating leverage) [ 영업레버리지 (operating leverage) ]
영업레버리지란 기업이 영업비 중에서 고정영업비를 부담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이 생산.판매시 변동시 대신 고정비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레버리지를 갖는다고 한다. 영업레버리지가 높은 경우 매출량이 변할 때 영업이익은 매출량이 변하는 비율보다 높은 비율로 변하게 되는데,이를 영업레버리지효과 라고 한다. 다시말해서 영업레버리지효과는 매출량의 변화가 영업이 익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며,이러한 매출량과 영업이익의 관계는 고정비의 크기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영업레버리지의 척도로서 영업레버리지도(degree of operating leverage ; DOL)가 있는데 DOL이 높다는 것은 매출량이 손익분기점으로부터 커지면 커질수록 고정비부담이 그만큼 작아져,영업이익이 많아지게 됨을 의미한다.
 

[증권]  연속상환채권 [ 연속상환채권 ]
채권을 만기가 다른 여러 조로 나누어 발행한 다음,각 채권의 만기가 도래할 때마다 해당 채권을 중도상황해 나가는 방법으로서 일종의 할부상환방식의 채권을 의미한다.이것은 차환(refunding)의 의도가 없을 때 발행되는 방식이며 발행자에게는 감채기금과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연속상환채권의 발행은 시장조건을 감안하여 쿠폰이율을 동일하게 하는 대신 발행가격을 다르게 하거나 반대로 발행가격을 동일하게 하고 쿠폰이율을 다르게하여 조정함으로써 만기별 발행가격에 신축성 을 부여하여 채권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증권]  연방준비제도이사회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에 있어서 12개의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을 연결하고 통괄하는 중앙기관 으로,종래의 연방준비국(Federal Reserve Board)을 1935년에 변경 한 기구이다. 구성원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이 승인하는 7인의 이사이다. 동 이사회의 권한으로는 지급준비율의 변경,주식거래에 있어서의 신용규제,가맹은행의 정기성예금 금리의 규제,연방준비은행의 재할인 율결정에 대한 인가 등이 있다.
 
 
[증권]  연방준비은행 (Federal Reserve Bank) [ 연방준비은행 (Federal Reserve Bank) ]
복수중앙은행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미국의 중앙은행을 말하는 것으로 1836년에 제2미합중국은행이 해산된 이래 77년만인 1914년에 설립되었다. 미국의 중앙은행제도는 전국을 12개의 연방준비구(Federal Reserve districts)로 나누어 각 구역마다 하나의 연방준비은행을 설립하여 그곳의 중앙은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12개 연방준비은행을 연결하고 또 통괄함으로써 연방 준비제도를 보다 원활히 운용하기 위하여 워싱턴에 연방준비제도이사 회(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를 두고 있다. 연방은행의 자본금은 각 지구의 국법은행과 주법은행이 출자하고 이들 출자은행을 가맹은행(member bank)이라 한다.가맹은행은 연방 준비제도 당국의 검사와 감독을 받고 법정지불준비금을 유지해야 하는 반면 연방은행에서 자금을 차입하거나 그밖에 연방준비제도가 제공하는 여러 편리를 누릴 수 있다. 연방준비은행의 업무를 보면,동행은 지역적인 중앙은행이므로 원칙적 으로 가맹은행과 연방준비은행 그리고 정부와만 거래하고 공개시장조 연방준비은행 작을 제외하고는 일반공중과 거래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증권]  정크 본드(junk bond) [ 정크 본드(junk bond) ]
넓은 의미로는 미국 통화당국의 자산운용준칙에 의해 연방은행 및 주법(州法)은행이 보유할 수 없는 투자비적격사채를 말하나 협의로는 발행자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은 고위험, 고수익채권을 말한다.정크본드에는 최초 발행 당시부터 투자비적격사채인 2종류가 있다.1977년 최초로 발행된 이래 MA 의 자금조달수단으로 이용되면서 1980년대 중반 급속히 성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 정크본드에 과도하게 투자했던 드렉셀사의 도산을 계기로 정크본드 발행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및 정크본드 시장에서의 유동성 위험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소 침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증권]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 [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 ]
기업의 경영성적과 재정상태를 이해관계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성하는 여러가지 서류를 말한다. 재무제표는 경영자의 판단자료일 뿐만 아니라 주주, 채권자, 거래처, 종업원, 감독관청 등의 여러 이해관계자가 기업의 재정실태를 파악하고 판단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와 현금흐름표를 재무제표의 범위로 정하고 있다.
 
 
[증권]  주가수익비율(price-earning ratio ; PER) [ 주가수익비율(price-earning ratio ; PER) ]
주가를 1주당 이익액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획득한 이익 한 단위에 대해 투자자들이 지불하고 있는 대가를 나타내는 거으로 이익승수라고도 한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은 주가를 p, 1주당 1익을 E 주가수익비율는 PER이라고 할 때, PER = p / E로 산출된다.p 로는 어떤 한 시점의 주가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E 로는 직전 결산기 또는 당기에 예상되는 세후순이익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경상이익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비율이 낮을 수록 주가는 이익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가수익비율은 개별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것만이 아니라 업종별 또는 시장 전체의 주가수준을 재는 척도로서도 이용된다.
 
 
[증권]  재무상태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financial position ) [ 재무상태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financial position ) ]
표시한 재무제표이다.대차대조표는 일정시점에서의 기업의 자원과 이에대한 채권자 및 소유주의 청구권을 대조표시한 정태적 보고서~이고,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동안 기업에 있어서 순자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동태적 보고서인데 비하여 재무상태변동표는 일정기간 동~안에 발생한 기업의 자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태적 보고서이다 손익계산서가 제공하는 당기순이익정보는 자금의 흐름을 명확히 나타 내지 못하는데 비하여 재무상태변동표는 기업의 영업,재무,투자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금의 흐름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해 줌으로써 손익계산서의 보조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기업의 자산,부채 및 자본의 변동을 가져오는 자금현금거~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대차대조표의 보조기능도 아울러 수행한다.
 
 
[증권]  재무구조개선적립금 (reserve for finance structure improvement ) [ 재무구조개선적립금 (reserve for finance structure improvement ) ]
의 하여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할 목적으로 적립하는 것이다.적립액은 고정자산처분이익이 고정자산처분손실과 해당법인세 등의 합~계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액의 30/100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거액의 고정자산처분이익에 대해 이익배당으로 사외유출하기보다는 재무구조의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그 적립금은 다른 법정준비금과 마찬가지로 결손보전과 자본전입에 사용되는 이~외에,1년만기의 정기예금이자율 수준까지의 이익배당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이익배당재원이 부족한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증권]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
해 청구권을 가지는 자산을 말하며 주로 주식,회사채 등의 유가증권을 가리킨다.균형상태(equilibrium condition)라는 것은 거래되~는 모든 자본자산이 자본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도록 가격이 형성된 상태를 말한다.그러므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은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선택이론대로 투자자들이 투자활동을 하여 시장전체가 균형상태에 있을 때,주식을 비롯한 자본자산의 균형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설명하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증권]  자본시장육성법 (Law on Fostering the Capital Market) [ 자본시장육성법 (Law on Fostering the Capital Market) ]
전한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1968년 11/22일에 제정된 것으로 동법은 제정 이후 4차에 걸쳐 개정을 하였는데 특히 1987년 11/28 일의 4차 개정시에는 기업공개촉진법이 흡수통합하여 그 내용이 대폭 개정되었으며 증권거래법과 더불어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2대 기본법~이 되고 있다.
 

[증권]  종합주가지수를 움직이는 해외지수들 [ 종합주가지수를 움직이는 해외지수들 ]
◆ 다우존스 평균주가(Dow Jones Average)미국 증권시장의 동향 및 시세를 알려주는 뉴욕증시의 대표적인 주가지수. 지난 1898년 월스트리트지 창간자 찰스 다우와 출판인 에드워드 존스에 의해서 처음 도입했으며, 미 경제와 부침을 같이 해온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간주된다. 뉴욕 월가에는 뉴욕증권거래소, SP 500 등 여러 개의 증권시장이 있고 저마다 거래지수를 갖고 있지만 공신력 면에서 다우존스 공업지수가 단연 으뜸으로 꼽힌다. 하지만 1만 6,000여 개 종목 중 단지 30개 종목만을 평가하고 있어 시장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다우존스사는 매일 공업주 30종, 철도주 20종, 공공주 15종 등 모두 4종류의 주가 평균을 발표한다. ◆ 나스닥 (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Automated Quotation)벤처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미국의 장외주식시장.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벤처기업들이 저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거래량을 기준으로 할때 뉴욕증권거래소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주식시장이다. 1971년 2월 8일 전미증권업협회(NASD)가 설립한 세계최초의 전자결제 주식시장으로 모든 시세결정과정이 컴퓨터에 자동으로 처리된다.나스닥은 미국은 물론 전세계 첨단기술 산업체들의 활동기반이 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애플, 오라클, 야후 등 미국 유수기업 외에 두루넷과 같은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일부 나스닥 시장에 등록되어 있다. 나스닥을 본떠 일본은 자스닥 시장을, 한국은 코스닥 시장을 운영중이다. ◆ S (Standard 500 Index)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Standard & Poor)사가 기업규모·유동성·산업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종목을 대상으로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로 1957년에 도입돼 다우지수와 쌍벽을 이루고 있다. 공업주(400종목)·운수주(20종목)·공공주(40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있으며, 이를 종합한 것이 S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전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동향 파악이 다우식보다 용이하고 시장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고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추이와 지수 움직임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 Semiconductor Sector Index)미국 동부의 필라델피아 증권거래소가 지난 93년 12월부터 산정, 발표해온 ‘반도체업종 지수’(SOX : Semiconductor Sector Index). 이 지수는 16개의 대표적인 반도체 관련주를 포함하고 있어 반도체주의 가격동향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미국 증시의 반도체 주가가 떨어지면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관련주들을 매도함으로써 주가를 떨어뜨린다. 특히 인텔, 텍사스인 스트루먼트(TI),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모토로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5개사가 필라델피아 지수 시가총액의 82%를 차지하면서 전체지수 등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닛케이 평균지수(Nikkei Stock Averages) 일본경제(약칭 ‘닛케이’)신문사가 도쿄증권거래소 1부시장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225개 종목의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일본증권시장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로 기준시점은 1949년 5월 16일, 기준주가 평균 50엔이다.니케이 지수 주식들의 시가 총액이 도쿄증권 1부에서 점유하는 비중은 약 60%에 달한다. 이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은 1956년 9월에 싱가포르 국제금융선물 거래소(SIMEX)에 상장됐으며, 2년 후에는 오사카 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되어 미국의 ‘SP 500지수’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주가지수선물로 부상했다. ◆ 항셍지수(Hang Seng Index)홍콩 주식시장의 전반적 주가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 주가지수. 홍콩 최대의 은행인 홍콩 상하이 은행의 자회사인 항셍은행(Hang Seng Bank)이 산출하며 지수산출방식은 시가총액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 전체 거래량의 80%이상을 차지하는 33개 종목을 채용하고 있으며 1964년 7월 31일 시가총액을 100으로 하고 있다.
 
 
[증권]  종합주가지수 [ 종합주가지수 ]
종합주가지수(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장가격을 토대로 작성되는 증권시장 지표중 전반적인 주식의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는 1962년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주가의 움직임에 대한 종합적이고 연속적인 가격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증권거래소가 1964년 1/4일을 기준시점으로 '다우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평균지수를 산출.발표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증권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1972년 1/4일부터는 다음과 같다.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주가지수= ---------------------- X 100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여기서 시가총액이란 상장된 주식을 모두 현재의 시장가격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총체적 가치를 의미한다.따라서 종합주가지수는 증권시장에 상장된 상장기업의 가치가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볼 때 얼마나 변동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신규상장이나 유상증자로 인하여 시가총액이 증가할 때는 기준시가총액도 증가하며,반대로 상장폐지와 같이 시가총액이 감소할 때는 기준시가총액도 비례해서 줄어든다.따라서 기준시가총액은 고정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변동요인이 있을 때마다 수정되므로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그러나 무상증자나 주식배당 및 감자 등의 경우에는 주가는 하락 또는 상승하지만 가중치인 상장주식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시가 총액은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기준시가총액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비교시가총액은 상장주식수가 변하므로 이를 수정하여 준다.
 
 
[증권]  주권상장 폐지기준 [ 주권상장 폐지기준 ]
주권 발행회사의 경영에 중대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 등 거래소 시장에서 매매거래대상으서로서의 적격성이 결여되었을 때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해당주권을 상장폐지시키게 되는 이때 적용되는 기준을 말한다.주권상장 폐지기준은 1)상장법인의 사업보고서상 최근 2사업년도 말 현재 계속하여 소액주주의 지주비율이 유동주식수의 100분의 10에 미달할 때2)회사정리절차 개시3)해 산4)영업활동의 정지5)부도발생 및 은행과의 거래정지6)자본잠식전액이 3년간 계속된 때7)감사의견이 부적정이거나 의견거절이 3년간 계속된 때 8)기타 공익 또는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등이다 주당 순자산가치 만약 회사가 여러사유로 청산하게 된다면 회사자산을 현금화하여 채권자와 주주에게 반환하게 된다.이때 분배금액은 채권자,우선주 주주,보통주 주주 순서로 배분된다.이처럼 회사가 청산되어 회사의 재산을 1주당 얼마씩 분배하느냐 하는 것이 주당 장부가치 또는 주당 순자산가치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우선주는 대개 비참가적,비누가적,무기한부 우선주 로 그 성격이 보통주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주당 순자산가치를 계산할 때 우선주와 보통주를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계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산총계+부채총계-무형고정자산-이연자산+이연부채-배당금주당 순자산 가치 = -------------------------------------------------------------- 발 행 주 식 총 수
 
 
[증권]  주거래은행 [ 주거래은행 ]
금융기관으로부터 거액을 대출받은 기업체로서 여신관리대상으로 정한 계열기업군 또는 기업체의 거래은행중 주된 거래은행이며 종합적인 여신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은행을 말한다.주거래은행은 여신관리 대상기업군 및 기업체에 대하여 종합적인 자금수급계획협의,부동산 및 기업투자의 제한,결산협의,기업경영분석,재무구조개선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대상기업군 및 기업체에 대한 여신의 억제및 재무구조의 개선을 지도한다 주권상장 심사기준 주권을 발행한 회사로부터 상장신청이 있었을 경우에 증권거래소가 상장적격 여부를 심사하기 위하여 제정된 기준을 말한다 주권상장 심시기준은 상장이 명령된 주권이외의 모든 주권에 적용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설립후 3년이상 경과하며 계속적인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있을것 2)신규상장신청인의 자본금이 5억원이상이고 발행주식수가5만주이상 3)상장신청일전6월이내에 주권을 모집 또는 매출한 실적이 있고, 그 주식총수가 총발행주식수의 30%이상일 것 4)재무내용 부채비율이 500%미만이거나 상장법인의 동업종 평균부채비율의 1.5배 미만일 것(금융업,보헙업 및 리스업은 예외)최근 3사업년도중 2사업년도의 납입자본이익률이 은행1년 만기정기예금금리 이상일 것 등 자본잠식이 없을 것 자산가치가 액면가액의50%를 초과하고 수익가치가 액면가액을 초과할 것 5)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의견 (한정의견)일 것6)명의개선대행기관과 명의개서대행계약을 체결하고 있을것 (금융기관,7)통일규격 주권일 것 정부출자기관제외)
 
 
[증권]  주가평균 (stock price average ) [ 주가평균 (stock price average ) ]
주식시황 전체의 움직임이나 가격수준을 알기 위해 이용되는 대표적 인 주가지표로 주식투자의 판단지표로서만이 아니라 경기의 척도로서 도 활용된다 일정한 수의종목 (채용종목)의 매일매일의 주가를 평균하여 구하는 평균치로 평균치의 계산방법에 따라 1)단순주가평균 2)수정주가 평균 3)가중주가평균으로 분류된다.각종 주가평균은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각종 주가평균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가수준을 알기위한 다른 지료로서 주가지수가 있는데 주가평균과 주가지수의 차이는 주가지수가 어떤 기준시점을 100으로 하여 산출되는 비교시점의 주가수준의 비율을 지수의 형태로 표시하고 있는데 반해 주가평균은 채용종목의 평균치를 금액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증권]  종합주가지수 (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종합주가지수 (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장가격을 토대로 작성되는 증권시장 지표중 전반적인 주식의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지수 이다.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는 1962년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주가의 움직임에 대한 종합적이고 연속적인 가격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증권거래소가 1964년 1/4일을 기준시점으로 '다우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평균지수를 산출.발표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증권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1972년 1/4일부터는 다음과 같다.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주가지수= ---------------------- X 100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여기서 시가총액이란 상장된 주식을 모두 현재의 시장가격으로 환산 하여 나타낸 총체적 가치를 의미한다.따라서 종합주가지수는 증권시 장에 상장된 상장기업의 가치가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볼 때 얼마나 변동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신규상장이나 유상증자로 인하여 시가총액이 증가할 때는 기준시가총액도 증가하며,반대로 상장폐지와 같이 시가총액이 감소할 때는 기준시가총액도 비례해서 줄어든다.따라서 기준시가총액은 고정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변동요인이 있을 때마다 수정되므로 계속해 서 변하게 된다. 그러나 무성증자나 주식배당 및 감자등의 경우에는 주가는 하락 또는 상승하지만 가중치인 상장주식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시가 총액은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기준시가총액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비교시가총액은 상장주식수가 변하므로 이를 수정하여 준다.
 
 
[증권]  종목간 상대주가 [ 종목간 상대주가 ]
동일업종내의 특정종목을 기준으로 했을때 여타의 종목들이 기준종목에 비해 어느정도 변동폭이 있었나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용됨 즉,과거 시점의 기준종목과 여타종목의 차를 일정기간후에 비교하여 어느정도의 변화가 있었나를 파악하고,등락율을 고려하여 투자판단에 이용함 기준종목은 각 업종을 선도하고 거래량이 활발한 대표적인 종목을 선정함
 

[증권]  종량세 [ 종량세 ]
상품의 수량이나 중량을 기준으로 세율을 결정하는 내국세 또는 관세. 가격을 기준으로 세율을 결정하는 종가세와 대별된다. 관세의 경우 종량세는 저가수입품에 대해서도 같은 종류의 고가 수입품과 동일한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저가수입품을 억제,국내산업 보호기능을 갖는다 반면 종가세는 가격이 쌀수록 세금부담이 줄어들어 저가품수입을 촉진시킨다 종가세를 적용하면 세액산정이 어려워 세금을 판정하는데 인력과 자원이 많이 투입되나 종량세는 세액계산이 쉬어 행정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종량세를 적용하면 수입가격이 등락하더라도 세액이 일정하므로 국내물가를 안정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기도 한다 미국,일본,EC등 선진국들은 자국의 농업보호와 섬유,신발 등 일부 경쟁력이 취약한 노동집약적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종량세율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세수확보를 위해 영화필름, 비디오테이프 등 2개품목을 제외하곤 종가세율위주의 관세율체계를 유지했으나 산업보호차원에서 내년부터 종량세제를 도입키로 했다.
 
 
[증권]  조회공시 [ 조회공시 ]
거래소가 직접.간접공시에 해당하는 사항에 대해 당해 상장법인에 기업 내용에 관한 소문 및 보도의 사실 여부에 확인을 전화로 요구하는 제도가 \"조회공시\"로서,상장법인은 요구받은 날로부터 1일 이내에 그에 응답해야 한다 당해 상장법인이 거래소가 조회공시하여 사실 여부의 확인을 요구한 사항에 대하여 의사 결정 중에 있다는 내용으로 미확정 공시한 경우에는 당해 상장법인은 그 공시일로부터 1개월내에 공시 사항에 대한 확정 내용 또는 진척 사항을 직접공시의 방법으로 재공시 해야 한다
 
 
[증권]  제휴카드 [ 제휴카드 ]
종래 물품구매기능만 있던 신용카드의 기능에 신분증이나 각종 회원 증기능이 추가돼 카드 한장으로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백화점카드가 갖고 있는 할인혜택과 무이자할부구매용도,증권회사의 현금인출을 위한 신분확인용도,각종 호텔의 멤버십카드 등으로 사용 될 수 있고 개인회사의 출입증이나 사원신분증으로도 이용할 수 있 다.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카드 한장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여러 장의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미국에서는 1,000여종,일본에서는 250여종의 제휴카드가 유통되고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GP카드처럼 신분증기능 만을 제한적으로 추가 인정하는 경우는 있지만 지금까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정부는 내년부터 자금이체가 수반되는 거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제휴카드 발행을 허용키로 했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한 카드회사에서 제휴내용이 다른 여러가지 카드 를 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들도 한 회사에서 발행되는 카드를 어려장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증권]  제품회전율 (finished stock turnover ratio ) [ 제품회전율 (finished stock turnover ratio ) ]
상품회전율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제품 (상품)에 투하된 자금의 회전 속도를 표시해 주는 비율로 제품이 일정기간중 몇번이나 당좌자산으로 전환했는가를 나타내준다.따라서 이 비율은 제품의 회전도수를 측정함으로써 수익성의 양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매출액 제품회전율= -------------(배) 제품 (상품)제품회전율은 제품 (상품)에 투하된 자금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력은 양호한 상태를 표시하며 확정된 일정한 표준비율은 없다.그러나,보통 동일 업종의 평균비율 등과 비교하여 판단을 내리는 것이 좋다. 따라서,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수익력은 좋아지고 일정한 매출액을 내기위한 자본도 절약된다.
 
 
[증권]  제조원가 명세서 (Manufacturing Cost Statement) [ 제조원가 명세서 (Manufacturing Cost Statement) ]
재무제표의 부속명세서로서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소비된 경제가치인 원가의 계산명세를 나타내며,당기 총제조비용과 기초재공품 재고액과의 합계액에서 기말재공품재고액을 공제하는 형식으로 기재된다.
 
 
[증권]  제권판결 (judgement of nullification ) [ 제권판결 (judgement of nullification ) ]
공시최고수속에 있어서 신청인의 신청에 따라 실권을 선고하는 판결 을 말한다.도난이나 분실된 유가증권에 대해서 제권판결이 내려지면 그 증권은 무효가 되어 신청인은 증권을 소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다만 회사에 대해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제권판결의 원본 또는 등본을 제출하여 증권의 재발행을 요구하며,기명주식에 대해서는 명의개서청구를 하여야 한다.
 
 
[증권]  제4시장 [ 제4시장 ]
미국에 있어서 기관투자가간에 직접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1970년대의 미국 증권시장은 기관투자가가 유통시장의 중심이 되어 (거래의60%)가격형성의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 기관투자가의 거래단위는 크기때문에 입회장 스페샬리스트로는 대응할 수 없어,제3시장 (상장주의 장외거래) 와 제4시장의 발생,지방 거래소의 이용 등 시장의 분열이 추진되었으며 이로 인해 중앙집중 결제시스템 구상이 나오게 되었다.
 

[증권]  정률변화(5%) [ 정률변화(5%) ]
삼선전환도에서 매매시점 결정시 고가 (저가)에서 5%하락(상승)시 전환된 것으로 보는 기법 이 기법은 삼선전환도에서 매도전환의 신호로서 나타난 하학선이 예상밖으로 크게 나타날 때와 상승 최종단계에서 상승선이 크게 형성될 때삼선전환이 쉽게 만들어지지 않아 상승 (하락)전환 신호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
 
 
[증권]  전환주식 [ 전환주식 ]
회사가 권리내용이 다른 여러 종류의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즉 전환권이 인정된 주식을 말한다.선진국의 경우 전환주식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 경우의 전환주식을 전환우선주라고 한다 전환우선주는 투자자가 이를 소유하고 있을 경우 회사의 사업전망이 좋을 때에 배당율이 확정된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이익배당에 참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회사의 입장에서는 전환우선주를 발행하면 주식의 모집이 쉽고 자금조달이 용이하다
 
 
[증권]  전환사채 [ 전환사채 ]
일정 기간이 지난후 일정 비율의 주식으로 전환청구가 가능한 사채를 말한다.주식으로 전환할 것인지 사채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을 것인지는 투자자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환사채는 확정이자부채권으로서의 안정성과 주식의 가격상승으로 인한 자본소득을 함께 기대할 수도 있다는 점에 특색이 있다. 그러나 일단 주식으로 전환한 후에는 다시 채권으로 돌려 받을 수는 없다. 전환사채가 발행되는 이유로서는 1)기업의 측면에서 보면,투자자에 게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자금조달이 쉽고,2)투자자의 측면에서 보면 기업이 신규사업등을 착수하여 기업의 수익성이 불투명할 때는 이자를 받을수 있고,수익성이 좋을 때는 주식으로 전환하여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등의 이점 때문이다 경영실적이 좋아 주가가 높은 수준에 있는 회사는 일부러 전환사채를 발행할 필요가 없다.따라서 비교적 자금조달이 어려운 회사가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가 많다.또 전환사채에는 그 주식에의 전환가격에 따라 액면전환사채와 시가전환사채의 두 가지가 있다
 
 
[증권]  전환가격 (conversion price ) [ 전환가격 (conversion price ) ]
전환사채와 주식을 교환할 경우의 가격으로 주식 1주와 교환되는 사채의 액면금액으로 표시된다.한편 전환비율은 일정액의 전환사채에 대해 발행되는 주식수로 표시된다.그러나 전환가격과 전환비율은 표시의 형식이 따를 뿐,실질적으로는 같다고 할 수 있다. 또 전환에 있어서 주식의 액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액면전환이라고 하고 주식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시가전환이라고 한다. 시가전환의 경우 전환가격은 일정일 또는 일정기간의 주가를 기준으로 정해지며 그 후의 주가변동에 관계없이 고정된다.그러나 희박화 방지조항이나 특별조항에 의하여 수정될 때에는 최초에 결정된 전환 가격은 당초 전환가격이 되며 새로운 전환가격이 책정된다.
 
 
[증권]  전신환 (telegraphic transfer (TT) ) [ 전신환 (telegraphic transfer (TT) ) ]
외국환의 매매시 외화의 수급을 전신으로 위탁하는 방식의 환을 말한다.즉 은행의 입장에서 볼 때 전신환매도,매입이 있는데 매도의 경우는 외국에 있는 본.지점 또는 거래은행에 특정한 수취인에 대하여 일정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며 매입의 경우는 관련 외국거주자에게 타전해 일정금액을 특정은행에 지불하도록 의뢰한다.원화와 외와의 수입.지불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때 결정되는 환율은 전신환 매매율이라 한다.
 
 
[증권]  전대차관 [ 전대차관 ]
외국환은행이 국내거주자에게 수입자금 등으로 전대할 것을 조건으로 하여 외국의 금융기관으로부터 외화자금을 차입하는 방식을 말한다.전대차관은 차관공여국가 또는 특정지역으로부터의 물자수입자금에의 사용 등 차입자금의 용도에 조건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타이드론(tied loan)이며 차관공여주는 일반적으로 외국의 특수 정책금융기관 또는 국제금융기관이다.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은행으로부터 전대차관 방식에 의해 개발금융자금을 공여받아 왔으며 수출입은행은 동 제도에 의해서 외국의 전대차관을 공여하고 있다.
 
 
[증권]  적격어음 (eligible paper ) [ 적격어음 (eligible paper ) ]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 융자하는 경우 재할인 또는 담보대출의 대상으로 인정되는 어음을 말한다.한국은행은 기업재무구조의 건전화와 금융자금의 효율적 배분을 위하여 어음거래의 원천이 되는 상거래의 종류와 관련업체의 신용도에 따라 재할인 대상어음을 선별적으로 정하고 있다.다만,적격대상어음이라도 기한인 3개월이내의 어음으로 한정된다.적격어음에 대해서는 공정할인율중 최저의 상업어음할인율이 적용된다.
 

[증권]  재테크 [ 재테크 ]
재테크란 하이테크를 흉내낸 조어로 재무 테크놀로지의 준말이다. 금융의 자유화.국제화.증권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재무의 관리에도 고도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는데,재테크란 여기에 쓰이는 기술을 의미하는 말이며,현재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재테크는 자금 운용과 자산 운용의 두 갈래로 발전되고 있으며, 그 방법의 능숙하고 서투름에 의해서 기업의 금융 수익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또 \"홈재테크\"라는 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계에서도 금융 자산의 운용 방법이 고도화하고 있어,그 지식의 유무에 따라서 자산의 증식 방법이 달라지는 시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재테크가 발전한 배경으로서,먼저 기업의 설비 투자가 피크에 달해 자금에 여유가 생겼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기업은 우선 차금을 줄여 금리 부담을 줄이려 하고 그 다음에 유리한 자금 운용을 목표로 하게 된다.가계도 금융자산이 증가하여 여유가 생기는 것에 의해서,재산3분법,분산투자와 같은 방법을 실천할 수 있게 되어,고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또 하나의 배경은 금융의 자유화가 진전되어 금융 상품의 선택 폭이 넓어진 것이다 즉 고수익이 가능해지며 한편 위험도 커지므로써 다양한 상품이 재테크 생겨나게 되었다.
 
 
[증권]  재취회원 (two-dollar borker ) [ 재취회원 (two-dollar borker ) ]
일본의 동경,오사까,나고야등 3개 증권거래소에서 입회장내에서 일반 증권회사인 정회원간의 매매를 중개하는 회원을 말한다.
 
 
[증권]  재정거래 (arbitrage ) [ 재정거래 (arbitrage )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시장간에 상이할 경우 가격이 싼 시장에서 매입,비싼 시장에서 매각함으로써 매입차익을 얻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동상품이 외환일 때는 외환재정이,그리고 자금일 때는 금리 재정이 발생,각각의 가격을 균형가격으로 환원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금융거래상 재정거래에는 환재정(exchange arbitrage)및 금리재정 (interest arbitrage)이 있으며 이는 다시 각각 이국간의 불균형을 이용하는 이점재정(two-point arbitrage)과 삼국간의 불균형을 이용 하는 삼점재정(three-point arbitrag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위하여 고금리국에서의 자금운용 기간만큼 선물환시장에서 고금리국 통화를 매각하고 동시에 저금리국 통화를 매입하는 스왑거래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covered interest arbitrage). 이에따라 스왑거래에 의한 환시세차손이 수반되게 되며 동 차손이 양국간 금리차익보다 적을 때에는 언제든지 거래가 성립되므로 환차손과 금리차익이 일치하는 금리평가(interest parity)수준까지는 거래가 성립될 수 있다.한편 상기와 같이 재정거래를 행하는 자를 아비트라저라고 한다.
 
 
[증권]  재무레버리지 (financial leverage ) [ 재무레버리지 (financial leverage ) ]
기업이 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조달한 자금 중 타인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타인자본을 사용할 경우 이자부담이 발생하여 주주에게 돌아가는 순이익은 영업이익이 변할 때 영업이익의 변동률 보다 확대되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재무레버리지효과라 한다.재무 레버리지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재무레버리지도(DFL ; degree of financial leverage)가 있는데 이는 영업이익변화율에 대한 주당 이익변화율의 비율로 계산된다.
 
 
[증권]  재공품회전율 (goods in process turnover ratio ) [ 재공품회전율 (goods in process turnover ratio ) ]
재공품회전율은 재공품의 회전속도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일정기간 중 재공품이 가공되어 몇 번 제품으로 전환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따라서 이 비율은 재공품의 회전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수익의 양부를 판단하는 지표이며 제품회전율의 보조비율로 이용된다. 매출액 재공품회전율= --------(배) 재공품재공품회전율은 제조부문의 생산과정에 있는 재공품에 투하된 자본에 대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이 비율이 높을수록 수익력은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며 확정적인 일정한 표준비율은 없으나,동일 업종의 평균비율 등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
 
 
[증권]  재고자산회전율 (inventory turnover ration ) [ 재고자산회전율 (inventory turnover ration ) ]
연간 매출액을 평균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써 재고자산의 회전속도 즉 재고자산이 당좌자산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나타낸다.재고자산 보유수준의 과부족을 판단하는 데 가장 적합한 지표로서 일정한 표준 비율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높을 수록 1)자본수익률이 높아지고,2)매입채무가 감소되며,3)상품의 재고손실을 막을 수 있고,4)보험료,보관료를 절약할 수 있어 기업측에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과대하게 높을 경우는 원재료 및 제품등의 부족으로 계속적인 생산 및 판매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매출액 재고자산회전율= ---------- (회) 재고자산
 
 

[증권]  자율조정 [ 자율조정 ]
일반적으로 주가는 시장 전체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극히 단기간 내에 3분의1또는 3분의2의 반작용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즉 하락경향이 급격할 때는 단기적으로 반등현상이 일어나고 상승 경향이 급격할 때는 단기적으로 반락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주가운동을 자율조정이라고 하며 전자를 자율반등, 후자를 자율반락이라고 한다
 
 
[증권]  자원관련주 [ 자원관련주 ]
자원개발과 관련이 있는 회사의 주식을 말한다 석유,석탄,비금속광물주 등이 이에 속하며 이 밖에 수산업 및 목재주에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
 
 
[증권]  자산재평가적립금 (revaluation surplus reserve ) [ 자산재평가적립금 (revaluation surplus reserve ) ]
자산재평가법에 의거하여 기업이 사업용고정자산을 재평가함으로써 발생한 평가익을 적립한 것을 재평가적립금이라고 한다.즉,사업용고정 자산의 장부가액과 재평가액과의 차액에서 재평가일 1일전의 이월결손금을 차감한 후의 잔액을 말한다.이 재평가적립금은 재평가세의 납부,자본에의 전입,재평가일 이후 발생한 대차대조표상의 이월결손금의 보전 및 환율조정계정상의 금액과의 상계 이외에는 충당될 수 없다.인플레에 의하여 고정자산 등의 평가액이 부당하게 저하될 경우 그것을 시정하여 기업재정의 건전화를 도모할 필요에서 행한다.
 
 
[증권]  자산재평가 [ 자산재평가 ]
법인 또는 개인의 기업에 소속된 사업용자산이나 이에 제공한 자산을 현실에 적합산 가액으로 그 장부가액을 증액하는 것을 말하는데,자산재평가법이 이를 정하고 있다.물가의 현저한 상승이나 자산에 대한 급격한 수요증대로 인하여 그 자산의 명목적 또는 실질적 가치가 증대된 경우에는 원가기준을 고수하는 것보다 그 자산을 재평가하여 실질가치를 유지시켜야 한다.인플레때에는 화폐가치의 변동이 극심하기 때문에 기업재정의 안정유지를 위해 자산의 재평가가 필요하다.자산을 재평가하여 그 차액을 자본에 전입하며 주주는 무상주를 배정받게 된다.재평가의 방법은 법인에 있어서는 각사업연도 개시일,개인에 있어서는 매년1월1일을 재평가의 기준일로 하고,동일 현재에 소유하고 있는 자산에 대하여 재평가일에 있어서 해야 하며 또 각종자산에 대한 재평가액의 산출은 그 자산의 종류에 따른 배수를 곱하여 행해진다.이와같이 행해진 재평가에 의한 재평가차액에 대하여는 저율의 재평가세가 부과된다.그리고 자산재평가는 임의적이며 강제되지 않는다
 
 
[증권]  자산가치 (asset value) [ 자산가치 (asset value) ]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순자산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누어 1주당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아직 상장되어 있지 않은 주식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되며 기업의 청산을 전제로 한 청산가치를 추정할 때 유용한 보통주의 가치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 유가증권분석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주식을 공모할 때의 자산가치는 순자산 + 공모예정주금 1주당자산가치= ------------------------------------------- 발행주식의 총수 + 공모예정주식수이 된다. 단,여기서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실질가치가 없는 무형고정자산 및 이연자산,부채총계,법인세,임원상여금,상여금을 제외한 금액이다.
 
 
[증권]  자본코스트 (cost of capital) [ 자본코스트 (cost of capital) ]
자본을 이용하기 위하여 지불하는 비용으로 자본의 제공자에게 실제로 지불되는 이용료뿐만 아니라 자본조달시 필요한 모든 비용도 포함된다. 예를들어 차입금이라면 지불이자와 함께 계약서 작성비용이 필요하며 사채라면 이자,사채발행차금,증권회사 등에 지불하는 수수료의 합계 그리고 주식이라면 배당,발행비용,법인세의 합계가 자본코스트가 된다.
 
 
[증권]  자본장비율 (capital equipment ratio) [ 자본장비율 (capital equipment ratio) ]
노동자 1인당 어느정도의 자본설비를 사용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노동장비율이라고도 한다.자본설비액을 노동자수로 나눈 비율이며 노동생산성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증권]  자본자유화코드 (code of capital liberalization) [ 자본자유화코드 (code of capital liberalization) ]
OECD에 가맹하고 있는 국가는 국제적인 자본이동에 대한 장벽을 제거해야 하는바 자본자유화조치의 내용을 정하고 있는 규약을 자본 자유화코드라 한다. 동코드는 OECD의 전신인 OEEC가 1959년에 채택하였으나 OEEC가 OECD로 발전적으로 개편된 후 1964년 전면 개정된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코드는 자유화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본문23조와 자유화대상이 되는 자본이동 및 각국의 유보항목의 일람표인 4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동코드의 주요내용은 1)가맹국은 효과적인 경제협력을 위해 상호 자본이동에 대한 제한을 점차 철폐하며,2)가맹국의 자본자유화조치 는 무차별 평등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그러나 각 가맹국의 경제여건의 다양성,가입후 동여건의 가변성 및 자유화조치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가맹국이 자유화의무를 면할 수 있는 경우를 폭넓게 설정하고 있다.
 
 
[증권]  자본시장선 (capital market line ) [ 자본시장선 (capital market line ) ]
개인투자자들이 위험이 내포되어 있는 주식 뿐만 아니라 정기예금이나 국공채와 같은 무위험자산도 투자대상에 포함시킬 때,균형상태의 자본시장에서 효율적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과 위험의 선형관계를 나나태는 것을 자본시장선(capital market line ; CML)이라고 한다. 즉 위험자산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보다 무위험자산도 포함되면 더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얻을 수 있게 된다.따라서 모든 투자자들은 무위험자산도 포함시킨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고 할 것인데 이렇게 되면 자본시장의 기대수익과 위험사이에는 일정한 선형적인 관계가 설립한다.이 관계를 표시한 것이 자본시장선이다.
 
 
[증권]  자본수지 [ 자본수지 ]
정부와 민간이 해외로부터 차입 등의 방식으로 외화를 도입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해외에 신용공여 등의 방식으로 외화를 유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외화의 유출입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품이나 서비스거래를 대상으로 하는 경상수지와 비교되는 개념이다. 자본수지가 흑자라는 것은 외화의 유입이 유출보다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자본수지는 통상 자본거래가 발생한 때부터 상환까지의 기간이 1년을 초과하였는가 또는 1년 이내인가에 따라 장기자본수지와 단 기자본수지로 구분된다.
 
 
[증권]  자본비용 (cost of capital) [ 자본비용 (cost of capital) ]
필수수익률(Required Rate of Return ; RRR)또는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기업이 조달한 자금에 대하여 투자자가 요구하게 되는 최소한의 수익률이다.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였을 때 발행주식에 대하여 투자자가 요구하게 되는 최소한의 수익률을 기업의 입장에서는 자기자본비용이라 하고 채권에 대해여 발행하는 필수수익률을 타인자본비용이라 한다. 자본비용개념은 투자안의 가치를 평가할 때 투자안으로부터 발생하게 될 미래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계산하기 위한 할인율로 이용하게 되는데 투자안에 대하여 조달한 자금이 주식발행과 사채발행에 의하여 이루어진 경우에 이용하는 할인율을 가중평균 자본비용(WACC ;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이라 한다.일반적으로 자본비용은 그 위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며 주식의 경우 사채보다 위험이 더 크므로 자기자본비용이 타인자본비용보다 크게 된다.
 
 
[증권]  자마이카합의 [ 자마이카합의 ]
1976년의 자마이카회의에서 기본적으로 합의되어 78년4월에 총회에서 정식으로 발효된 IMF협정의 개정을 말한다. 주내용으로는 1.각국의 평가설정.유지의무를 삭제하고 변동환율제를 포함하여 자국의 환율제도를 자유로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2. IMF에 대한 불입방식 가운데 금으로 납입하던 25%를 SDR로 납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 등이다.
 
 
[증권]  자동이체식증권 (pass-through security) [ 자동이체식증권 (pass-through security) ]
대출기관이 담보로 제공받은 모기지(mortgage)를 만기.금리 등이 비슷한 것끼리 모아 이를 일괄신탁하여 이 신탁재산을 담보로 발행된 담보집합의 일정비율 소유권을 표시한 유가증권을 말한다. 이 증권의 특징은 저당대출집합을 구성한 저당대출의 이자가 매월 회수가능하며 지분상당액만큼 혹은 중도상환시 지분만큼의 중도상환을 자동적으로 이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1970년 정부저당금고(GNMA)에 의해 저당대출담보부증권의 최초형태 로 등장한 이래 현재 연방저당공사(FNMA),연방주택금융저당공사(FHLMC)및 민간기관에서 보증.발행되고 있다.
 
 

[증권]  자기자본회전율 (turnover of net worth) [ 자기자본회전율 (turnover of net worth) ]
자기자본과 순매출액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비율로서 자기자본의 일정 기간중에 몇번 회전하였는가 하는 자기자본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것이며 이 비율에 의해서 자기자본의 활용도를 측정.검토하여 그 활동성의 양호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증권]  자기자본이익률 [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 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 -------- X 100 자기자본
 
 
[증권]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의 총자산에 대한 비율로서 자기자본 구성 비율이라고도 함
 
 
[증권]  자기신용 [ 자기신용 ]
고객으로부터 신용거래의 주문을 받은 증권회사가 스스로 융통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고객에게 증권이나 자금을 빌려 주는 것을 말한다. 즉 증권금융에 의뢰하지 않고 증권회사가 자력으로 매입주문의 경우는 자금을,매도주문에 대해서는 증권을 고객에게 빌려준다. 이에 대해 자기신용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은 증권 금융회사와의 대차거래에 의하여 자금이나 증권을 빌려서 고객에게 대출하는 것이 유통금융이다
 
 
[증권]  자금순환표 [ 자금순환표 ]
자금순환을 분석하기 위해 통화 또는 자금이 어떤 거래형태를 통해 어디로 흘러들어 갔는가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통계표를 말하는 것으 로 자금순환계정 또는 money-flow표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거래주체를 금융,정부,법인,개인,해외 등 다섯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한국은행에서 작성,매년 발표하고 있다. 자금순환표는 각 부문에 자금이 얼마나 남고 모자라는가를 알아봄으 로써 실물경제의 흐름과 금융활동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증권]  채권 [ 채권 ]
유가증권의 일종으로 국가나 지방 공공단체/ 회사 등이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유가증권)를 말합니다. 채권은 일정기간 후 원본을 반제할 것과 기간 중에 일정한 이자의 지불을 약속한 일종의 차용증서라 할 수 있으며, 차용증서와 다른 점은 발행자에 대한 권리를 유형화한 유가증권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원본의 반제와 이자의 지불이 확실히 보증되어 있다는 점에서 확정 이자부 증권이라고도 하며, 그 종류에는 국가나 지방 공공단체가 발행하는 국/공채와 회사가 발행하는 사채가 있으며, 이것을 일괄하여 공사채라고도 합니다.
 
 
[증권]  추심어음 [ 추심어음 ]
채권을 추심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어음을 말한다.보통 채권자가 채무자를 지급인으로 하고 자기 또는 자기의 채권자인 제3자를 수취인으로 하여 환어음을 발행하고 은행에 그 추심을 위탁한다.수취인이 발행인의 채권자일 때에는 채권의 추심과 채무의 변제가 동시에 실현된다.
 
 
[증권]  추세대 [ 추세대 ]
추세선의 반대방향의 점을 잇는 선을 아웃라인이라고 하는데 이 아웃라인과 추세선 사이를 추세대라고 한다
 
 
[증권]  추가경정예산 [ 추가경정예산 ]
회계년도가 진행되는 도중에국내의 경제정세의 변화나 천재지변과 같은 부득이한 사정으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정부는 수정 또는 경정하는 예상을 편성,국회의 의결을 거쳐 집행한다. 이것을 추가경정예산이라고 한다
 
 
[증권]  최혜국 약관 [ 최혜국 약관 ]
보통 통상조약 중의 한 약관으로서 조약국의 한 나라가 제3국의 국민에 대하여 현재 부여하고 있거나 장래 부여할 이익과 균등한 대우를 조약상대국의 국민에게도 부여할 것을 약정하는 조항이다.여기서의 균등한 이익이란 통상정책상의 모든 이익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수익국의 국민,화물 및 교통기관의 대우에 관한 것이다.이러한 최혜국대우를 인정하는 약정은 통상조약,항해조약 등의 일 부분으로서 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별개의 독립조약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그러나 이 약관도 조건부약관으로서 약간의 반대 급부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최혜국국민인 제3국 국민의 이익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는 당해국의 권리도 소멸된다
 
 
[증권]  총자본회전율 [ 총자본회전율 ]
총 자 본 총자본회전시간 = ------------------- (일 또는 월) 365 / 매출액
 
 
[증권]  총자본증가율 [ 총자본증가율 ]
총자본증가율 = (금기말 총자본/전기말 총자본 -1) X 100 (%)
 

[증권]  총자본이익률 [ 총자본이익률 ]
순이익 총자본이익률 = ------------ X 100 (%) 총자본 순이익 순이익 매출액 총자본이익률 = ---------- = ---------- X ---------- 총자본 매출액 총자본 = 매출액순이익률 X 총자본회전율
 
 
[증권]  총운전자본비율 [ 총운전자본비율 ]
총운전자본 (유동자산) 총운전자본비율 = ------------------------- X 100 (%) 총 자 본
 
 
[증권]  총수요관리 [ 총수요관리 ]
국민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총공급증가에 대응 적절히 총수요를 관리.조절하는 정책을 말하며,이에는 총수요확장정책과 총수요억제정책으로 대별된다 총수요확장정책은 공급보다 수요가 감소하여 경기가 위축될 때 조세감세,재정지출확대,금융확장 등과 같은 확장적 재정.금융정책을 통하여 총수요증대를 도모하는 운영정책이며 총수요 억제정책은 경기가 과열되었을 때 긴축적 재정.금융정책으로 총수요신장을 억제하는 정책이다
 
 
[증권]  체계적 위험 [ 체계적 위험 ]
주식의 위험을 크게 분산가능한 위험과 분산불가능한 위험으로 분류할 때 분산투자를 통하여 제거할 수 없는 위험을 말한다.체계적 위험은 시장전체의 변동위험으로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기변동,인플레이션,경상수지,사회.정치적 환경등 거시적 변수율이다.일반적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한 상황하에서는 비체계적 위험보다는 체계적 위험을 투자의사 결정변수로 고려하게 된다
 
 
[증권]  청산거래 [ 청산거래 ]
매매약정이 성립된 후 일정기일이 경과되면 수도결제하는 방식으로 일명 증거금거래라고 하는데 매매계약을 체결한 시점과 그 계약을 이행하는 시점간에 상당한 시간적 간격이 있어서 이 기간동안 다시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것이 가능한 거래방식이다 청산거래에는 1)결제일에 가서 당해증권으로 결제하는 실물결제방식과,2)결제일에 가서 매입시와 매도시의 증권가격에 따라 그 차액만 지불하거나 지급받는 차금결제방식 등 두가지가 있다
 
 
[증권]  차지거래 [ 차지거래 ]
채권의 선물거래의 일종으로서 약정일로부터 1개월 이상 후일을 수도일로 하여 채권을 상대매매하는 것이다 보통 매도자는 증권회사이며 매입자는 기관투자가이다.매입자는 장래의 금리하락을 예상하고 현재의 시세로 매입계약을한다 수도일경에 여유자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매매약정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단순한 투기거래로서 행하는 경우도 있다.매도자인 증권회사는 매도약정한 채권을 수도일까지 현선거래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증권]  차등배당 [ 차등배당 ]
배당결정에 있어 대주주는 배당소득세와 종합소득세로 인하여 때로는 저배당을 원하는 수가 있고, 또 기업의 이윤이 적정수준에 미달할 때 대주주는 소액주주에게 배당권리의 일부를 양보 또는 포기할 경우가 있다.이와같이 배당정책상 대주주가 소액주주보다 낮은 배당율을 받는것을 차등배당이라 한다.
 

[증권]  차감결제 [ 차감결제 ]
매매거래의 수도결제시 각 증권회사별로 매도증권과 매수증권 또는 매수대금을 각각 차감한 잔량이나 잔액만을 가지고 결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차감결제와는 달리 한 증권회사의 매수와 매도를 전액 또는 전량을 결제하는 전량결제도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차감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증권]  카르텔 [ 카르텔 ]
동일한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경쟁을 줄이기 위하여 형성하는 기업연합을 말한다.여기에는 가격을 고정시키는 방법과 기업간에 생산량을 할당하는 시장분할(market sharing)방법이 있다.대표적인 국제규모의 카르텔로는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있다
 
 
[증권]  킹스턴 체제 [ 킹스턴 체제 ]
금1온스= 35달러를 기초로 한 브레튼우즈통화체제는 실질적 으로는 1971년8월금.달러 교환정지,73년2월의 변동환율제 이행으로 붕괴되었음.그러나 금의 공정가격 철폐,변동환율제 등이 선진 공업국들 간에 정식적으로 합의된 것이 1976년1월의 IMF잠정위원회에서였음.동 위원회가 자마이카의 킹스턴에서열렸 는데 이 국제통화체제를 킹스턴체제라 함.
 
 
[증권]  클라이막스 지표 (climax index) [ 클라이막스 지표 (climax index) ]
클라이막스(climax)지표란 OBV지표를 분석하는데 보조적으로 이용 되는 지표이다.클라이막스지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종합주가지수 채용종목 중에서 OBV가 상향돌파를 기록한 종목수와 하향돌파를 기록한 종목수를 매일 누계하여 상향돌파를 기록한 종목수의 누계를 차감하여 계산한다.예를 들어 종합주가지수 채용종목 중에서 OBV 가 상향돌파를 기록한 종목이48개,하향돌파를 기록한 종목이 33 개였다면 클라이막스지표는 15가 된다 클라이막스지표도 다른 시장지표와 마찬가지로 매일 기록되는 수치 보인다면 시장의 힘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클라이막스 지표는 특히 종합주가지수가 새로운 고점을 기록하거나, 또는 새로운 저점을 기록하는 시점에서 유용하게 이용된다.왜냐하면 그 고점,또는 저점이 추세반전의 전환점이 될 것인가,아니면 기존 의 추세가 계속될 것인가를 신고점 또는 신저점기록 후의 종합주가 지수와 클라이막스 지표추이를 비교하여 봄으로써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클라이막스지표는 산출대상이 되는 종합주가지수의 채용종목 클라이막스지표 중 OBV선의 상승돌파종목이나 하향돌파종목이 그 종목 자체의 중요성과는 관계 없이 동일하게 평가되기 때문에 대세의 하향반전 시점에서 대부분의 주력주가 하락하고 있을지라도 소형주들이 상승 세를 유지하는 경우 계속하여 강세신호를 나타내어 그릇된 판단을 내리게 하는 수가 있다
 
 
[증권]  콜시장 [ 콜시장 ]
금융기관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시적인 대차거래, 즉 콜자금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콜시장은 금융기관이 서로 어음을 교환하면서 그 차액을 결제할 때, 또는 금융기관의 지불준비금이 부족한 경우 그 부족을 충당할 때 등에 이용되고 있다. 대출해 주는 쪽에서는 콜자금을 콜론이라 부르고,대출받는 쪽에서는 콜머니라고 부른다
 
 
[증권]  콘트라디에프파동 [ 콘트라디에프파동 ]
소련의 콘트라디에프가 발견한 경기의 장기파동으로서 48-60년을 주기로 경기가 순환한다는 이론이다.콘트라디에프는 이러한 순환의 발생원인을 대공장,철도,운하,토지개발과 같은 거액의 투자가 장기 건설기간을 요하는 자본재의 마손과 치환의 집중성에서 구하고 있다 이후 슘페터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장기파동의 원인으로 기술혁신과 신자원개발 등을 들고 이 파동의 예로서1)제1(1780-1842);산업 혁명2)제2파(1843-1897);철도의 등장3)제3(1898-1930);전기. 자동차의 출현과 연결짓고 있다
 
 
[증권]  코포크 지표 (Coppocks Index) [ 코포크 지표 (Coppocks Index) ]
주가시세 그 자체로부터 앞으로의 주가동향을 예측하는 지표 일반적으로 코포크지수가 하락에서 상승추세로 전환해서 \"0\"을 상향돌파하면 매수, 상승에서 하강추세로 전환해서 하락할 경우를 매도시점으로 판단함 계산법은 월중평균지수의 전년대비등락율을 구하고,최근월에는 가중치10을 곱하고 10개월전은 가중치1을 곱하여 합산한다 (단,이때 계수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10을 나누어 주는 것에 유의)즉, 1/10 { (r1 x 10) + (r2 x 9) + ..... + (r10 x 1) } r1, r2, r3 .... r10은 각각1개월전 증감율 2개월전 증감율.... 10개월전 증감율을 나타낸다
 
 
[증권]  코메르츠지수 [ 코메르츠지수 ]
독일 주식시장에서 코메르츠은행이 발표하고 있는 주요 60종목의 주가지수 독일에서는 이들60종목의 시가총액이 시장전체의 약60%를 차지하 고 있어 상당한 대표성을 갖고 있다.
 

[증권]  카리브금융센터 [ 카리브금융센터 ]
세계적인 오프쇼어금융센터인 바하마,캐이만군도,파나마가 모여 있는 카리브해연안을 통칭해서 카리브금융센터라고 부르고 있다 역외금융(offshore banking)의 요람이 되고 있는 이들3지역을 살펴보면 먼저 바하마는 이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역외금융 센터이다 1964년 미국에서 이장평형세(Interest Equalization Tax)제도가 실시되고 1965년에 자발적 대외신용규제(Voluntary Foreing Credit Restraint Program)계획이 수립되자 대다수의 미국내은행들이 이러한 대외신용규제조치를 피하기 위해 낫소(Nassau)지점을 설치 운용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바하마는 역외금융센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바하마는 우수한 통신시설 및 정치적 안정을 갖추고 있으며 역외 금융에 관한 한 거의 규제가 없다
 

 



[증권]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 ROI) [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 ROI) ]
일정기간 동안 특정자산을 보유함으로써 획득하는 수익이 투자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때 수익은 배당, 이자 등의 인컴게인과 가격 상승에 의해 얻어지는 매매차익을 포함하므로 투자수익률은 종합수익률이라고도 한다.일반적으로 인컴게인을 취득할 목적으로 행해지는 투자를 소극적 투자라고 하는데 반해 매매차익의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를 적극적 투자라고 한다.
 
 
[증권]  특별상각 (special depreciation ) [ 특별상각 (special depreciation ) ]
특별상각이란 정규의 감가상각 이외에 특정의 자산에 대해 추가적인 감가상각을 인정하는 것으로 정부가 기업에 대해 투자촉진을 하기 위하여 기업의 세금을 줄여주는 제도이다 원래 특별상각은 세법에만 규정되었었으나 1984년9월 개정된 '기업회계기준'에 규정되어 기업회계에 도입되게 되었다 특별상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1)법령에 의하여 유형고정자산에 대하여 특별상각을 한 경우에는 이를 특별손실로 계상한다.다만,사용시간에 따라 특별상각을 하는 경우에는 제조원가로 계상한다 2)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특별상각을 하는 경우에는 그 종류, 근거,금액등의 내용을 주택으로 기재한다한편 세법의 관련규정은 법인세법시행령 및 시행규칙,소득세법시행령 및 시행규칙,조세감면규제법,외자도입법 등이 있다 특별상각제도는 기업에 혜택을 주는 제도이나 이론적으로 문제가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증권]  특권부 사채 [ 특권부 사채 ]
보통사채에 주식에의 전환권이나 주식의 매입권,이익분배청구권 등 특수한 권리를 부여한 유가증권을 말함.즉 전환사채,주식매수권부 사채,이익참가사채 등을 총칭하는 말이며 이것들은 각종 특권을 사채권자에게 공여함으로써 사채로서의 발행자 수익률을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
 
 
[증권]  트레이딩 룸 (Trading room ) [ 트레이딩 룸 (Trading room ) ]
증권회사의 주식이나 채권부문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더나 딜러가 고객의 거액주문을 시장에 연결하거나 자기계산으로 원활하고 신속 하게 처리해 나가기 위하여 설치된 사무실을 말한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시황이나 뉴스를 전달하는 대형전광판이나 최신의 정보전달사무처리시스템을 갖춘 책상이 비치되어 있으며 10명에서 100명 정도의 트레이더가 시황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리스크를 계산하면서 매매를 체결시켜 나간다
 
 
[증권]  투자유의종목 [ 투자유의종목 ]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선정한 종목을 말한다. 투자유의종목은 일정기간중의 등락율,거래상황,회전율,자전율, 거래형성일수 등을 감안하여 거래소가 선정,발표하고 있다
 
 
[증권]  투자심리선 [ 투자심리선 ]
투자심리의 변화를 일정기간동안 파악하여 과열인가 침체상태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말하는데, 최근 12일간에 있어서 종가가 전일대비 상승한 일수와 하락한 일수를 계산하여 12일중 상승일수 가 며칠이었는가에 대한 비율로써 나타낸다 즉,상승일수가 3일이면 동지표는 25%가 되고,6일이면 50%가 되는데,이와같이 계산한 매일매일의 12일간 상승일수비율을 선으로 연결하면 투자심리선이 된다 일반적으로 투자심리선의 지수가 75% 이상이면 과열상태로 판단 하여 매도시점이 되며,25%이하일 때는 침체상태로 판단하여 매입시점이된다고 본다. 투자심리선은 장기적인 매매시점 포착보다 는 단기적 매매시점 포착시에 유리하며,또 실질적으로는 매매시점 포착보다는 시장상황의 과열이나 침체를 나타내는 지표로 알맞다
 
 
[증권]  투자세액공제 (Investment tax credit) [ 투자세액공제 (Investment tax credit) ]
기업에 대해 설비투자를 장려하기 위하여 1962년에 미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도입한 법인소득세 감세제도를 말한다 즉 연간에 행해진 신규투자액의 일정비율(1962년 당시 최고7%)을 법인소득세에서 공제하는 것을 인정한 것이며 내용기간이 짧은 것 일수록 그 혜택은 적게 행해졌다 그후 경기변동에 따라 이 제도는 정지,부활,강화를 반복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증권]  통화안정계정 [ 통화안정계정 ]
전통적인 공개시장조작을 위한 제반여건이 미비한 상태하에서통화량 을 단기적으로 기동성있게 조절하기 위하여 1967년 한국은행내에 설치된 특별계정이다 이는 한국은행이 통화량의 신축이 필요한 경우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일정한 금액을 동계정에 예치하게 하고 반대로 통화량 증대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정금액을 동 계정으로부터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시중유동성조절을 도모하는 정책수단이다
 
 
[증권]  통화승수 [ 통화승수 ]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값,즉 통화량이 본원통화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주는 배수를 통화승수라고 함 이는 본원통화가 낳은 파생적 통화의 창출능력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일반대중의 현금통화율과 예금은행의 지불준비율이 작을수록 커짐
 
 
[증권]  통정매매 [ 통정매매 ]
자기가 매도 또는 매수하는 같은 시기에 그와 같은 가격으로 타인이 그 유가증권을 매수 또는 매도할 것을 사전에 약속하고 유가증권을 매매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매매거래는 시세조종의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매매거래의 상황에 관하여 타인을 오인시켜 공정시세의 형성을 저해하므로 증권거래법은 이를 금지하고 있다
 

 



[증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 Semiconductor Sector Index)흔히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라고 부르지만 정확하게는 미국 동부의 필라델피아 증권거래소가 지난 93년 12월부터 산정, 발표해온 ‘반도체업종 지수’(SOX : Semiconductor Sector Index)를 가리킨다. 이 지수는 16개의 대표적인 반도체 관련주를 포함하고 있어 반도체주의 가격동향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미국 증시의 반도체 주가가 떨어지면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관련주들을 매도함으로써 주가를 떨어뜨린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미국 증시에서 반도체 주식의 투자지표로 활용된다. 이 지수는 16개 대표적인 반도체 관련주를 포함하고 있어 반도체주의 가격동향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인텔, 텍사스인 스트루먼트(TI),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모토로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5개사가 필라델피아 지수 시가총액의 82%를 차지하면서 전체지수 등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증권]  필터 [ 필터 ]
기술적 분석의 하나로서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최고점에서 일정 비율 또는 일정액수만큼 주가가 하락하면 매각하고,반대로 최저점에서 일정비율로 주가가 상승하면 매입하는 투자기법이다 이 기법의 가정은 주식의 단기적 움직임은 필터(일 정비율)보다 작게 움직이지만,이 필터를 능가할 때에는 장기적인 상향 또는 하향추세를 형성하면서 움직인다는 것이다.
 
 
[증권]  필립스곡선 [ 필립스곡선 ]
실업률과 명목임금상승률 사이의 상충관계(trade - off)를 나타 내는 곡선이다. 영국의 필립스는 1862  1957년의 영국의 통계를 이용하여 임 금상승 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낮아지고 임금상승률이 낮을 수록 실업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최근에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를 보는 것이 일반적이 다. 정부의 재정금융정책으로 경기가 호전되고 실업률이 낮아지면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고,불경기가 되면 실업율이 높아지고 물가상승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케인즈정책이 유효함을 나타내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의 스태그플레이션현상으로 필립스곡선이 맞지 않는다는 견해가 유력해졌다.
 
 
[증권]  피보나치수열 [ 피보나치수열 ]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피보나치(E.Fibonacci)가 고안해 낸 수열로 서 1, 2, 3, 5, 8, 13, 21 ...와 같이 선행하는 두가지 숫 자의 합이 다음 합의 수치가 되는 특수한 수열로서 n항과 n + 1항의 비율은 1 : 1.618이 된다. 이 비율은 시각적으로 균형이 잡힌 감각을 부여하여 황금분할 또는 황금률이라고도 한다. 증권분석가 엘리오트는 주가파동을 관찰한 결과 피보나치수열 에 의한 황금비율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고 있음을 발견하여 엘리오트파동이론 을 정립하였다.
 
 
[증권]  플라자 합의 [ 플라자 합의 ]
1985년9월22일 G5 (5개국 재무장관회의)가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외환시장개입에 의한 달러화 강세시정을 결의하였는데 이를 플라자 합의라 한다. 이 합의로 당시 1달러당(월평균)260엔 대를 보이 던 달러화는 약세로 반전 1987년 말에는 달러당 123.33엔까지 평가절화 되었다.
 
 
[증권]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 [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 ]
선물을 이용한 재정거래에서 데이터, 계산, 판단 등의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입력되어 매입, 매도지시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말한다.이 시스템은 실제의 지수선물가격이 이론상의 지수선물을 어느 정도 수준까지 상(하)회했을 경우에 매입(매도)프로그램이 작동하는 것이다. 매입 프로그램은 현물을 매입하고 선물을 매도하는 것을 말하며, 매도 프로그램은 그 반대의 경우이다. 한편 이론상의 지수선물가격은 현물지수가격에 자금조달코스트(단기금리)와 배당수입(주식수익률)의 차이를 더한 것을 말한다.
 
 
[증권]  표준소득률 [ 표준소득률 ]
세법에서 정한 장부와 증빙서류를 전혀 갖추고 있지 않거나 갖추고 있다 해도 그 내용이 부실한 사업자에 대해 서는 정확한 소득금액을 계산하기가 곤란할 경우 소득세를 과세하 기 위해서는 소득금액을 추정하는 수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 정한 것이 표준소득률이다. 세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업규모나 영업현황,평균적인 기업의 내용,경제지표 등을 감안해 국세청이 매년 업종별로 고시한다. 예컨데 의사의 경우 1년에 1,000만원을 벌었고 이들 에 대한 표준소득률이40%라고 가정하면 수입에 표준소득률을 곱 한 400만원 이 소득금액을 간주된다. 나머지 600만원은 1,000만원 을 벌기 위해 지출한 비용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 합소득세는 400만원에 대해 매겨진다. 국세청은 지난 3월23일 93사업연도 귀속 표준소득률을 전면 조정.발표,오는5월 종합소득 신고때 적용한다.
 

[증권]  표시채권 (Unit of Account) [ 표시채권 (Unit of Account) ]
액면이 유럽계산단위(European Unit of Account)나 유럽통화단위 (Euro- pean Currency Unit)로 표시되는 채권을 말한다.UA는 EC제국통화 상호간의 가치통일을 이루기 위한 계산단위로 지불수 단이 아니라 단 순히 계약상의 가치를 결정하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 다. UA의 가치는 각국통화 전부에 대해 평가의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한 고정되어 있으므로 채권.채무를 UA로 표시함으로써 원래의 가 치를 각국통화의 움직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될 수 있 는 한 변화없이 유지할 수 있게 된다.그 때문에 평가변경의 위험이 큰 유로채권시 장에서는 1961년에 포르투칼의 석유정제회사 SACOR가 500만UA의 기채를 한 것을 시작으로 UA표시의 기채가 일부 이루 어지고 있다 한편 UA는 1979년의 EMA(European Monetary System 유럽통화제도)의 발족과 함께 도입된 ECU에게 그 자리가 양도됨에 따 라 최근에는 ECU표시에 의한 기채가 더욱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증권]  포괄경제협의 [ 포괄경제협의 ]
미.일양국이 무역역조시정을 위해 벌이고 있는 경제협상임 94. 2. 11일로 예정된 양국정상회담에서 협상결과를 발 표할 계획이나 최대쟁점인 수치목표설정에서 견해차가 커서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임 지난해 7월 도쿄G7정상회담에서 클린턴미대통령과 미야자와전일 본 총리가 연간 500억달러정도에 달하고있는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를 해소키위해 협상개시에 합의하며 시작됨 미국은 일본시장의 독특한 폐쇄성을 지적,시장개방의 정도를 구체적 인 수치를 통해서 명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음 과거 양국이 반도체협상에서 결정한 것과 같이 \"일본 시장내 외국산 반도체점유율 20% \" 와 같은 수치목표를 자동차등에도 확대 적용하자 는 것임 일본은 이에대해 수입이나 시장개방목표를 정부가 정하는 것 은 관리 무역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들어 반대하고 있음 포괄경제협의중에서도 우선 협상분야를 두어 자동차및 부품 보험 통신장비 슈퍼 컴퓨터등 정부조달분야에 양국은 협상 력을 집중시키고 있음 최근 미키 캔터미무역대표부(USTR)대표는 협상소득이 없을 경우 슈퍼301조등을 통한 보복을 암시한 바 있음
 
 
[증권]  평균배당수익율 [ 평균배당수익율 ]
수개종목의 배당수익율을 평균한 것을 말한다.평균배당수익율은 개별종목의 배당수익율을 판단하고자 할 경우라든지, 또는 주식시장 전체의 배당수익율이나 흐름을 알고자 할 때에 주로 이용되는데 계산방법과 이용목적에 따라 단순평균배당수익율과 가 중평균배당수익율 로 구분된다.단순평균배당수익율은 대상종목을 동일한 주수로 보유한 경우의 평균배당수익율로서,계산대상종목의1주당 배당금 의 합계를 주가의 합계로 나누어서 구한다 단순평균배당수익율= (대상종목의 1주당 배당금합계/ 대상종목의 주가합계) X 100 한편,단순평균배당수익율에는 전상장회사를 대상으로 계산한 단순평균 배당수익율과 유배회사 단순평균배당수익율이 있다.그 리고,상장주식수 를 가중치로 하는 가중평균배당수익율은 전종목을 상 장주식수에 비례하여 보유하는 경우 즉 시장 포트폴리오의 배당 수익율로써 배당금총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것이다
 
 
[증권]  팔분 주가당거래량 [ 팔분 주가당거래량 ]
8분주가당 거래량이란 OBV지표나 클라이막스지표가 갖는 결점을 보완하는 보조지표로서 주가의 변화가 최종점에 접근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시장이 매우 강력한 상승세를 나타냄으로써 종합 주가지수 가 상승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 종합주가지수의 상승이 어느 정도 지속되면 종합주가지수의 상승이 추세의 종점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생겨나게 마련이다 8분주가당 거래량은 이러한 추세의 최정점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지표이다 즉,종합주가지수가 아직도 활기찬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을지라 도 8분주가당 거래량이 결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면 시장 의 힘이 ≤ 약화되고 있어 주가의 변화가 최종점에 이르고 있 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하며 따라서 추세의 반전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8분주가당 거래량은 주가변동폭의 1/8에 해당하는 거래량을 의미한다
 
 
[증권]  파생통화 [ 파생통화 ]
예금은행은 본원적 예금을 기초로 예금통화를 창출하는데 이 때의 예금통화를 파생통화라고 한다.즉 은행은 예금-->대출-->예금 -->대출의 경로를 통하여 요구불예금을 창조하게 되며 본원적 예금 에 의해서 추가로 창출된 요구불예금,즉 파생적 통화는 다음과 같이 구하여진다. 파생적통화=총예금창조액-본원적 예금= (1/지불준비율-1) X 본원적 예금
 

 



[증권]  항셍지수 (Hang Seng Index) [ 항셍지수 (Hang Seng Index) ]
항셍지수(Hang Seng Index)홍콩 주식시장의 전반적 주가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 주가지수이다. 홍콩 최대의 은행인 홍콩 상하이 은행의 자회사인 항셍은행(Hang Seng Bank)이 산출하며 지수산출방식은 시가총액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 전체 거래량의 80%이상을 차지하는 33개 종목을 채용하고 있으며 1964년 7월 31일 시가총액을 100으로 하고 있다.
 
 
[증권]  회사채(Corporate Bond) [ 회사채(Corporate Bond) ]
회사채는 주식회사가 일반을 대상으로 자금을 집단적ㆍ대중적으로 조달하고 회사가 채무자임을 표시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3년 만기 회사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액면가는 대개 10만원이다. 3개월마다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하여 준다. 이자를 3개월마다 나누어 받기 때문에 종합소득세를 낼 때 소득분산의 효과가 있다. 회사채는 금융기관 보증사채와 일반사채(무보증회사채)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 회사채의 대부분은 금융기관 보증사채이므로 발행회사의 신용도가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일반사채는 발행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수익률에 큰 차이가 나므로 투자에 주의해야한다. 기업은 회사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고 난 후 우선주와 보통주 배당을 지급할 수 있으며, 기업이 도산하여 청산하는 경우에도 채권자들은 주주들에 우선하여 잔여재산에 대한 청구권을 가진다. 따라서, 회사채에 대한 투자 위험은 우선주와 보통주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러나,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인 국채에 비해서는 채무불이행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험이 더 높다.
 
 
[증권]  효율적 시장가설(EMH) [ 효율적 시장가설(EMH) ]
모든 정보가 가격형성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어 누구라도 계속 적으로 타인보다 우수한 투자성과를 올릴 수 없는 시장을 효율(적)시장 (effecient market)이라고 하며 현실의 증권시장이 효 율적 시장이라 는 가설을 효율(적)시장가설이라고 한다. 효율적 시장가설에는 약형(week form),준강형(semi-strongform),강형 (strongtorm)의 3가 지가 있다. 약형 효율적 시장이란 어떤 기간중의 증권가격변동이 그 이 전의 증권가격변동 또는 그 흐름으로부터 독립적인 시장이 라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시장에서는 챠트분석,K선분석 등의 시장분 석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현실적인 시장이 약형 효율적 시장이 라는 가설은 미국에서는 통계적으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준강형 효율적 시장이란 가격정보 뿐만 아니라 모든 공표된 정보가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를 이용함 으로써 계속하여 균을 상회하는 투자성과를 올릴 수 없다는 시장이다. 강형 효율적 시장이란 공표정보 뿐만 아니라 내부정보의 소 유자조차 도 그것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평균을 상회하는 투 자성과를 올릴 수 없는 시장을 말한다. 현실의 시장이 강형효율적 이라는 가설은 미국에 있어서도 충분히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
 
 
[증권]  회사형 투자신탁 [ 회사형 투자신탁 ]
증권투자를 영업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로서 회사법에 따라 설 립된 투자신탁을 말하며 투자회사라고도 한다. 투자자는 그 회사의 발행주식을 취득하여 주주가 됨으로써 운용성과 를 분배받게 된다. 즉 계약형에 있어서의 수익자와 위탁자의 관계가 주주와 경 영자와의 관계로 대체되는 것으로 경제적인 기능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 회사형 투자신탁은 크게 개방형과 폐쇄형의 두 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폐쇄형은 설립시에 보통주 이외에도 우선주나 사채 등을 발행하여 모아진 자금으로 운용을 한다. 설립 후에는 신규발행을 계속적으롤 하지 않고 재매입도 하 지 않기 때문에 증자나 감자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자금의 증감이 없이 일정하다. 투자자는 증권거래소나 점두시장의 수급관계로 인하여 형성되는 가격 으로 매매를 하게 되는데 그때의 가격이 1주당 순자 산가액을 상회 하고 있을 때를 프리미엄,하회하고 있을 때를 디스 카운트라고 한다.
 
 
[증권]  회사갱생법 (Corporation Reorganization Law) [ 회사갱생법 (Corporation Reorganization Law) ]
경영이 궁지에 몰려 재건의 전망이 보이지 않는 회사에 대해 서 그 사업의 갱생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법률 을 말한다. 상법에서는 회사가 도산위기에 처했을 때 채권자의 입장을 존 중하는 정리수속 등을 규정하고 있으나 회사가 회사갱생법 적용을 신청하여 법원에서 그것을 인정할 때는 관재인에 의하여 채권 을 확보한 뒤 채권자 및 주주의 이해를 조정하면서 회사의 갱생을 도모하게 된다.
 
 
[증권]  회계적 이익률법 [ 회계적 이익률법 ]
평균이익률법(average rate of return method)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자본예산에 있어서 투자안평가를 위한 의사결정기준의 하나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회계적 이익률= 연평균순이익/연평균투자액 = 연평균순이익/(총투자액/ 2) 단일 투자안의 경우 회계적 이익률이 기업이 미리 선정한 목 표 이익률보다 높으면 채택하고 다수 투자안의 경우 회 계적 이익률이 큰 것을 먼저 선택하게 된다. 이 방법은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투자안의 평가를 현금흐 름에 두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증권]  황금률 [ 황금률 ]
AB선상에 점C를 설정하고 AC : CR = AB : AC의 비율을 구했을 때 이 분할이 가장 안정적이고 보기좋은 이상적인 상태 가 되었을 때의 비율을 황금분할이라고 하는데,이 비율을 계산하면 거의 1:0.618이 되는데 이것은 과거에 피라밋의 건축에 이용되었다 하고 현재에도 건축은 물론 책자의 가로.세로비율 등 안정감을 주 는 이상적 비율 로 이용되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시세의 상승,하강등 주기적 리듬의 비율로서 응용 되고 있다.
 

[증권]  한계예대율 [ 한계예대율 ]
일정기간의 예금증가분에 대한 대출의 증가분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전기대비 한계예대율과 전년대비 한계예대율의 2종류가 있다. 한계예대율은 잔고에 의한 예대율 이상으로 금융상황을 민감하게 반영하므로 경기동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증권]  환노출 (Exchange exposure) [ 환노출 (Exchange exposure) ]
장래의 예상하지 못한 환율변동(unanticipated exchange rate changes) 으로 인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표시순자산 (자산-부채)의 가치 또는 현금흐름의 순가치가 변동될 수 있는 불 확실성을 말한다 환노출이 환리스크(exchange risk)와 구분되는 것은 환 노출이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exchange loss)과 동시에 환차익 (exchange gain) 발생가능성까지를 포함하는 중립적인 개념인데 반하여, 환리스크는 일반적으로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의 발생가능성을 지칭한다는 점이 다. 환노출은 회계적 노출과 경제적 노출로 구분되며 회계적 노 출에는 거래노출과 환산노출이 있다.
 
 
[증권]  확정일출급 [ 확정일출급 ]
환어음에 지급이 이행될 미래의 일자가 기재된 어음을 확정일출급어음 이라고 한다. 일자후정기출급어음인 경우 예컨대, “at 90days after B/L date”라고 기재하지 않고 B/L일자로부터 기산하여 90일이 되는 특 정일자를 어음에 기재하면 확정일출급어음이 된다.
 
 
[증권]  현선매매 (Gensaki trading) [ 현선매매 (Gensaki trading) ]
일본의 환매조건부 채권매매로서 일정기간 후에 일정한 가격으 로 환매할 것을 약정하는 매매거래를 말하며 채권의 특 수한 매매형태의 하나이다. 환매조건부이기 때문에 조건부매매라고도 하는데 이와같은 조 건이 첨부되지 않은 것을 일반매매라고 한다.환매도조건부 채권매입을 매입현선,환매수조건부 채권매각을 매도현선 이라고 하며 매입현선은 여유자금의 운용,매도현선은 단기자금의 조달 등에 주로 이용된다.
 
 
[증권]  현금예탁법 (Bardepot) [ 현금예탁법 (Bardepot) ]
독일에서 기업의 외자도입을 규제하기 위해 도입한 외환관리 의 한 방법 이 법은 기업이 해외에서 직접 차입을 행할 경우 그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무이자로 예탁시키는 제도로 예탁률의 조 작을 통해 해외 로부터 자금을 차입한 기업이 지불하는 실효금리를 조정함으로써 외자의 유입을 규제하는 것이다. 독일정부는 예탁률을 내외금리차에 따라 조정하는데 이 예탁률 이 한때는 50%까지 인상되었으나 1974년1월말 이후에는 20%로 되었 으며 동년 10월 이후 이 제도는 정지상태이다.
 
 
[증권]  핵확산방지조약 [ 핵확산방지조약 ]
1968년7월 미국,소련,영국등 핵보유3개국과 비핵보유국53개국 등 총56개국이 핵무기 보유국의 증가방지를 목적으로 체결,70년 3월 발효된 다국간조약. 핵보유국으로부터 핵무기와 핵무기생산기술 이전을 금지시키고 있는 핵확산방지조약(NPT: Non Proliferation Treaty)은 비핵보 유국이 평화 적 목적의 핵물질을 군사용으로 전환하지 않을 것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수용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핵보유국인 중국은92년3월, 프랑스는 동년8월 가입했으며 가 입 국은 작년말 현재1백56개국에 이르고 있다. 한편 탈퇴의사를 밝힌 북한은85년에 가입했으며92년1월 핵사찰 을 수용하는 보장조치협정에 조인했다. 북한의 NPT탈퇴는 유엔안보리와 모든 가입국에 정식으로 통보 한 후 3개월이 지나면 자동 성립된다.
 
 
[증권]  핫머니 [ 핫머니 ]
국제금융시장을 돌아다니는 유동성 단기 자금. 핫머니는 국제간의 금리차이.환율변동.정치적불안등의 요인에 의해서 국제금융시장을 옮겨다니고 있는데,이와같은 현상은 자금 유출국에 있어서 국제수지의 악화.환율의 하락.통화 불안의 증대 등 경제적인 균형을 파괴시킨다. 뿐만아니라 자금 유입 국에도, 과잉 유동성에 의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의 영향을 끼친다.
 

[증권]  합성거래기법 (Synthetics) [ 합성거래기법 (Synthetics) ]
자산 또는 부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산.부채영리기법이나 위험관리기법을 결합하여 이용 하는 거래기법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합성거래기법은 기존의 개별금융기법의 특성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법으로서 이들 기법의 이용은 투자자의 경우 투자수익률을 보다 제고시킬 수 있고 자금차입자의 경우에는 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합성거래기법은 수년 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그동안 일부 대형금융기관이나 대기업이 주로 이용하여 왔으 나 최근 들어 서는 다양한 위험관리기법들이 개발되면서 그 거래규 모가 급신장하고 있으며,특히 거래단위가 소액화되면서 중소기업 및 소액투자자들까지 도 동 거래기법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다.
 
 
[증권]  합명회사 [ 합명회사 ]
회사채무에 관하여 직접 회사 채권자에게 연대 무한의 책임을 지는 동시에 정관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각사원이 회사의 업무를 집행하고 회사를 대표할 권한을 가지는 무한책임사원만으로 구성되는 회사를 말한다. 무한책임사원의 출자에는 재산출자와 노무출자 및 신용출자가 있는데 출자의무와 한도는 정관에 정해져 있으며 한꺼번에 전부 출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분할출자의 특약이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따르면 된다. 합명회사는 1.존립기간의 만료,기타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2.총사원의 동의 3.사원이 한 사람으로 된 때 4.합병 5.파산 6.법원의 명령 또는 판결에 의하여 해산한다. 법원의 명령은 해산명령이고,법원의 판결은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에 해산판결이다. 이것은 예컨대 사원들의 사이가 원만하지 못하다든가 중심이 되는 사원이 사망한 때 각 사원의 청구에 의하고,판결의 확정에 의하여 회사는 해산한다. 회사가 해산한 때에는 영업활동능력을 잃고,합병과 파산의 경우 외 합명회사에는 청산절차를 밟게 되므로,법정기간내에 해산등기를 하여야 한다.
 
 
[증권]  할당관세 [ 할당관세 ]
국내 물자가 부족하거나 가격이 너무 오를 경우 관세율을 낮 추면 수입이 증가해 수급이 안정된다. 반대로 과도한 수입으로 가격이 폭락할때 관세율을 높이면 수입이 줄어들어 가격이 안정된다. 이처럼 물자수급을 원활히 하기위해 관세율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제도가 할당관세제도이다. 할당관세는 물자수급원활을 위해 수입이 필요하거나 수입가격급등 품목의 가격안정,유사물품간의 세율불균형 시정등을 위해 기본세율의 40%이내에서 관세를 낮춰줄 수 있다. 특정물품의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본세율에 40%까지 관세 를 올릴 수 있다. 상.하반기로 나누어 운용하는 기간이나 수입수량을 할당해서 그 수량만큼만 혜택을 주는게 특징이다. 예컨대 2%의 할당세율을 적용하는 농약원제는 연3만5,000톤에 한해 혜택을 준다. 정부는 앞으로 수입물품에 대해 원칙적으로 기본관세율을 적용하는등 할당관세 적용품목을 가급적 축소운용키로 함